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부위"(으)로 총 2,363건 검색되었습니다.
- 부르델 조각 속 주인공의 진실과학동아 l2008년 05호
- “하지만 ‘생각하는 사람’은 그렇지 않다”고 설명했다.손목을 ㄱ자로 꺾어 손등 부위로 턱을 괴고 있는 자세는 다른 그림이나 조각에서 생각하는 주인공이 턱을 엄지손가락과 나머지 손가락들 사이에 대고 있는 자세와 상당히 다르다. 또 복부근육에 힘을 줘 복벽(복강의 앞쪽 벽)이 뒤로 ... ...
- 약물 배달하는 똑똑한 미세바늘과학동아 l2008년 04호
- 니코틴 패치처럼 붙이기만 하면 약물을 순식간에 혈액에 투입하고 신체의 원하는 부위로 ‘배달’한다. 약물은 바늘 속에 캡슐처럼 저장돼있다.미세바늘의 재료는 피부를 뚫을 정도로 강하고, 약물을 전달한 뒤 빠르게 녹으며 사라지는 고분자(PVP, 폴리비닐피롤리돈)를 사용했다.프라우스니츠 ... ...
- part 4 암기에서 해방시켜주는 인공해마과학동아 l2008년 04호
- 열린 미국신경과학회에서 쥐의 뇌를 TMS로 자극한 결과 학습과 기억을 담당하는 뇌 부위에서 뉴런의 분화가 촉진됐다고 밝혔다.연구팀이 TMS로 5일 동안 뇌를 자극한 결과 정보를 장기간 저장하는 신경계의 메커니즘이 활성화됐다. 바탈리아 박사는 “쥐 실험 결과가 사람에게도 적용된다면 노화나 ... ...
- 지구온난화 가속시키는 바이오연료과학동아 l2008년 04호
- 대응하는 한 쌍의 유전자 대립인자라고도 한다상동염색체(相同染色體)가 서로 대응하는 부위인 상동의 유전자 자리를 차지한다대립유전자는 기호화하여 표시하며 우성은 알파벳의 대문자로, 열성은 소문자로 표시한다천체 망원경에 2~4개의 접안경을 회전식으로 조립한 장치 접안경들의 ... ...
- part 1 못 볼 곳 없는 천리안과학동아 l2008년 04호
- : 인공망막 칩, 인공망막 전극, 디지털 안경, 유도코일 4개사용법 : 안구의 망막 부위에 전극 삽입 디지털 안경을 쓰면 망막에 전기신호 유입 앞이 보이면 자연스럽게 활동유통기한 : 몸에 이식한 뒤 평생 사용사용대상 : 시각장애우와 저시력 환자 모두 사용주의사항 : 눈이 심한 압력을 받거나 ... ...
- 감금증후군에 걸린 남자과학동아 l2008년 04호
- 겉으로 보이는 입구가 다를 뿐 목에서는 하나의 입구로 합쳐진다. 해부학적으로는 이 부위를 인두(pharynx)라 부른다. 입으로 삼킨 음식은 인두를 통과해 식도를 거쳐 위에 전달되고, 코로 들이마신 공기는 인두를 통과해 후두를 거쳐 폐로 간다. 후두덮개는 음식이 혀를 통과하는 것과 동시에 후두 ... ...
- 다시 우뚝 선 우리 공룡 천년부경룡어린이과학동아 l2008년 04호
- 뼈를 중국으로 가져가 오메이사우루스의 뼈와 합쳐 조립해 본 다음, 뼈의 각 부위마다 번호를 붙여 다시 분리했어요. 그리고 이 뼈를 한국으로 가져 와 다시 번호 순으로 조립한 것이랍니다. 뼈와 뼈는 레고를 조립하듯 끼워 맞추는 거예요. 그리고 뼈 사이에 뼈를 지탱해 줄 철심을 넣는답니다.왜 ... ...
- 달콤살벌한 성형의 유혹과학동아 l2008년 03호
- 위험이 있으므로 반드시 치아 방사선 촬영으로 신경의 주행경로를 확인해야 한다. 절개 부위에 얼굴동맥과 정맥도 지나고 있어 이들이 손상될 경우 과다출혈 위험이 있다.7. 지방흡입방법 1cm 미만의 크기로 피부를 절개하고 관을 넣어 지방을 흡입한다. 복부의 경우 배꼽 주변(2개), 골반 앞쪽(2개), ... ...
- 질환 단백질의 입체구조에 맞는 열쇠 찾는다과학동아 l2008년 03호
- 암은 한번 치료한 뒤에도 재발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암세포가 혈관을 타고 다른 부위에 전이되기 때문이다. 연구단은 이 전이 과정에서 작용하는 단백질의 구조를 규명한 것.지난해 5월에는 비정상 세포가 스스로 사멸하는 메커니즘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단백질의 일부(단백질상호작용 ... ...
- 로봇과 스피커, 종이로 만든다과학동아 l2008년 03호
- 셀룰로오스 막 안에 약물과 센서를 넣었다가 병사가 총상을 입으면 약물이 자동으로 상처부위에 투입되는 ‘똑똑한 대일밴드’를 만들 수 있다. 여기에 간단한 전자회로까지 넣으면 환자의 상태가 원격으로 의료진에 전달되는 전자태그 역할을 겸한다. 김 교수는 “이 기술에 대한 국제특허를 ... ...
이전1161171181191201211221231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