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선
어류
고기
살코기
육류
식육
fish
d라이브러리
"
물고기
"(으)로 총 1,370건 검색되었습니다.
「누이좋고 매부좋은」 공생 이야기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잡힐 정도로 거리를 좁힌 후 촉수의 숲사이로 재빨리 도망치는 것이다. 포식자인
물고기
도 말미잘의 독가시를 잘 알고 있기 때문에 좀처럼 오도케우오의 유인작전에 넘어가려 하지 않는다. 포식자의 머리에 '이젠 멈춰야겠다'는 생각이 스치지만 이미 너무 깊게 들어와 버린 후다.이런 포식자의 ... ...
하루살이의 진짜 수명은?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다가오면 전기장이 흔들린다. 이 변화가 머리부분에 있는 감각기에 잡히게 되면 작은
물고기
의 운명은 그것으로 끝난다. 먹이의 위치를 포착한 짐나르쿠스는 정확하게 겨냥을 한 뒤 덥석 문다.5 ②비둘기가 낯선 땅으로부터 집으로 돌아올 수 있는 것은 두가지 능력을 초보유하고 있기 때문이다. ... ...
우리의 조상인 실러캔스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있으며 두종의 관계를 증명하지는 못한다는 것이다.사실 폐어(肺魚)라는 또 다른 종류의
물고기
도 오래전 멸종되었다고 믿어졌으나 19세기에 이르러 다시 발견되었다. 6마리도 못되는 폐어가 현재 생존해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폐어는 원시적인 허파를 가지고서 필요에 따라 공기를 들이켠다. ... ...
바람을 멈추게 한 거문고 소리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낚아 올릴때 썼던 낚시 바늘이라고 한다. 지금도 남태평양에서는 뉴질랜드를 '마우이의
물고기
'로 부르고 있다.기타 문의 사항이 있거나 아마추어 천문에 관심을 가지고 활동하고 싶으신 분은 한국아마추어 천문학회(Korean Amateur Astronomical Society, 약칭 KASS, 전화 02-453-8158)로 연락하시거나, 매월 넷째 . ...
(3) 창조론자에게 묻는다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경우에는 거의 유사하며, 생쥐와 토끼도 서로 닮아 있다. 그런데 가다랭이(bonito)라는
물고기
의 인슐린구조는 같은 어류인 토드고기(toadfish)보다 오히려 닭이나 오리 사람 등과 더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생쥐는 가까운 기니픽 보다는 오히려 닭 방울뱀 가다랭이와 더 가까운것으로 나타났다 ... ...
암호명 「타조알을 깨뜨려라」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말미잘은 대표적인 강장동물인데 촉수에 있는 자세포로
물고기
를 마비 시킨 다음 촉수로
물고기
를 끌어들여 강장에 가두어 버린다. 그러나 흰동가리 무리는 피부에서 끈적끈적한 액체가 나와 몸을 둘러 싸므로 말미잘의 독액으로부터 안전할 수 있다.흰동가리는 자라돔 무리로 몸길이는 15cm 내외다. ... ...
더 빠르게 더 강력하게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분석한다. 그러나 바닷속이라고 해서 잡음이 없지는 않다. 표층의 파도소리나
물고기
들에 의한 소리 등등, 이러한 수많은 잡음을 반향파와 구별해내는 작업은 엄청난 수학적인 계산을 요구한다. 크레이Ⅰ은 이를 훌륭히 수행했다. 드디어 ARCO사는 알래스카에서 기존의 원유회수율을 10%나 높이는데 ... ...
(2) 엔트로피와 화석이 창조론을 지지한다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보여주는 미국의 그랜드 캐년에도 5개의 지층만이 존재하며, 고생대 지층에서
물고기
의 화석이 발견됐다. 또 1백50여만종의 생물들이 출현하려면 종(species)과 종 사이를 연결하는 중간형태의 화석이 1백50여만 이상이어야 하므로 지층속에 중간 형태의 생물화석이 무수히 많아야 하지만, 현재까지 ... ...
가장 깊은 호수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있으며 그 중 약 4분의 3은 지구상 어디에서도 발견되지 않는 것들이다.바이칼 호수
물고기
중 가장 큰 것은 철갑상어인데 어떤 것은 길이가 71인치에 무게가 2백65파운드나 나가는 것도 있다. 바이칼 호수의 유일한 포유동물은 바이칼 물개다.소련정부는 바이칼 호수의 오염을 예방하기 위해 열심히 ... ...
화산은 살아있다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보고 있다. 화산활동은 때때로 새 토지를 만들기도 하며 해산(海山)이나 화산섬을 만들어
물고기
들의 좋은 생활터를 제공하기도 한다.화산이 활동하는 지역에는 온천도 있어 요양지로 이용되며, 화산하부에 있는 에너지는 천천히 끌어내기만 하면 훌륭한 에너지원이 된다. 현재 이탈리아나 뉴질랜드 ... ...
이전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