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성공]"(으)로 총 10,368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기원NOW] DGIST-포스텍 연구팀, 충격에 강한 차세대 신축성 전자소자 개발동아사이언스 l2024.05.31
- 장경인 DGIST 로봇및기계전자공학과 교수(가운데) 연구팀. DGIST 제공 ■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은 장경인 로봇및기계전자공학과 교수팀이 박태호 포스텍 화학공학과 교수팀과 공동연구를 통해 기존 재료의 기계적 한계를 극복하고 신축성과 내구성을 향상한 전자장치 개발에 성공했다고 31일 밝혔 ... ...
- [사이언스게시판] 지역 과학 꿈나무와 노벨상 과학자의 만남 外동아사이언스 l2024.05.31
- 한국원자력연구원은 2015년 노벨물리학상 수상자인 카지타 타카아키 도쿄대 특별영예교수를 초청해 지역 중학생을 대상으로 특별 강연을 개최했다. 원자력연 제공 ■ 한국원자력연구원은 30일 대전 유성구 관평도서관에서 지역 중학생을 대상으로 노벨물리학상 수상자인 카지타 타카아키 도쿄대 ... ...
- 액체 방울 제조 기술로 '인공세포' 만들었다동아사이언스 l2024.05.31
- 이효민 포스텍 화학공학과 교수(왼쪽)와 서한진 통합과정생. 포스텍 제공. 생명체의 가장 기본적인 생명 단위인 ‘세포’의 기능과 특징을 재현한 ‘인공세포 구조체’가 개발됐다. 자연세포를 대체할 수 있는 인공세포 활용 가능성을 높였다. 포스텍은 이효민 화학공학과 교수, 서한진 통합과 ... ...
- 인공위성 스타트업 나라스페이스, 200억원 규모 시리즈B 투자 유치 동아사이언스 l2024.05.31
- 옵저버 1A. 나라스페이스 제공 초소형 인공위성 스타트업인 '나라스페이스테크놀로지'(나라스페이스)가 200억원 규모의 시리즈B 투자를 유치했다. 2022년 5월 100억원 규모로 마무리한 시리즈A 투자의 2배 규모다. 나라스페이스는 삼성증권, 신한벤처투자, JB우리캐피탈 등 3곳의 신규 투자사와 기존 ... ...
- [과기원NOW] GIST-세브란스병원, 말단비대증 치료 위한 뇌하수체 종양모델 개발 外동아사이언스 l2024.05.31
- (왼쪽부터) 이번 GIST-세브란스병원 연구에 참여한 오창명 GIST 의생명공학과 오창명, 윤명한 GIST 신소재공학부 윤명한 교수, 정우주 GIST 의생명공학과 석사과정생, 왕성록 GIST 신소재공학부 박사과정생. GIST 제공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오창명 의생명공학부, 윤명한 신소재공학부 교수팀이 구철룡 ... ...
- [푸드테크 뜬다]① 배양육부터 주방로봇까지…미래 먹거리 좌우한다동아사이언스 l2024.05.31
- 푸드테크는 한국의 성장동력 미래산업이 되고 있다. Bunpoht Baimiden/게티이미지뱅크 제공. [편집자주] 삶의 질이 향상되고 소비자의 지식수준은 높아졌습니다. 여기에 인간 수명까지 늘어나면서 건강을 개선하고 질병을 예방할 수 있는 개인 맞춤식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습니다. 지구 온난화를 막 ... ...
- 인체 내부서 완벽하게 성장하는 이식용 피부동아사이언스 l2024.05.30
- 피부의 구조를 나타낸 그래픽. 게티이미지뱅크 과학자들이 이식된 다른 종의 피부를 생체 내에서 완벽하게 성장시키는 기술을 개발했다. 피부 이식은 심각한 피부 상처를 치료하는 데 필수적이지만 상처가 심한 경우 충분한 피부를 채취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인공 이식용 피부는 모낭과 ... ...
- 재사용발사체 개발하고 소행성·태양탐사선 보낸다…"우주의 기적 만들겠다"동아사이언스 l2024.05.30
- 아포피스 탐사선를 가상이미지로 나타냈다. 한국천문연구원 제공 27일 출범한 우주항공청이 민간 우주기업 스페이스X와 차별화된 재사용발사체를 개발한다. 태양과 지구 사이 중력이 평형을 이루는 '라그랑주' 포인트 중 하나인 '제4 라그랑주점(L4)'에 태양관측 탐사선을 보낸다. 연구자들의 요청으 ... ...
- 첨단기기 '눈' 역할 적외선 센서용 고품질 반도체 개발동아사이언스 l2024.05.30
- 이상준 책임연구원이 단파장 적외선 센서용 반도체의 광 흡수층과 기판 사이에서 완충 작용을 하는 '메타모픽' 구조의 성장 과정을 관찰하고 있다. KRISS 제공 단파장 적외선(SWIR) 센서는 어두운 환경에서도 선명한 시각 정보를 얻을 수 있고 연기나 안개를 잘 투과해 자율주행 차량이나 스마트팜 카 ... ...
- 강유전체 분극 분포 최초 규명…초고밀도 메모리 소자 나올까동아사이언스 l2024.05.30
- 양용수 KAIST 물리학과 교수(왼쪽)와 논문 제1저자인 정채화 KAIST 물리학과 박사과정 학생. KAIST 제공 강유전체는 외부 전기장 없이도 전하가 한쪽으로 쏠린 분극 상태를 유지하는 물질이다. 국내 연구팀이 이끈 국제공동연구팀이 아주 작은 크기의 강유전체 내부에서 이론으로만 예측된 소용돌이 모 ... ...
이전11811912012112212312412512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