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위
인조
가공
가상
시뮬레이션
모조
사이버
뉴스
"
인공
"(으)로 총 8,009건 검색되었습니다.
유상임 "R&D예산 삭감 직접 관할하지 않아 사유 살펴보지 못해"
동아사이언스
l
2024.10.08
고 꼬집었다. 이에 대해 유 장관은 "에산의 패러다임이 바뀌는 과정이었다"며 "
인공
지능(AI) 연구의 확대가 미친 영향이 가장 큰 것으로 보인다"고 답했다 ... ...
고성능 잉크젯 프린트 헤드로 바이오프린팅 생산성 높여
동아사이언스
l
2024.10.08
PMN-PZT 기반 프린트 헤드는 열 안정성 문제로 바이오프린팅 기술의 적용이 어려웠던
인공
장기 이식 및 약물 독성 평가 등 오가노이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다. 동작 온도가 30도 이하로 유지돼 온도에 민감한 전자재료의 변성을 방지하고 안정적인 프린팅 환경을 제공할 수 있어 의료 분야 외 ... ...
[사이언스영상] 메타가 낸 영상 생성AI 들여다보니
SEIZE
l
2024.10.08
자사 블로그에 텍스트 프롬프트로 영상을 생성, 편집하고 오디오를 생성할 수 있는
인공
지능 '무비 젠'을 발표했다. 무비 젠의 기능은 크게 네 가지다. 먼저 명령어로 새로운 영상을 생성할 수 있으며 두번째로 개인의 사진을 기존 영상에 삽입하는 '개인화'가 가능하다. 세번째로 기존 영상에 ... ...
[과기원NOW] 포스텍, 소규모 대학 평가서 세계 2위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10.07
역할을 하는 데이터다. 이번 세미나에서는 영어를 구사하는 발표자의 발표 내용이
인공
지능(AI) 자동번역 시스템에 의해 실시간으로 번역돼 한글 자막으로 제공된다 ... ...
텔레픽스, 건국대와 원격탐사 연구·인재 양성 MOU
동아사이언스
l
2024.10.07
기술을 보유한 텔레픽스와의 MOU 체결을 통해 에코업혁신융합대학 사업단의 위성특화
인공
지능 교육실습과 원격탐사관련 연구협력이 이루어져서 학생들의 신기술 습득과 우리나라 위성영상 활용분야 발전에 큰 계기가 되길 희망한다"라고 밝혔다. 텔레픽스는 위성 탑재체부터 위성 데이터 처리 ... ...
전자레인지 원리로 나트륨 이온 전지 음극재 제조
동아사이언스
l
2024.10.07
C)보다 분자층 사이가 먼 하드 카본이 활용된다. 하드 카본은 자연계에 존재하지 않아
인공
적으로 만들어야 한다. 공기가 통하지 않는 공간에서 식물·고분자 재료인 탄화수소를 1000℃ 이상의 고온으로 오랜 시간 태우는 탄화 공정이 필요하다. 과정이 까다로워 경제·환경적으로 부담이 크고 나트륨 ... ...
과학잡지·AI 결합 '어린이과학동아 Smart+' 출시
동아사이언스
l
2024.10.07
새 구독상품인 ‘어린이과학동아 Smart+’. 국내 최초로 과학잡지에 디지털 콘텐츠와
인공
지능(AI) 챗봇 등을 결합한 스마트 구독상품이 등장했다. 2025년 AI 디지털교과서 도입 등에 맞춤형 해결책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약 290만명의 누적 구독자를 보유한 동아사이언스가 과학잡지에 디지털 과학 ... ...
눈과 얼음의 남극 풍경, 초록빛으로 바뀐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0.06
극히 일부 지역에서만 식물이 자란다. 연구팀은 1986년부터 2021년까지 남극을 촬영한
인공
위성 사진을 분석해 기후변화에 따른 남극의 녹지 면적 변화와 변화 속도를 조사했다. 붉은색 빛을 많이 흡수하고 근적외선을 많이 반사하는 식물의 특성을 활용한 것이다. 이끼로 뒤덮여 초록색이 된 남극 ... ...
장학금 주고 모신 이공계 외국인 석박사, 줄줄이 본국행
동아사이언스
l
2024.10.06
국내 이공계 석박사 진학생 수는 매해 감소하는 추세다. 정부는 재정 지원을 통해
인공
지능(AI), 나노 등 4차 산업 핵심 분야에서 예상되는 연구 인력 공백을 외국인 석박사 유학생 유치로 대비하겠다는 계획을 세웠다. 하지만 예산 투입 대비 외국인 유학생의 국내 정착 효과가 미미하다는 지적이 ... ...
[기고] 달에 가려면 로켓맨의 맥(脈)을 살려야
2024.10.04
쓰는 발사체 기술을 갖기 위해 KSR-III 과학로켓을 2002년 발사하였다. 이를 디딤돌 삼아
인공
위성을 우주 궤도로 보내기 위한 우주발사체 나로호 개발에 착수하였다. 우주발사체는 대량살상무기 운반체로도 사용할 수 있어서 국가 간 기술의 판매나 협력이 불가능한 것이 국제질서다. 기술력이 ... ...
이전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