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정도"(으)로 총 15,438건 검색되었습니다.
- [400호 기념] 마인크래프트 어과동 마을제작기2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2호
- NPC로 이동하여 같은 방법으로 커맨드블록을 설치했어요. 좌표(-20, 4, 40)의 NPC의 10칸 정도 떨어진 곳에 커맨드블록을 설치하고 레드스톤 ‘항상 사용’ 옵션으로 바꾼 뒤 다음 명령을 입력했지요. ➋ 좌표(-20, 4, -20), 좌표(40, 4, -20)의 NPC에도 같은 방법으로 커맨드블록을 설치한 뒤 다음 명령을 각각 ... ...
- [수학 잘하는 동물 친구들] 동물에게 배운 지혜 사막개미를 닮은 로봇, 앤트봇!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2호
- 했더니 무려 99.32%의 정확도로 도착했어요. 인공위성을 이용하는 GPS의 성능을 뛰어 넘는 정도예요. 앤트봇은 단순한 구조와 기술로 만들었는데도 놀라운 성능을 가지고 있지요. 앤트봇은 GPS를 사용할 수 없는 재난 현장이나 우주 탐사 등에 활용될 수 있을 거라고 해요 ... ...
- “가장 먼 퀘이사에서 온 어두운 빛 검출을 기대합니다”과학동아 l2021년 12호
- 연구할 수 있습니다. 이루고 싶은 목표가 있나요초대질량블랙홀은 크기가 태양계 정도로 매우 작지만, 블랙홀보다 수백만 배나 더 큰 은하 규모, 혹은 은하보다 수천 배 큰 은하단 규모에서의 활동에 영향을 미칩니다. 이렇게 방대한 시간, 공간 규모가 엮여 있는 현상을 종합적으로 이해하려면, ... ...
- 물리 논문에 이름 올린 나는…고양이로소이다과학동아 l2021년 12호
- 명중시켰다. 1년 반 전 그들이 위치추적기를 달아 방생했던 곰의 무게는 이제 150kg를 넘길 정도로 성장해 있었다.시간이 지나 라슨은 잠든 곰을 확인하러 동굴로 향했다. 그리고, 커다란 눈과 마주쳤다. 곰은 깨어 있었다. 동행했던 내셔널지오그래픽의 사진작가 코레이 아놀드는 이 순간을 포착했다 ... ...
- 문화 산업 지키는 파수꾼, 디지털 보안과학동아 l2021년 12호
- 불법 유통으로 고전하던 시기, DRM이 음원에 도입되며 불법 유통 시장이 거의 사라졌을 정도로 강력한 보안 기술이다. 구독형 스트리밍 서비스가 확산되면서 여전히 DRM은 널리 쓰이는 추세다. 애플의 ‘페어플레이(Fairplay)’, 구글의 ‘와이드바인(Widevine)’, 마이크로소프트의 ‘플레이레디(Playready)’ ... ...
- 업스케일링, 필름복원, 디지털화...마스터피스 되살린다과학동아 l2021년 12호
- 있는 OTT 서비스가 확산하는 등 트렌드가 변했기 때문이다.필름 영화를 디지털화하는 과정도 물리적인 손상을 복구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영사기에서 상영이 가능할 수준으로 손상된 부분을 고친 후에는 스캐너를 이용해 영상과 음성을 디지털 파일로 변환한다. 이후에는 편집이 진행되는데, 영화 ... ...
- [매스미디어] 스파이더맨 : 노 웨이 홈수학동아 l2021년 12호
- 가장 높은 곳에서 바닥으로 떨어질 때의 최대가속도와 같은 크기인 약 58.8m/s2 정도를 버텨낼 힘이 필요하다는 걸 알 수 있었습니다. 롤러코스터에서도 겨우 좌석 안전바에 꽁꽁 묶여 버틸 수 있는데, MJ의 맨손으로는 쉽지 않은 값이지요? 판단은 여러분의 몫으로 남겨둘게요 ... ...
- [숫자뉴스] 메뚜기 친구 풀무치 10번째 먹는 곤충 됐다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2호
- 비슷하게 생기고 덩치는 2배 정도 큰 곤충 ‘풀무치’가 먹을 수 있는 곤충으로 인정받았어요. 영양소가 풍부하고 먹어도 안전하다는 뜻이에요. 우리나라에는 먹을 수 있는 곤충, 즉 식용곤충이 총 10가지 있어요. 제일 먼저 메뚜기, 백강잠, 누에 유충과 번데기가 식용곤충이 됐고, 그다음 갈색 ... ...
- [과학뉴스] 철의 산화과정, 나노입자로 빠르게 밝혔다과학동아 l2021년 12호
- 차이의 원인을 밝혀내기 위해 연구팀은 컴퓨터 모델을 이용해 나노입자 내 산소의 확산 정도를 시뮬레이션했다. 그 결과 기존에 알려진 것과 달리 버웨이 상전이가 자철광의 산화도 뿐 아니라 입자 내 산소 분포 패턴에도 영향을 받는다는 사실을 밝혔다. 박 교수는 “나노입자의 산화 과정을 ... ...
- 따뜻하면서 멋스럽게, MZ 세대 겨울 패션 공식과학동아 l2021년 12호
- 기술이 포함된 발열 의류 제품을 한정 수량으로 시즌마다 출시하고 있는데, 구매가 힘들 정도로 인기가 좋다. 연구팀은 지난 3년 동안 연구한 기술을 접목하고, 자체적으로 디자인한 옷을 이달 22일 대한민국 과학기술대전에서 선보일 예정이다 ... ...
이전11912012112212312412512612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