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패스
합격
허가
투과
가결
통행
성취
뉴스
"
통과
"(으)로 총 2,292건 검색되었습니다.
후쿠시마 바닷물 128만t 유입됐는데…해수부·원안위 '업무 떠넘기기'
동아사이언스
l
2019.08.29
해수부는 선박 평형수 유입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나오자 2011년과 2013년 일본 영해를
통과
한 선박의 평형수를 검사한 결과 특별한 문제가 없다는 결론을 내렸다. 해수부는 당시 "특이사항이 발생하면 선박평형수에 대한 별도로 조사하겠다"고 밝혔지만 지금은 방사능 오염수 조사에 대한 ... ...
구불구불 뇌혈관 속도 다니는 실지렁이 로봇 탄생
동아사이언스
l
2019.08.29
코팅했다. 하이드로겔로 코팅한 로봇은 코팅을 하지 않은 로봇에 비해 좁은 혈관을
통과
할 때 생기는 마찰을 10분의 1 이하로 줄일 수 있었다. 로봇 안에는 소형 이미지 센서나 레이저 광섬유 등을 넣어 뇌졸중의 원인인 혈전을 제거하는 치료도 가능할 전망이다. 연구를 이끈 김윤호 ... ...
[일문일답] 소재·부품·장비 R&D 투자전략 브리핑
동아사이언스
l
2019.08.28
개발하는 R&D 투자가 있다. 나노미래소재원천기술은 올해 상반기에 예비타당성 심사를
통과
했다. 차세대지능형반도체 R&D도 내년 신규로 추진한다. 추진 과정에서도 기업의 수요를 반영해 추진할 예정이다. 단기적으로 보면 인력이 중요하기 때문에 인력을 양성하는 것도 추진한다.” - 반도체로 ... ...
꿈의 물질 그래핀에 '모기 방어' 능력 추가돼
동아사이언스
l
2019.08.27
가지면서도 강도는 강철보다 수백배 이상 강하고, 최고의 열전도도를 갖는다. 빛을
통과
시키는 투명성과 함께 신축성도 갖고 있다. 여기에 하나의 기능이 추가됐다. ‘모기 물림 방지’다. 로버트 허트 미국 브라운대 화학과 교수 연구팀은 그래핀이 완벽하게 모기를 막아낼 수 있는 역할을 할 수 ... ...
"식약처, 계속해서 규제기관 역할만 하면 '바이오 경제' 실현 요원해질 것"
동아사이언스
l
2019.08.26
및 첨단바이오의약품 안전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제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
했다. 이제호 분당차병원 교수는 “정부가 그 외에도 최근 임상시험 승인 기간을 30일에서 7일로 줄이겠다고 발표하는 등 발빠르게 움직이고 있다”며 “하지만 신약개발의 ’마지막 병목’이 식약처다. 식약처의 ... ...
공인인증서 대체할 편리하고 안전한 기술들이 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26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공인인증서 제도를 대체할 다양한 전자서명 신기술과 서비스가 대거 소개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9일 오후 2시 서울 여의도 켄싱턴 호텔 ... 알려지고 시장에 확산될 수 있도록 국회 계류 중인 전자서명법 전부개정안의 조속한
통과
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 ...
WHO "식수 속 미세플라스틱 위험 수준 아냐" 학계선 추가 연구 필요 제기
동아사이언스
l
2019.08.25
크기가 작은 이산화티타늄 입자를 이용한 실험 결과, 이 입자가 장 내막을
통과
할 수 있어 미세플라스틱 입자도 마찬가지일 것으로 분석했다. 그는 "미세플라스틱 입자는 장에만 머무는 것이 아니라 림프계나 혈류를 통해 세포 내에 쌓일 수 있다"며 "또 플라스틱은 빠른 시일 내 분해되지 않기 ... ...
"축소 논란 이공계 전문연구요원 선발기준에 연구역량 추가"
동아사이언스
l
2019.08.23
전문연구요원 선발 기준에 연구역량 항목을 추가하고 영어 성적과 대학원 성적은 ‘
통과
또는 실패’로 판단한다는 게 핵심이다. 연구역량 평가는 서면과 대면 두 단계로 진행된다. 권지은 교육부 학술진흥과 사무관은 23일 오전 10시 서울 강남 한국과학기술회관 12층 아나이스홀에서 ... ...
‘유령입자’ 중성미자의 질량 비밀, 슈퍼컴퓨터로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23
아이스큐브 중성미자 관측소. 사이언스 제공 중성미자는 세상 대부분의 물질을 그냥
통과
하는 이상한 입자다. 지금 이 순간에도 엄지손가락 하나에 1초에 1000억 개씩의 중성미자가 지나가지만 아무도 느끼지 못한다. 어떤 물질과도 거의 반응하지 않은 채 그냥 지나가기 때문이다. 중성미자를 ... ...
[이정아의 미래병원] '게임병'을 다스리는 세 가지 방법
동아사이언스
l
2019.08.22
게임중독을 질병으로 분류한다는 내용의 국제질병표준분류기준안(ICD-11)을 만장일치로
통과
시켰다. 한국을 비롯한 HO 회원국 194개국은 2022년부터 게임중독을 공식적으로 질병으로 인정하게됐다. 보건복지부도 게임중독의 질병 등록을 위해 민관협의체를 구성하겠다고 밝혔다. 보건의료 ... ...
이전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