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큰"(으)로 총 14,224건 검색되었습니다.
- 마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4호
- 순간! 종이컵이 진자운동을 하며 제 몸이 흔들리는 대로 타원을 그려요. 처음엔 묵~직한 큰 회전을 하다, 물감이 적어질수록 얇아지는 선이 눈길을 끄네요. 종이컵의 우연한 움직임에 따라 캔버스 위에 가지각색으로 그려지는 모습이 참 매력적이죠? 탄소중립이 뭔지 알려줌! 조회수 : 30회채널명 : ... ...
- [숫자뉴스] 루시 12년 날아 소행성의 정체를 밝혀라!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4호
- 중심으로 도는 천체★ 중에서 화성, 목성 같은 행성보다는 크기가 작지만 별똥별보다는 큰 것을 말해요. 우주에는 소행성이 수십만 개 있을 것으로 추정돼요. NASA는 지난 10월 16일 소행성 탐사선 루시를 미국 플로리다 주 케이프 커내버럴 우주군 기지에서 발사했어요. 루시는 지구에서 약 8억㎞ ... ...
- [과학 뉴스] 1억 8200만 년 전부터 이 모습?! 심해생물 오피오주라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4호
- ‘속(genus)’, ‘과(family)’라는 큰 단위에서까지 새로웠거든요. 연구팀은 오피오주라가 큰 대륙이 분리되며 새로운 바다가 열렸던 1억 8200만 년 전 쥐라기 시대에 다른 거미 불가사리와 완전히 분리돼 독자적으로 진화했을 거라 추정했어요. 물론 살아있는 유기체여서, 진화가 멈췄다기보단 아주 ... ...
- [파고 캐고 지질학자] 산호초가 다져지면 석회암이 된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4호
- 큰 규모로 나타나기도 해요. 중국 남서부의 광서성 지역에는 우리나라의 면적보다 더 큰 석회암 지대가 있어요. 뾰족한 탑처럼 우뚝 솟은 산봉우리들이 장관을 이루지요. 제가 2015년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 심사를 하러 갔을 때, 그 엄청난 규모에 입을 다물 수가 없었답니다. 이러한 산봉우리들이 ... ...
- [수학자 가상 인터뷰] 늘 최고를 꿈꾼 수학자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4호
- 이 이론에 관해 적은 글이 발견되며 제 연구라는 게 밝혀졌지요. 로피탈 후작이 과외비로 큰돈을 준다고 할 때 의심했어야 했는데 오일러와 남다른 인연이라고 들었어요. 훗, ‘제가 없었다면 오일러도 없었다’고 말씀드리고 싶군요. 오일러를 목사로 키우려던 그의 아버지를 설득해 오일러가 ... ...
- [수학 잘하는 동물친구들] 거미줄로 뚝딱뚝딱, 집짓기 비결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4호
- 중에서도 가장 큰 집을 짓는 거미예요. ‘거미집의 제왕’이라는 별명이 있을 정도로 큰 거미집을 짓는 재주를 가지고 있지요. 산왕거미는 집을 짓기 전 먼저 먹이가 될 벌레가 자주 오가는 곳을 탐색해 어디에 집을 지을지 결정해요. 산왕거미는 종종 나무와 나무 사이에 집을 짓는데, 이때 가장 ... ...
- 마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3호
- 100개나 적어야 쓸 수 있는 큰 수죠.영상의 레고 제작자는 레고 톱니바퀴로 구골이 얼마나 큰 수인지 보여주고 싶었어요. 그래서 톱니바퀴의 회전 속도가 아주 느려지도록 설계했죠. 예를 들어 톱니가 8개인 톱니바퀴에 16개 톱니를 가진 톱니바퀴를 맞물리면 회전 속도가 절반으로 느려져요. 이렇게 ... ...
- [특집] 암호화폐 아직은 반쪽짜리 화폐?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3호
- 사람이 거래 장부를 통제하지 않고 다수가 관리하는 암호화폐의 특성(탈중앙화)은 큰 장점이지만, 거래 참여자가 많아지면 속도가 느려지는 문제점이 있어요. 그럼 일을 처리하는 능력(확장성)이 떨어지게 되죠.반대로 일의 속도와 효율(확장성)을 높이기 위해, 일부 참여자만 총무가 되도록 조정할 ... ...
- [가상 인터뷰] 코끼리 아저씨는 코가..., 흡입기?!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3호
- 보존하는 데 활용될 수 있어. 상아를 노리는 밀렵꾼과 덫으로 다친 코끼리는 대부분 코에 큰 상처를 입거든. 이번 연구는 코끼리의 코가 어떤 구조로 되어 있고 어떻게 움직이는지 밝혀낸 거라 코끼리를 치료하는 데도 도움을 줄 수 있어.연구에 참여한 앤드류 슐츠 박사과정생은 “코끼리 코의 ... ...
- [특집] 시끌벅적 점점점 운동장 놀이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3호
- 큰 친구가 많다는 걸 보여줘요. 점박이보다 우유를 좀 더 마신 점돌이가 키도 점박이보다 큰 것처럼요. 점이 흩어져 있는 모양을 통해 우유를 마시는 양과 키가 상관이 있는지, 얼마나 관계있는지 파악할 수 있는 거예요. 하지만 아직 ‘우유를 많이 마실수록 키가 크다’고 결론 내릴 수는 없어요. ... ...
이전12012112212312412512612712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