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최대"(으)로 총 4,326건 검색되었습니다.
- [News & Issue] ‘다중신호 천문학’ 시대 열린다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천문그룹에게 파원의 위치정보와 함께 중력파 검출사실을 알렸다. 이 중 25개 천문그룹이 최대 세 달까지 후속관측을 했다. 여기에는 전파, 가시광선, 근적외선, X선, 감마선 등 빛의 모든 스펙트럼 영역이 포함됐다.당시 후속관측에선 빛이 관측되지 않았다. 물질이나 전자기파가 나오지 않는 블랙홀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미친 화학자의 실험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많이 넣으면 녹지 않고 바닥에 가라앉아요. 이는 어떤 온도에서 일정한 양의 용매 속에 최대로 녹일 수 있는 용질의 양이 정해져 있기 때문이에요. 그래서 물에 소금을 넣고 유리막대로 저으면 처음에는 잘 녹다가 어느 순간 아무리 저어도 더 이상 녹지 않는 거지요. 이처럼 더 이상 녹일 수 없는 ... ...
- [지식] 스파이더맨 될 수 없다vs있다수학동아 l2016년 06호
- 때 낼 수 있는 힘의 최대 크기 등을 조사해 수학적인 공통점을 찾아냈다.벽에 붙는 힘의 최대치는 발바닥의 크기와 비례했다. 또한 벽에 잘 들러붙고 또 수직 등반하려면 몸무게가 가벼울수록 유리하다. 그래서 척추동물보다는 가벼운 무척추동물이 수직 등반하기에 유리하다. 그 대신 수직 등반을 ... ...
- [Knowledge] 생명과학의 성배를 찾아서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최대화한다.‘유전자의 눈’ 관점의 씨앗을 심다자연선택에 의한 진화는 개체가 무엇을 최대화하게끔 행동하게 만들까? 해밀턴이 찾은 정답은 포괄 적합도, 즉 어떤 행동이 당사자의 적합도에 끼친 영향뿐만 아니라 그 유전자를 공유할지도 모르는 다른 개체의 적합도에 끼친 영향의 일부분도 ... ...
- Part 1 인체 플랫폼화 기술,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대신해 산소를 운반하는 인공 분자. 멸균 처리를 할 수 있기 때문에 감염 위험이 적고, 최대 3년까지 실온에서 보관할 수 있다. ABO 항원 역할을 하는 단백질이 없어 혈액형에 관계없이 수혈할 수 있다. 아직 시판 승인을 받은 제품은 없으며(아프리카 일부에서 제한적 사용), 시판되더라도 적혈구의 ... ...
- [Tech & Fun] 친절한 금자씨의 ‘락스 살인 사건’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따르면 국외에서 소금 중독으로 사망한 이들이 섭취한 소금의 양은 최소 20g에서 최대 1000g이었습니다.소금(NaCl)을 많이 먹게 되면, 혈액의 나트륨 비율이 높아지는 고나트륨혈증이 생깁니다. 이때는 수분이 세포 밖 혈액으로 이동하게 됩니다. 세포 안보다 세포 밖 혈액의 농도가 더 높아 삼투압에 ... ...
- [과학뉴스] 기생충에 기생하기, 비결은 ‘효율’과학동아 l2016년 05호
- 2차보다는 3차 기생의 효율이 더 높다는 사실을 발견했다.3차 기생을 한 곤충은 효율이 최대 93%에 달했다. 숙주의 몸을 100g 갉아먹으면 그중 93g은 자신의 몸으로 만든다는 뜻이다. 이 논문은 ‘영국왕립학회보 B’ 3월 9일자에 실렸다 ... ...
- [News & Issue] 지구의 노래를 들어라과학동아 l2016년 05호
- 깊이는 항상 이보다 얕다”고 말했다(바다에서 수심이 가장 깊은 마리아나 해구의 최대 수심이 약 11km다). 그는 “파도가 해저면에 직접 주는 영향에 비해 파도 충돌 효과는 10억 배 정도 약하다”고 덧붙였다.그렇다면 과연 사람들이 들었다는 요상한 소음은 뭘까. 이원상 극지연구소 ... ...
- [News & Issue] 어서와, 이런 알바는 처음이지?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작업을 한다. 자세를 바꿔가며 두 시간 가량을 작업했다. 그동안 근전도 센서는 근육의 최대 수축 정도를 측정해 작업량을 측정하고, 동작 센서는 행동 패턴을 낱낱이 기록했다. 압력 센서도 기자의 체중이 발바닥에 얼마나 실리는지 꾸준히 체크한다. 눈치챘겠지만 자세별로 어떤 근육이 활성화되고 ... ...
- [과학뉴스] 암흑물질, 사람 세포만큼 무겁다?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질량이 1013GeV/c2에서 1015GeV/c2 사이일 것으로 추정했다. 최소 윔프보다 1000억 배 무겁고, 최대 인간 세포 하나의 질량(1나노그램)과 맞먹는다. 연구팀은 질량이 큰 대신 입자의 상호작용이 훨씬 약할 것으로 내다봤다.산도라 연구원은 미국의 과학매체 ‘스페이스(Space)’와의 인터뷰에서 “질량은 ... ...
이전1161171181191201211221231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