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깊음
길이
강도
농도
농담
심도
뉴스
"
깊이
"(으)로 총 1,347건 검색되었습니다.
[Health&Beauty] “줄기세포로 손상된 연골 재생시킨다”
동아일보
l
2015.10.28
정식 허가를 받기도 했다. 일단 연골이 손상된 관절 부위에 지름 5mm,
깊이
5mm의 구멍을 뚫은 뒤 카티스템을 주입한다. 이 줄기세포는 무릎 연골을 재생시킨다. 카티스템을 주입받은 사람들은 6개월 뒤 연골이 완벽하게 재생될 확률이 약 92.7%로 높게 나타난다는 연구 결과까지 나오고 있다. 2002년 ... ...
또 대지진, 우리나라는 대지진에서 안전한가
2015.10.27
있을 가능성이 다른 지역보다 높다”고 밝혔다. 지진은 발생 장소 못지 않게 진앙지의
깊이
에 따라 피해 규모에서 큰 차이를 나타낸다. 같은 규모의 지진이라도 얕은 곳에서 지진이 발생할수록 지표면에 전해지는 에너지의 양이 커지기 때문이다. 한국지진연구센터에 따르면 2000년 이후 ... ...
아프간 접경 7.5 강진… 3國 최소 180명 사망
동아일보
l
2015.10.27
산맥에서 발생했다. 진앙은 아프간 수도 카불에서 약 250km 떨어진 지점이고 진앙의
깊이
는 지표면에서 212.5km로 비교적 깊은 것으로 관측됐다. 로이터는 “최근 이 지역에서 발생한 지진 중 최고 강진”이라며 “주변 사람들은 여진 가능성으로 공포에 떨고 있다”고 보도했다. AFP통신은 “사망자는 ... ...
지구 최북단 영구동토 탐험… 맘모스 세포 찾아 인류기원 밝힌다
2015.10.23
공동 조사단과 함께 매머드 발굴 작업을 벌였다. 5, 6층의 계단으로 지층을 파내고 10여 m
깊이
에서 매머드의 흔적을 찾았다. 그 결과 매머드의 다리뼈와 코뿔소를 닮은 고대 동물인 ‘리노세로스 시베리아(Rhinoceros siberia)’의 뼈를 새롭게 발견했다. 여기서 발굴된 화석은 현재 사하공화국 북동연방대 ... ...
일개미도 여왕개미 될 수 있다
2015.10.20
수백 가지나 다른 것으로 알려졌다. 파탈라노 박사는 “이번 결과는 곤충에 대해 더
깊이
이해할 수 있는 단초가 된다”며 “다른 곤충 연구에도 새로운 길을 열어 줄 것”이라고 밝혔다. ... ...
[신나는 공부]"책과 나의 연결고리를 찾아보세요"
동아일보
l
2015.10.20
“논문집을 읽은 과정을 구체적으로 보여주면서 제가 얼마나 이 분야를 폭넓게 탐구하며
깊이
있게 연구했는지를 증명하려했어요.”(김 씨) 독서를 창의적 체험활동과 연결시켜 진정성을 드러내라 소설가가 꿈인 서울대 국어국문학과 15학번 김제훈 씨. 소설 창작에 대한 조언을 얻기 위해 읽은 책을 ... ...
[신나는 공부] 독서가 뜬다
동아일보
l
2015.10.20
면접에서 독서가 차지하는 이런 효과를 부인할 순 없다”면서 “다방면의 책을
깊이
있게 읽은 학생이 면접에서 차별화될 것”이라고 전했다. 독서, 세부능력 및 특기사항의 질도 좌우 학생부종합전형에서 가장 중요한 평가서류인 학교생활기록부의 세부능력 및 특기사항의 ‘질’을 결정하는 ... ...
일상 단어 1000개로 최신 우주이론을 설명한다고?
2015.10.18
등을 두루 이해해야 한다.” 저자인 김도현 박사는 안과 전문의다. 그는 ‘눈’을
깊이
있게 이해하려면 의학과 자연과학 전반에 대한 깊은 지식을 갖춰야 한다고 주장한다. 저자의 말대로 책에는 과학사와 생물학, 안과학은 물론 광학과 물리학에 이르기까지 여러 학문적인 접근 방식으로 ... ...
“한국 과학계 너무 성과만 생각해… 새로운 아이디어 개척해야”
2015.10.13
serendipity)’라고 표현하기도 했다. 마셸 편집장은 “과학자는 평생에 걸쳐 한 분야를
깊이
파고 들지만 학술지 편집장은 그보다 더 넓고 다양한 분야를 접할 수 있다”며 “그런 점에 매료돼 편집 일을 계속 하고 있다”고 말했다. 마셸 편집장은 “한국은 기초과학 연구의 역사가 30년 남짓으로 ... ...
삼시세끼 어촌편 만재도는 ○○○가 만들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15.10.09
빙하기에는 육지였던 대륙붕에 물이 차기 시작했습니다. 이 때 육지 시절 침식으로 인해
깊이
파인 부분에 먼저 물이 차올랐지요. 상대적으로 높은 부분은 물이 잠기지 않았고요. 그리고 약 5000년 전, 지금과 비슷한 상태로 기후가 고정되자 해수면의 변화가 사라져 지금 상태가 됐습니다. 과거에 ... ...
이전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