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체
날씨
일기
기후
양미간
눈살
미간
d라이브러리
"
천문
"(으)로 총 3,078건 검색되었습니다.
‘별의 단발마’ 항성풍의 정체는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많았는데, 이번 연구로 해결됐다”고 밝혔다.앨버트 지즐스트라 영국 맨체스터대 물리
천문
학부 교수는 “강한 항성풍에 있는 먼지는 우주 먼지가 돼 새 별을 탄생시키는 역할을 한다”며 “별이 탄생하고 죽는 순환 과정을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그가 붓을 들면 우주가 잠을 깬다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을 왜곡하지 않고 정확히 표현하는 것 또한 중요하다”고 말한다.
천문
학 분야의 시각화 작품이 ‘스타워즈’처럼 흥미롭지만 과학의 정확성도 유지하는 식으로 균형을 잡는 게 중요하다는 뜻이다.2008년 그는 우리은하를 위에서 바라볼 수 있다면 어떻게 생겼을지 정확히 ... ...
A Little Neptune Suggests Big Things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조건이라면, M-왜성 주변에도 생명체가 있는 행성이 있을 수 있다고 생각했다. 하버드대
천문
학자이자 베르타의 지도교수인 데이빗 샤르보노가 시작한 MEarth 프로젝트가 바로 이것이다. 작고 차가운 항성주변을 공전하는 행성 중 생명이 있을 가능성이 있는 곳을 찾는 것이다. 이 프로젝트는 ... ...
코페르니쿠스의 원리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방향으로 치우쳐 움직이고 있는지를 알게 된 것이다. 믿거나 말거나 이런 일이 가능하다.
천문
학자들은 코페르니쿠스 원리로부터 자유롭기를 갈망한다. 내가 보는 우주가 혹시 위치 때문에 정확히 보이지 않는 것은 아닐까 염려하며 북반구에서도 남반구에서도 가까운 우주와 먼 우주를 관측하고 또 ... ...
Intro. 우주를 뛰어넘은 사랑 가능할까 - 다중우주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단 한번도 확인할 수 없던 일”이다. 그나마 가설이나 이론을 만들 수 있게 된 것도 관측
천문
학이 발달한 불과 몇 십 년밖에 되지 않는다. 만약 우리가 사는 우주 외에 또다른 우주가 있다면 과연 어떤 모습일까. 지금부터 다중우주를 찾는 (가상의) 모험을 시작해 보자. 모험은 크게 세 부분으로 ... ...
Part3. 비판과 한계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시뮬레이션 다중우주는 가짜 우주일까. [지난 해 7월 스테판 피니 영국 런던대 물리
천문
학부 교수팀이 찾은 ‘영원한 인플레이션 다중우주’의 충돌 흔적 후보(오른쪽 아래 색이 다른 부분). 아직은 좀더 상세한 연구가 필요하다.]주기적 다중우주관측을 통해 검증할 수 있을까그린 교수는 ‘멀티 ... ...
물리학자가 우주상수에 집착하는 이유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있는 것으로 해본 조사에 따르면 적어도 지금부터 46억 년 전까지 α는 상수였다.그런데
천문
학자들이 우주에서 퀘이사를 발견하면서 α에 대한 조사가 아주 먼 초기 우주까지 거슬러 올라갔다. 퀘이사는 우주에서 가장 멀리 있는 천체다. 퀘이사를 연구하면 137억 년의 우주 나이 가운데 약 120억 년 ... ...
20회 천체사진공모전 이글이글 타오르는 태양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수준과 예술성이 예년에 비해 많이 좋아졌다”고 이번 대회를 평가했다. 당선작은 한국
천문
연구원(www.kasi.re.kr), 국립중앙과학관(www.nsm.go.kr), 동아사이언스(www.dongascience.com) 홈페이지에서 볼 수 있다. 시상식은 4월 중에 열릴 예정이다. 주요 수상작을 미리 엿보자 ... ...
우주망원경 총정리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달의 뒷면 같은 곳에 거대한 망원경이 있는
천문
대를 지을 수도 있다. 그런 날이 오면
천문
학자들 스스로 망원경을 따라 우주로 나가지 못해 안달이 아닐까 ... ...
Part1. 왜 4할 타자가 사라졌을까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전체를 디지털 데이터로 만드는 ‘슬론 디지털 우주 조사(SDSS)’ 프로젝트는 하루 200GB의
천문
데이터를 생산하고 있다. 책은 어떨까. 전세계의 디지털 책에서 사용된 단어 중 2010년 12월 구글이 분석한 것만 모아도 5000억개가 넘는다. 하지만 전 세계 책의 4%에 불과하다. 디지털화되지 않은 책 ... ...
이전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