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외양간
우사
울타리
담장
담
가축 우리
닭장
뉴스
"
우리
"(으)로 총 9,784건 검색되었습니다.
[레디!퓨전] 핵융합로 '지원군' 자처한 日 스타트업 '교토퓨저니어링'
동아사이언스
l
2023.09.16
연료가 고갈될 인류에게 핵융합은 꼭 필요하다. 전 세계 인구가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우리
는 더 많은 전력을 필요로 하며, 핵융합은 엄청난 에너지를 감당할 수 있는 기술”이라고 말했다. 이어 “핵융합은 물리학 단계에서 공학 단계로 접어들었다. 이것은 기술이 실현화될 가능성이 더 ... ...
[표지로 읽는 과학] 8년전 약속 '지속가능 발전' 성적은 '낙제점'
동아사이언스
l
2023.09.16
7년이 지났고 2030년까지 다시 7년이 남은 상황이다. 네이처는 이번 주 특별호를 통해
우리
가 SDGs를 어디까지 실현했는지, 전 세계 공동 목표를 현실화하려면 앞으로 무엇을 해야 할지에 대해 다뤘다. 네이처는 최근 3개월간 지금까지 이룬 진전과 변화를 조사했다. 그 내용을 분석한 결과 현재 ... ...
목포 홍수·사라지는 백사장…해수면 상승 위협 현실화
어린이과학동아
l
2023.09.16
물에 잠긴 목포. 동아일보 제공 지난 7월 전라남도 목포가 물에 잠겼습니다. 건물에도, 주유소에도 물이 차올라 시민들은 바지를 걷어붙이고 물살을 가르며 다녀야 ... 자세가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관련기사 어린이과학동아 9월 1일, [특집]
우리
동네가 가라앉는다면 해수면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오랜 이론 무색한 '기후 위기' 우려
2023.09.16
지구가 이렇게나 망가졌다는 분노를 보이기도 한다. 분명히 다가오고 있는 재앙에 대해
우리
는 어떤 태도를 가져야 할까. 에든버러대의 환경 심리학자 데릭 에벤슨(Darrick Evensen) 등은 2019-2020년에 걸쳐 영국인 약 1900명을 대상으로 기후 위기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과 걱정을 조사했다. 때마침 COVID-1 ... ...
도시숲에는 어떤 식물과 곤충이 살까
시민과학파트
l
2023.09.15
신창호 원장은 “도시숲은 산림의 숲과 나무들을 국민의 생활 속으로 들여온 숲으로,
우리
가 잘 가꾸고 보전해야 하는 중요한 공간”이라며 “이번 2회에 걸친 도시숲 시민과학자 프로그램을 통해 국민과 함께 도시숲의 중요성을 알리고 도시숲의 생물다양성보전을 위해 힘쓰겠다”고 전했다. 2차 ... ...
"한국과 영국은 해안선 길어 해양에너지에 유리...협력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23.09.15
그는 이어 “한국의 과학자들이 이 분야에서 뛰어난 기술력을 갖고 있다는 사실 또한
우리
가 한국과 협력하길 바라는 주된 이유 중 하나”라고 설명했다. 기술개발 목표가 유사한 점도 언급했다. 현재 해상풍력 발전기 1기당 총용량이 24MW(메가와트)의 전력을 생산할 수 있는 기술을 가진 영국은 2 ... ...
태양의 심술 '코로나' 실체 규명에 한걸음 더 가까이
동아사이언스
l
2023.09.15
뜨거운 이유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며 “태양의 열 자체를
우리
힘으로 막을 순 없지만 태양에서 대규모 열이 방출되는 지점과 시점을 예측할 수 있게 되면 지구에서 발생 가능한 환경 변화와 피해에 대비할 수 있다”고 말했다. ● 사고, 정전 등 대비하려면 코로나 ... ...
정부 "2024년 전국민이 AI 일상적으로 쓰는 시대 열겠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9.13
인정 받고 있다”며 “국내 AI 산업은 연평균 43% 수준으로 가파르게 성장하고 있다.
우리
가 보유한 ICT 역량과 AI 잠재력을 바탕으로 디지털 모범국가로 도약을 본격 추진할 시점”이라고 설명했다. 이를 위한 네 가지 정책 방향으로, 우선 글로벌 협력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내년부터 미국,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완전히 길을 잃어버린 ‘과학기술정책’
2023.09.1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존재 이유? 지난 반세기 동안 애써 다듬어왔던
우리
의 과학기술 정책이 이제는 온전하게 길을 잃어버린 상황이다. 떠들썩하게 등장했던 부총리급 과학기술부가 그 시작이었다. 국가연구개발 사업에 대한 총괄 조정기능은 지금도 오리무중이다. 오히려 막강한 권한을 ... ...
수십광년 밖 외계 행성에 바다 존재 가능성…"생명 징후도"
연합뉴스
l
2023.09.12
이 행성의 바다가 생명체가 살기에는 너무 뜨거울 수도 있다. 마두수단 교수는 "
우리
의 발견은 다른 행성의 생명체를 찾을 때 다양한 거주 환경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강조한다"고 전했다. -저작권자(c) 연합뉴스 ... ...
이전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