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능"(으)로 총 5,763건 검색되었습니다.
- 대한민국 로봇 ‘휴보’ 세계를 제패하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휴머노이드로봇연구센터 창업 벤처기업인 ‘레인보우’의 김인혁 기술이사는 “특수기능을 개발하는 것 만큼이나 로봇의 안정성을 끌어올리는 데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며 “로봇 제어에 필요한 별도의 운영환경까지 자체 개발했기 때문에 안정성 면에선 최고 수준”이라고 자랑했다.다른 ... ...
- Part 2. 의료인류학으로 본 MERS과학동아 l2015년 07호
- 급감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개체 수준에서는 불의 사용이 음식을 통한 감염을 막는 순기능을 하지만, 인구 집단 전체의 관점에서 보면 병원체 다양성이 감소되는 부작용이 일어난다. 또한 두 발로 걷기 시작하면서 병원체가 득실대던 열대 우림을 떠나 사바나, 혹은 이보다 더 척박한 땅으로 ... ...
- [Life & Tech] 바이오(Bio) 화장품의 진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없다. 식품의약품 안전처(이하 식약처)에서도 바이오 화장품이란 단어를 사용하지 않고, 기능성 화장품의 일부로 취급하고 있다. 이 기사에서 다루고자 하는 바이오 화장품은 ‘천연 추출물 또는 바이오 기술에 기반한 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화장품’을 말한다(2015년 5월 27일 LG경제연구원 Weekly ... ...
- PART 1 인공지능 디스토피아는 없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아는 게 거의 없다. 이성환 교수는 “인간이 뇌를 연구한 지 100년이 넘었지만, 두뇌 전체 기능을 밝히는 연구는 아직도 걸음마 수준”이라고 평가했다. 과학자들은 302개의 뉴런과 7000개의 시냅스를 가진 예쁜꼬마선충의 신경계를 뉴런 단위로 해독하는 데 성공했는데, 연결상태가 너무 복잡해서 ... ...
- Part 1.[발光하는 테크놀로지] 光의시대 光테크를 보여드립니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보겠습니다. 여러분 스마트 워치에 대해선 들어보셨죠. 스마트 워치는 대부분 헬스케어 기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운동량이나 심박동을 재서 시간처럼 알려주는 거죠. 그런데 시계가 도대체 어떻게 몸속 심장 박동을 알아내는지 궁금하신 적 없었나요? 맥박 때문에 피부가 떨리는 것을 빛으로 ... ...
- [교과연계수업] 긁적긁적, 환절기에 피부가 더 가려운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7호
- 게다가 따뜻하다가도 갑자기 추워지는 변덕스러운 날씨 탓에 피지선과 땀샘이 제기능을 못하기도 해요. 그럼 제때 땀과 기름이 배출되지 않아 피부는 더 건조해지고, 각질이 일어나면서 가려움은 더 심해진답니다. *지질 : 탄수화물, 단백질과 함께 우리 몸을 구성하고 있는 물질. 물에 녹지 않으며, ... ...
- 바야흐로 생체 인증의 시대!과학동아 l2015년 06호
- 있는 생체 인증수단은 휴대전 화의 지문 인식 기능이다. 애플은 아이폰5S부터 지 문인식 기능을 추가했다. 삼성 역시 ‘갤럭시5’ 이후 모 델부터는 지문인식으로 휴대전화 잠금을 풀 수 있다. 올 여름 출시될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윈도우10도 생 체 인증 방식을 제공한다. 지문 인식 스캐너가 탑재된 ... ...
- 달에서 씽씽 달려라~! 한국형 달 탐사 로버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6호
- 로버의 주변 상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셈이지요. 그래서 로버는 자동운전 기능을 사용하지 않고 사람이 직접 실시간으로 조종할 예정이에요.하지만 로버와 지구가 직접 통신을 할 수는 없어요. 몸체가 너무 작아 통신장비를 실을 수 없거든요. 대신 로버를 싣고 간 탐사선에 들어 있는 대형 ... ...
- 한옥에 살어리랏다수학동아 l2015년 06호
- 빌딩은 주변의 자연 환경을 활용해 에너지 효율을 높이고, 각종 정보통신 기술로 다양한 기능과 자동화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는 자연 환경을 활용하는 한옥과 일맥상통한다. 한옥의 공간 배치를 응용하면 건물 내부에 공기 흐름을 유도해 자연 통풍 효과를 낼 수 있다. 또한, 사물인터넷을 활용해 ... ...
- PART1. 이곳에 시인이 왔어야 했다!과학동아 l2015년 06호
- 때는 뇌 특정 부위가 활성화된다는 사실을 발견해 ‘인지과학’ 저널에 발표했다. 뇌기능영상(fMRI)을 촬영한 결과, 실재감이 클수록 인지작용과 관련된 부위인 전대상피질 등이 활성화됐다. 연구팀은 가상현실이 실재와 비슷할수록 어색함이 사라지고 몰입하게 돼 특정 부위가 활성화된 것으로 봤다 ... ...
이전11912012112212312412512612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