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부분
일부
일환
국부
환경
d라이브러리
"
부위
"(으)로 총 2,363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인의 돌연사를 막아라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식이다. 심뇌혈관 질환 발생 가능성 알려준다정확한 지표를 만들려면 측정장비와 측정
부위
, 측정 대상을 구체적으로 정해야 한다. 그래서 10MHz 진동수의 초음파검사기를 이용해 우측 경동맥이 Y자로 갈라지는 부분에서 1cm 내려온 곳의 내중막 두께를 잰다. 대상도 성별과 나이, 비만이나 흡연 여부에 ... ...
무 기자의 취재노트로 건강 365일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홍보대사로 활동하며 더불어 사는 소박한 꿈을 실현하고 있다.“심장혈관
부위
에 석회화병변이 발견되며 임상적 의의는 없으나 증상이 나타나면 전문의와 상담하십시오.”얼마 전 건강검진 결과를 받아든 회사원 윤모씨는 조금 당황스러웠다. 처음으로 컴퓨터단층촬영(CT)을 했는데, 이런 결과가 ... ...
감정 앗아가는 판데믹 바이러스 인베이전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바이러스를 접종한 것이 그 시초다.백신은 주로 주사나 경구투여로 접종하는데, 접종
부위
나 투여방법이 잘못된 경우에는 충분한 질병 예방효과가 생기지 않거나 이상반응이 발생할 수도 있다. 영화 마지막 장면에는 백신을 헬기에서 뿌리는 장면이 나온다. 과학기술이 발달하면 공기흡입 백신도 ... ...
철새의 눈은 자기장을 본다?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철새가 먼 거리를 날면서 방향을 잃지 않는 이유는 자기장을 볼 수 있기 때문인지도 모른다. 지금까지는 철새에 방향을 인지하는 특별한 ... 신경 추적물질을 사용하는 간접적인 방법이 아니라 실제 새가 방향을 감지할 때 시상
부위
가 활성화된다는 직접적인 증거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 ...
탄소나노튜브 타고 날아가는 항암 폭탄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건드리지 않고 암 세포에만 강한 타격을 주는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지금도 암 발생
부위
에 방사선 물질을 전달하는 ‘제발린’이란 치료제가 있다. 그러나 이는 항암 효과가 약한 ‘베타 방사선’을 방출한다. 베타 방사선은 투과력이 뛰어나 몸 밖에서도 쪼일 수 있지만 방출되는 전자의 강도가 ... ...
무인비행기 '제퍼'(Zephyr) 최장시간 비행기록 달성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성장할 수 있다 고체상의 성징속도는 결정 방향에 따라 다르므로 고체상의 어느
부위
에 돌기부가 생긴다돌기부는 평면부에 비해 용융액 속으로의 열의 소산(消散)속도가 크므로 우선 적으로 성장하여 줄기(1차수지상결정)를 형성한다이와 같은 과정이 되풀이됨으로써 수지상 결정이 형성된다 ... ...
공포가 코앞에 닥쳤을 때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레이먼드 돌란 교수팀은 가상공간에 있는 맹수가 피험자를 향해 다가올 때 뇌 활동
부위
가 이성적인 판단을 내리는 영역인 전뇌에서 본능적인 반응을 관장하는 중뇌로 옮겨간다는 사실을 핵자기공명영상으로 보였다. 이 연구결과는 ‘사이언스’ 8월 24일자에 실렸다.사람은 동물과 마찬가지로 ... ...
일본의 셀레네 프로젝트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하수 토양속에 많이 존재한다전체 게놈에서 단백질에 대한 유전정보를 담고 있는 암호화
부위
를 제외한 나머지 DNA 즉 게놈에서 유전자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다 유전자 안에서 의미 없는 부분인 인트론과 구별된다정보통신용어로서 공중정보망의 데이타 교환점을 의미한다 우리나라 ... ...
강 돌고래가 사라진다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수술의 한 방법 즉 동맥이나 정맥에 심한 협착(狹窄)이나 폐색성 병변(病變)이 있을 때 그
부위
의 중추측과 말초측(末梢側)에 대용혈관을 사용하여 문합(吻合)해서 대용혈관을 통해 충분한 혈액을 말초에 흐르게 하는 수술을 말한다 1836~1906 러시아의 화학자 독일계이며 페테르부르크 태생 ... ...
DNA바코드 시대 열린다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바코드는 아직 진행이 더디다. 동물의 COⅠ 유전자처럼 종마다 명확히 구별되는 유전자
부위
가 어디인지 과학자마다 의견이 분분하기 때문이다.서울대 생명과학부 김원 교수는 “지구의 모든 생물을 COⅠ 유전자로 구분하는 것은 무리”라며 “핵 속 DNA인 18S rDNA나 16S rDNA를 복합적으로 이용해 ... ...
이전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