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용
기교
기술
능력
재주
솜씨
구실
d라이브러리
"
기능
"(으)로 총 5,763건 검색되었습니다.
숫자 세 개가 만나는 곳에 보물이 있다!
수학동아
l
2015년 09호
지나갈 수 있는지를 알려주기 위해서다.요즘은 항해도 상당 부분 자동화됐다. 자동항해
기능
프로그램은 좌표를 기준으로 항로를 인식한다. 그래서 배가 미리 계획한 항로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도와준다. 항해사는 일일이 좌표를 계산하며 배를 운전하지는 않지만 안전한 항해를 위해 지형과 좌표가 ... ...
[Hot Issue] ‘늙지 않는’ 뱀파이어와의 인터뷰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핵산 22~23개로 이뤄진 아주 작은 RNA죠. 사람 몸속에 수백 개가 넘어요. 하지만 최근까지도
기능
이 알려지지 않은 miRNA가 정말 많아요.그: 그중 노화를 방지하는 miRNA가 있다는 건가요?기: 맞아요! miRNA는 특정 단백질의 발현을 낮추는 역할을 하는데요. 이광표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이하 생명연) ... ...
[Knowledge] 머리 이식…과연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의도치 않은 작용이 나타났다. 이 남성은 수술 1년만에 팔꿈치를 접었다가 펼만큼
기능
을 회복할 수 있었다. 이후 2012년까지 전세계의 팔 이식 성공 사례는 36건으로 늘었다. 2005년 프랑스에서는 애완견에게 얼굴을 물린 여성에게 세계 최초로 안면이식수술이 이뤄지기도 했다. 안면이식은 2012년까지 ... ...
PART1. 후성유전학이 태어나다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가진 DNA가 유전정보의 전달자 역할을 하는 RNA를 만들고(전사), RNA는 세포 내에서 실제로
기능
을 수행하는 단백질을 만든다(번역)는 생물학의 핵심 개념이다. 현대 생물학의 눈부신 성과들이 모두 여기서 나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과학자들은 DNA로 모든 생명현상을 설명할 수 있겠다는 확신에 차 ... ...
세계1위 로봇 휴보에겐 ‘포도’가 있었다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속도와 가속도를 넘는 값을 입력해도 소프트웨어가 개입해 로봇 파손을 막는다. 이런
기능
들이 합쳐져 휴보의 세계대회 우승을 이끌었다. 휴보의 심장에는 하드웨어 못지않게 강력한 소프트웨어가 숨어 있다 ... ...
PART2. 세포의 DNA 사용 설명서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발생에 따라 항상 일정한 패턴을 유지한다는 사실을 발견하기도 했다. 만약 이들의 진짜
기능
이 발견된다면 후성유전학 언어는 새로운 격변기를 맞게 될 것이다.유전체의 책갈피, 히스톤 변형메틸화는 세포를 넘어서 전달될 정도로 강력한 표식이지만 그 범위가 좁다. 유전정보가 아주 두꺼운 ... ...
페이스북 얼굴인식 기술, 유럽선 “허용 못 해”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지난 6월 19일 영국 BBC와의 인터뷰에서 “얼굴인식
기능
을 선택적으로 활성화할 수 있는
기능
을 개발하기 전까지는 유럽에서 앱을 출시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유럽연합은 2012년 사진에 사용자 이름을 태그하는 페이스북 서비스도 금지한 바 있다 ... ...
'기쁨'과 '슬픔'은 정말 뇌 안에 있을까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하키를 좋아하는 11살 소녀 ‘라일리’에게 어느 날 갑자기 시련이 닥친다. 행복한 추억이 가득한 시골동네를 두고 부모님을 따라 갑자기 머나먼 도시로 이사를 가게 된 ... 한다. 라일리가 엄마 아빠와의 갈등을 해결하는 과정에서도 슬픔이라는 감정이 핵심적인
기능
을 한 것처럼 말이다 ... ...
임미희 자연과학부 교수 - 알츠하이머 고치는 화학자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것을 증명한 겁니다.”알츠하이머, 평범한 질병으로 받아들이는 사회 돼야단백질의
기능
을 막을 수 있다면 알츠하이머의 치료제도 개발할 수 있는 것 아닐까. 물론 가능하다. 하지만 알려진 게 거의 없는 알츠하이머 연구에 투자하려는 제약회사가 많지 않다는 게 문제다. “여러 회사를 만나본 끝에 ... ...
[수학뉴스] 해마 꼬리가 네모난 이유
수학동아
l
2015년 08호
관심을 갖게 된 모양입니다. 아무래도 동물마다 사는 환경이 다르기 때문에 꼬리의
기능
도 다를 수밖에 없지요. 저는 ‘멋진 꼬리 선발대회’에 출전한다는 생각으로 여러 후보 사이에서 제 순서를 기다리고 있었을 뿐인데, 제가 대상자로 뽑혔지 뭐예요. 아마 연구팀이 제 특별한 꼬리 모양의 ... ...
이전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