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용
기교
기술
능력
재주
솜씨
구실
d라이브러리
"
기능
"(으)로 총 5,763건 검색되었습니다.
야행성 VS 주행성 동물들이 보는 세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9호
원추세포가 반응하려면 수십에서 수백 개의 광자가 필요해요. 즉, 밝은 환경에서만 제
기능
을 할 수 있는 거예요. 그래서 주행성 동물은 해상도는 높지만 감광도가 떨어진다고 말할 수 있어요.이처럼 낮에 활동하는 동물의 눈은 원추세포 덕분에 좋은 해상도를 가지고 있어서 세밀한 상과 색을 ... ...
[Hot Issue] ‘늙지 않는’ 뱀파이어와의 인터뷰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핵산 22~23개로 이뤄진 아주 작은 RNA죠. 사람 몸속에 수백 개가 넘어요. 하지만 최근까지도
기능
이 알려지지 않은 miRNA가 정말 많아요.그: 그중 노화를 방지하는 miRNA가 있다는 건가요?기: 맞아요! miRNA는 특정 단백질의 발현을 낮추는 역할을 하는데요. 이광표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이하 생명연) ... ...
[Knowledge] 머리 이식…과연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의도치 않은 작용이 나타났다. 이 남성은 수술 1년만에 팔꿈치를 접었다가 펼만큼
기능
을 회복할 수 있었다. 이후 2012년까지 전세계의 팔 이식 성공 사례는 36건으로 늘었다. 2005년 프랑스에서는 애완견에게 얼굴을 물린 여성에게 세계 최초로 안면이식수술이 이뤄지기도 했다. 안면이식은 2012년까지 ... ...
PART2. 세포의 DNA 사용 설명서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발생에 따라 항상 일정한 패턴을 유지한다는 사실을 발견하기도 했다. 만약 이들의 진짜
기능
이 발견된다면 후성유전학 언어는 새로운 격변기를 맞게 될 것이다.유전체의 책갈피, 히스톤 변형메틸화는 세포를 넘어서 전달될 정도로 강력한 표식이지만 그 범위가 좁다. 유전정보가 아주 두꺼운 ... ...
[수학뉴스] 해마 꼬리가 네모난 이유
수학동아
l
2015년 08호
관심을 갖게 된 모양입니다. 아무래도 동물마다 사는 환경이 다르기 때문에 꼬리의
기능
도 다를 수밖에 없지요. 저는 ‘멋진 꼬리 선발대회’에 출전한다는 생각으로 여러 후보 사이에서 제 순서를 기다리고 있었을 뿐인데, 제가 대상자로 뽑혔지 뭐예요. 아마 연구팀이 제 특별한 꼬리 모양의 ... ...
PART 1 기하학을 품은 브릭
수학동아
l
2015년 08호
미국 뉴욕 오토쇼에서 선보였다. 이밖에도 사진을 찍을 수 있는 핀홀 카메라나 블루투스
기능
을 탑재한 인쇄기, 에어컨 등 다양한 작품이 매년 쏟아지고 있다. ‘브릭은 더 이상 아이들만의 장난감은 아니다’라는 사실을 증명하고 있는 셈이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팔방미인 수학자 ... ...
PART1. 후성유전학이 태어나다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가진 DNA가 유전정보의 전달자 역할을 하는 RNA를 만들고(전사), RNA는 세포 내에서 실제로
기능
을 수행하는 단백질을 만든다(번역)는 생물학의 핵심 개념이다. 현대 생물학의 눈부신 성과들이 모두 여기서 나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과학자들은 DNA로 모든 생명현상을 설명할 수 있겠다는 확신에 차 ... ...
'기쁨'과 '슬픔'은 정말 뇌 안에 있을까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하키를 좋아하는 11살 소녀 ‘라일리’에게 어느 날 갑자기 시련이 닥친다. 행복한 추억이 가득한 시골동네를 두고 부모님을 따라 갑자기 머나먼 도시로 이사를 가게 된 ... 한다. 라일리가 엄마 아빠와의 갈등을 해결하는 과정에서도 슬픔이라는 감정이 핵심적인
기능
을 한 것처럼 말이다 ... ...
PART 2 학문을 품은 브릭
수학동아
l
2015년 08호
11월, 발견한 지 105년 만에 영국의 천문학자 마이크 에드먼즈 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이 그
기능
과 사용법을 확인했다. 안티키테라 기계장치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컴퓨터로 불리며, 과거에 우주의 흐름과 별의 움직임을 관찰하기 위해 만든 것이다. 또 안티키테라는 달의 타원 궤도를 알아내기 위해 ... ...
임미희 자연과학부 교수 - 알츠하이머 고치는 화학자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것을 증명한 겁니다.”알츠하이머, 평범한 질병으로 받아들이는 사회 돼야단백질의
기능
을 막을 수 있다면 알츠하이머의 치료제도 개발할 수 있는 것 아닐까. 물론 가능하다. 하지만 알려진 게 거의 없는 알츠하이머 연구에 투자하려는 제약회사가 많지 않다는 게 문제다. “여러 회사를 만나본 끝에 ... ...
이전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