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최대량
최고
d라이브러리
"
최대
"(으)로 총 4,326건 검색되었습니다.
[Tech & Fun] 박승휴 망해라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있을 것이다. 그렇게
최대
정보처리량의 가능성이 더 높은 우주라면, 바로 거기서 나타난
최대
의 정신이야말로 우리 수준을 초월하는 더 높은 지식을 만들어 낼 가능성이 있지 않겠냐고, 나는 설득했다. 바로 그 정신이 우리가 갖지 못한 세상의 모든 것에 대한 해답을 찾아내 줄 것이다.박승휴의 ... ...
새와 공룡 너무나 닮은 우리 사이
수학동아
l
2016년 03호
땅을 긁은 것 같은 흔적 화석을 50여 지점에서 발견했습니다. 긁힌 자국은
최대
지름이 약 2m로 거대했지요. 긁힌 자국 60여 개가 무더기로 발견된 곳도 있었습니다.결론부터 말하자면 이 흔적은 수컷 아크로칸토사우루스 여러 마리가 암컷 한 마리로부터 선택을 받기 위해 구애 행위로서 땅을 판 결과 ... ...
[수학동아클리닉] 수학실험실_사라진 어진을 찾아라
수학동아
l
2016년 03호
큰 대나무를 찾아보세요. 그 나무의 키는 어떻게 구할 수 있을까요? 대나무는 줄기가
최대
20m까지 자랍니다. 꼭대기까지 자를 써서 키를 재는 건 무리입니다.첫 번째 방법은 그림자를 이용하는 겁니다. 과거에 비슷한 방법으로 거대한 피라미드의 높이를 잰 사람이 있었습니다. 바로 수학자 ... ...
[Knowledge] 대의를 위한 희생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어른으로 무사히 성장하는 자식 수를 측정하면 된다. 어른으로 무사히 자라는 자식 수를
최대
화하려는 이기적인 동기에서 새들이 번식을 조절한다면, 알이 둘인 둥지에서 어미새는 가장 큰 성공을 거둘 것이다. 개체 입장에서는 알을 더 낳는 편이 낫지만 집단을 위해 이타적으로 번식을 자제한다면, ... ...
Part 3. 동물실험의 문제점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3호
동물관리·사용 기관심의위원회에서 허용한
최대
크기인 15mm보다 컸어요.
최대
크기를 정해놓은 이유는 종양이 기준치보다 커질 경우 실험동물이 느끼는 고통이 너무 크기 때문이에요.결국 네이처는 논문에서 해당 실험의 내용을 삭제하도록 했답니다.암세포가 자란 실험용 쥐의 모습.암세포의 ... ...
1인용 이동수단이 뜬다! 스마트 모빌리티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2호
470kg 정도의 초소형 전기차에는 100kg 이상의 배터리가 들어 있어요. 1회 충전으로
최대
서울에서 강원도 춘천까지 거리인 100km까지 이동할 수 있지요. 과학자들은 충전 시간을 1시간 이내로 줄이고, 효율은 지금보다 2배 높은 배터리를 개발하기 위해 계속해서 연구하고 있답니다. # 오우~! 스마트 ... ...
[News & Issue] 블랙홀이 먹을 수 있는
최대
질량 태양 500억 개
과학동아
l
2016년 02호
구체적으로 밝혀지지 않았다. 영국 레스터대 물리천문학과 앤드루 킹 교수는 블랙홀이
최대
태양 질량의 500억 배까지 빨아들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2015년 12월 9일 온라인 논문 게재 사이트 ‘아카이브(arXiv.org)’에 발표했다.대부분의 은하는 중심부에 초거대 블랙홀을 가지고 있고, 블랙홀 ... ...
[News & Issue] 5억 년 전 알 품은 동물 찾았다
과학동아
l
2016년 02호
분석한 결과 몸의 앞쪽, 머리와 가까운 부분에 있는 갑피 아래 지름이 2mm가량인 알이
최대
24개 보존돼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이는 알을 품은 동물 화석 중 가장 오래된 것이다. 왑티아 화석보다 700만 년 앞선 절지동물 화석에는 알이 다리 쪽 부분인 부속지에 붙어 있다.이번 연구결과는 동물의 ... ...
[News & Issue] 명절 보낸 아내를 위한 과학 노래
과학동아
l
2016년 02호
민족
최대
의 명절이라는 ‘설’과 ‘추석’ 다음에는 항상 우울한 기사가 따른다. ‘명절 이후 이혼 소송 급증’. 실제로 지난해 설 연휴 다음 달인 3월에 접수된 이혼소송은 3539건으로 전달(2540건)보다 39.3%증가했다. 이런 추세는 2009년 이후 6년째 예외 없이 반복되고 있다. 가족의 정을 되새기는 ... ...
PART 1. 수중과학수사대 훈련현장에 가다
과학동아
l
2016년 02호
특수부대와 구조대에서 뼈가 굵은 잠수 베테랑들로 이뤄져있다. 이들은
최대
5노트(초속 2.6m)에 이르는 강한 조류를 만들 수 있는 해양경비안전교육원 잠수훈련장에서 훈련을 한다. 신 경위는 “똑같은 바다는 없다”며 “최악의 조건에서도 몸을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훈련이 필요하다”고 ... ...
이전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