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탐구자
조사자
연구원
d라이브러리
"
연구자
"(으)로 총 2,588건 검색되었습니다.
어벤져스 대작전 대칭 몬스터를 찾아라!
수학동아
l
2012년 07호
이 거울도 대칭이잖아! 우리가 거울대칭을 놓치고 있었어. 나와 함께 거울대칭의 대표
연구자
를 만나러 가자구!저는 최근에 벽횡단 공식에 대해 연구 중입니다. 어떤 다양체가 시간에 따라 움직인 궤적을 보면 계속 같은 성질을 유지하다가 어느 순간 벽을 만나면서 그 모습이 확 바뀌는데, 이 때 두 ... ...
Part 2. 허파꽈리가 칩속에서 헐떡헐떡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조직의 형태와 기능을 그대로 본따고, 생리적 기능까지 갖추는 연구가 최근 생체모방
연구자
들 사이에서는 소위 ‘핫(hot)’한 분야로 꼽힌다. 허 교수의 허파꽈리 조직 모사 칩은 신약의 반응을 테스트하고 부작용을 없애는 데까지 기능을 확장하고 있다. 허파꽈리 칩을 통해 미세 신체조직 모방의 ... ...
시조새는 여전히 진화의 증거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500만 년 정도 더 앞선 지층에서 발견된 조류 화석인 ‘샤오팅기아 정기’가 공개됐다.
연구자
들은 “이들 화석을 비교 분석한 결과 시조새는 새보다는 공룡이다”라고 주장했다. 이런 이유로 ‘시조새는 공룡과 조류를 잇는 중간 단계가 아니어서 진화의 증거가 아니다’라는 주장이 나오기 ... ...
통신 오류 잡는 수학 ‘마술사’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교수의 연구실에는 박사과정 12명, 석사 4명 총 16명의 학생이 있다. 학생들에게 강조하는
연구자
로서의 덕목은 무엇일까. 노 교수는 우선 학문적인 측면에서 지식 자체보다 새로운 것을 창출하는 능력을 키우라는 이야기를 했다.“20대 중반에 연구한 걸 갖고 평생 살 순 없습니다. 세상은 계속 ... ...
Part 1. 태양보다 100억 배 무거운 블랙홀 있다!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데이터가 부족해 정확하지는 않지만 태양질량의 100억 배가 넘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연구자
들은 “초기 우주의 퀘이사 밝기를 생각하면 일부 블랙홀의 질량은 태양의 100억 배를 뛰어넘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앞으로 관측위성의 감도가 높아지면 더 무거운 블랙홀도 얼마든지 나올 수 있다는 ... ...
Part 2. 생각하는 로봇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수학의 바탕 위에서 발전한 것이다. 1980년대까지 기호적 인공지능은 각광을 받았다. 많은
연구자
들이 적절한 기호의 표현 방법과 기호를 다룰 수 있는 방법을 연구했다.그러나 80년대 중반에 비판에 부딪힌다. 단순한 기호만으로 인간의 인지 능력을 모두 표현할 수는 없다는 것이 반론이었다. 사람이 ... ...
Part 5. 동해의 탄생에 얽힌 수수께끼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맨틀의 대류를 일으켜 새로운 해양지각이 형성된 것이 동해라는 것이다.그러나 우리나라
연구자
들의 설명도 완벽하게 증명하려면 해저 지각을 15km 이상 뚫어봐야 한다. 맨틀층에 가까운 정도로 해저 지반을 뚫어서 조사해 봐야 동해의 형성 과정을 정확하게 설명할 수 있다는 것이다. 15km 깊이는 ... ...
Part4. 인삼 약효도 장내미생물 덕분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1960년대였다. 그러나 이 발견은 별다른 주목을 끌지 못했다.그런데 1980년대 중반 일본의
연구자
들이 사하제(설사를 유발해 변비를 치료하는 약)로 쓰이는 대황이 약효를 보이려면 장내미생물이 있어야 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런 상황을 지켜보던 김 교수는 한약에 즐겨 쓰이는 여러 약재도 ... ...
그가 붓을 들면 우주가 잠을 깬다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보도자료의 글을 훑어보고 글의 초점에 맞춰서 그림을 그리게 된다. 이렇게 그린 그림은
연구자
가 다시 검토한다. 잘못 표현된 부분이 있으면 수정한다. 이 과정을 몇 번 거쳐 그림은 완성되고 보도자료에 포함돼 언론에 배포된다.이 과정에서 어떤 내용을 그림으로 그려야 할지 심사숙고하며 ... ...
Part1. 해저도시 건축학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살 수 없게 된다면요? 방사능 오염이 지구 대륙 전체에 퍼진다면요?”잠시 머뭇거리는
연구자
들. 이내 진지한 답이 돌아온다.“생각만 해도 끔찍하지만 충분히 발생할 수도 있겠네요. 그때는 비용이 문제가 아니죠. 그런 상황이라면 해저도시는 충분히 선택할 수 있는 옵션입니다.”생각보다 저렴한 ... ...
이전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