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깊음
길이
강도
농도
농담
심도
뉴스
"
깊이
"(으)로 총 1,347건 검색되었습니다.
天地 밑 10km 지점 마그마 가득… 수년 째 ‘수상한 움직임’
2015.04.02
최근 수년간 백두산 근처에서 일어나는 조짐은 심상치 않다. 천지(天池) 2~5km
깊이
에서 화산 지진이 늘고 있고, 온천의 수온이 올라가는 등 화산 폭발 직전의 징후가 나타나고 있다. 중국과학원은 1999년부터 백두산 곳곳에 지진파 탐지기 등을 설치해 두고 폭발에 대비하고 있지만 땅속 마그마의 ... ...
韓中 백두산 폭발 대비 구멍뚫어 탐사 나선다
2015.04.02
017년까지 기초 탐사에 들어간다. 이윤수 지질자원연구원 책임연구원은 “백두산 지하 7km
깊이
까지 시추공을 뚫어 지하를 면밀히 조사할 계획”이라면서 “1300도가 넘는 액체 상태의 마그마를 직접 꺼낼 가능성도 있다”고 밝혔다. 류자치(劉嘉麒) 중국과학원 원사(院士)는 “한국은 아시아 ... ...
육상통합시험장에 가다
과학동아
l
2015.03.26
때문에 일단 포착되면 정체가 탄로난 것이나 다름없다. 따라서 떠오를 필요 없이 더
깊이
, 더 오랫동안 수중에서 버티는 것만이 유일한 승리 방법이다. 3000t급 중형 잠수함인 장보고-III는 축전지의 용량을 높여 문제를 해결했다. 배에 커다란 배터리를 싣고 출항하기 전에 최대한 많은 양의 전기를 ... ...
거짓말 잘하는 비결
과학동아
l
2015.03.26
볼 필요는 없다. 나도 다른 사람도 거짓말을 할 수 있는 존재라고 인정하면, 사람을
깊이
보고 기분을 정확히 감지해낼 수 있게 된다. 자기가 하는 거짓말을 알면, 일상에서 거짓말을 감지해내는 감각도 발달한다. 거짓말을 하는 사람의 살짝 바뀌는 표정이나 목소리를 훨씬 빨리 알아챌 수 있다. ... ...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하루 300t 여전히 바다로
동아일보
l
2015.03.26
凍土遮水壁) 공사가 한창이었다. 총 1.5km에 달하는 원자로 1∼4호기 주위를 지하 30m
깊이
까지 파 동결관을 집어넣는 작업이다. 오노 소장은 오염수가 후쿠시마 원전 앞바다로 흘러들고 있는 데 대해 “(후쿠시마 원전 전용 항만 바깥의) 바닷물에 함유된 방사성 물질 측정에선 특별한 이상이 없는 ... ...
[열린 시선]‘美 NRC 인증’ 첫 관문 통과한 한국 원전 기술
동아일보
l
2015.03.17
않다. NRC는 일반인까지 참여시켜 인허가 승인 전에 요구하는 사항들과 발견한 사실들을
깊이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며 설계 성능과 안전성을 전체적으로 평가할 수 있도록 한다. 까다롭고 시간이 많이 걸리는 심사절차는 대중이 신뢰하게 해 준다. NRC 심사의 모든 관련 문서는 NRC 웹사이트를 ... ...
암 조기 진단 가능한 광학현미경 개발
2015.03.16
보다 쉽게 암을 진단할 수 있다. 암세포의 약 80% 정도는 사람 피부나 장기 외피의 1~3mm
깊이
에 있는 세포에서 발생한다. 기존 광학현미경으로는 조직 아래 수십 μm(마이크로미터)의 영상밖에 얻을 수 없어 세포 깊은 곳의 영상을 얻기 위해서는 생체 조직의 박편을 잘라내 관찰해야 했다. 이번에 ... ...
토성 위성에서 온천 발견, 대서양 심해서 발견된 ‘잃어버린 도시’와 비슷?
동아닷컴
l
2015.03.13
남극에 있는 바다는 얼음 표면으로부터 30∼40km 내려간 곳에 있으며, 바다의
깊이
는 약 10km다. 이를 토대로 과학자들은 엔켈라두스에서 분출되는 얼음 입자들이 토성 주변에 ‘E 고리’를 만든다는 사실을 밝혔다. 카시니 우주탐사에서는 또 E 고리에 지구상 모래의 주성분인 이산화규소(SiO₂) ... ...
“달 지질구조 생각보다 복잡”
2015.03.13
결과 비의 바다는 적어도 9개의 서로 다른 층으로 이뤄졌음이 드러났다. 지표에서 8m
깊이
까지는 약 8000만 년 전에 형성됐으며, 지하 140m까지 구간은 약 25억 년 전에 생성됐다. 또 25억~33억 년에는 마그마가 4차례나 관통했던 흔적이 발견됐다. 지하 240m 아래 지질은 33억 년 이전에 생겨났다. 물이나 ... ...
LHC 이번엔 암흑물질 찾는다
과학동아
l
2015.03.04
법칙으로 이끌어 줄 것이고 그로부터 우리는 물질의 본질에 대해, 우리 우주에 대해 더
깊이
이해하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이강영 경상대 물리교육과 교수. 서울대 물리학과를 졸업하고 KAIST에서 입자물리학 이론을 공부해서 석·박사학위를 받았다. 박사과정 중 유럽입자물리학연구소(CERN)에서 LEP ... ...
이전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