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선
어류
고기
살코기
육류
식육
fish
d라이브러리
"
물고기
"(으)로 총 1,370건 검색되었습니다.
저무는 토성과 떠오르는 샛별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1월 1일 염소자리로부터 동쪽으로 빠른 속도로 이동하기 시작하여 30일 경에는
물고기
자리 람다 별 근처에 위치하게 된다. 토성은 점점 서쪽으로 지며 희미해지는 한편, 자꾸 하늘 높은 곳으로 오르며 밝아지는 금성의 모습에서 다가오는 새해의 미래가 밝다는 느낌을 받는다.금성의 밝기는 1월 초 - ... ...
스페인 최악의 원유유출사고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또 그는 "1년이나 1년6개월 정도면 해양생물들도 원상회복될 것"이라고 말했다.하지만
물고기
와 조개 양식업자들은 오래지 않아 원상복구될 것이라는데 회의적이다. 적어도 수십년이 흘러야 원유유출 사고의 영향에서 벗어날 수 있다는 것이 그들의 중론이다 ... ...
뉴질랜드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선조이자 영웅인 마우이(Maui)에 의해 바다 속 깊이로부터 낚시로 낚아 올린 거대한
물고기
가 변형된 것이라고 한다. 그래서 마오리어로 북섬을 '테 이카 마우이'(Te Ika Maui)라고 하는데, 이 말은 '마우이의 고기'라는 뜻이다.이러한 뉴질랜드를 서양사람으로서는 네덜란드의 아벨 타스만(Abel Tasman)이 164 ... ...
5 미생물 앞세워 생태계 오염 씻어낸다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같은 중금속은 분해되지 않고 축적된다.플랑크톤은
물고기
의 먹이가 되고 사람은 이
물고기
를 섭취함으로써 그곳사람들 몸 속에 다량의 중금속이 축적됐던 것이다. 만약 중금속이 체내에 소량 들어오면 우리 몸에 있는 방어메커니즘이 작용, 소위 금속단백질을 합성하는데 이것이 중금속과 ... ...
6 바다 속에서 대체식량 캔다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성장호르몬을 대량으로 얻은 뒤 이를 이용해
물고기
를 대량증식할 수 있다.
물고기
의 성별을 원하는대로 조작, 부가가치가 높은 암(♀)연어만 생산한다거나 양식이 어려운 어패류의 발생성장에 관여하는 물질을 찾아내 대량증식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가까운 장래에 닥칠 식량자원의 고갈에 대처할 ... ...
(1) 공룡은 어떤 동물인가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번식해 바다
물고기
를 잡아먹고 살았다. 이들은 수중생활에 알맞는 체제로 진화했으며
물고기
와 같은 꼬리와 지느러미가 발달돼 있었다. 이 두 종류의 파충류들은 공룡과 같이 중생대 말기에 모두 전멸했다.공룡은 그 골격의 특징으로 보아 파충류임에 틀림없다. 그렇다면 자동적으로 공룡은 현 ... ...
하늘의 그리니치
물고기
자리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보이며 밝기는 0.9등급이다.이달의 별포말하우트(Fomalhaut, αPsA,
물고기
의 입)남쪽
물고기
자리의 으뜸별 포말하우트는 가을 하늘을 대표하는 상징적인 별로 우리나라를 비롯한 대부분의 북반구 중위도지역의 관측자들에게는 가장 남쪽 하늘에 보이는 1등별이다. 이 별은 남쪽 지평선 위로 한뼘 ... ...
노지카박물관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따른 어둠과 밝음의 미묘한 차이, 색조의 변화 등 시각 효과는 완벽하며 특히 인간이
물고기
와 함께 그물에 갇힌 느낌이 나도록 연출된 다이아몬드형 수조는 기존 수족관 연출에서는 볼 수 없는 독특한 것이다. 열수광상을 실물 크기로 형상화방문객은 일단 노지카에 들어서면 신비한 해저세계의 ... ...
갯지렁이의 별난 생태계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갯지렁이는 해양생태계의 환경미화원 노릇을 충실히 수행하고 있다.바다 속의 생물로
물고기
나 플랑크톤 같이 해수 중에 살고있는 것만 생각 하기 쉽다. 그러나 실제로는 바다 밑바닥에 높은 밀도로 생물들이 분포하고 있다. 이러한 해저의 저서생물(benthos) 가운데 가장 많은 것이 갯지렁이류 ... ...
Frog-And More In Space 우주공간에서의 개구리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초기의 양서류는 어기적어기적거리는 모양으로 걸었는데 이는 사지가 현재는 멸종된
물고기
들의 지느러미로부터 진화돼 몸체의 밑보다는 옆으로 나와있는 까닭이었다.어떤 양서류는 5천만년 전 시신세 때 살았던 메세로바트라쿠스 개구리처럼 결국은 튼튼하고 효율적인 다리를 발달시켰다. ... ...
이전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