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범위
경계
테두리
한도
영역
극한
범주
d라이브러리
"
한계
"(으)로 총 2,895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이 만드는 미래 세상] 미래인터넷, 수학으로 새판 짠다
수학동아
l
2011년 05호
보완해가고 있지만 근본적으로 해결이 안 되는 문제점과 새로운 문제점이 드러나면서
한계
에 부닥치고 있다.하지만 너무 걱정할 필요는 없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려고 연구하는 사람들이 있기 때문이다. 바로 국가수리과학연구소(이하 수리연)의 미래인터넷연구팀이다.수리연의 ... ...
Part1. 원전 사고 5가지 핵심 쟁점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붕괴 등 물리적인 손상을 막기 위한 구조물이지 밀폐를 위한 설비가 아니기 때문에
한계
가 있다.중대사고의 대표적인 원인은 이번 사고와 같이 냉각재가 일부 또는 전부 작동하지 않는 경우다. 원전은 핵분열을 시작한 연료를 잘 통제하며 에너지를 뽑아내는 기술이 핵심이다. 장작불에 비유하자면 ... ...
Part2. 꿈의 기술? 아직 피지 못한 꽃?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김동락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물성과학연구부장은 “초전도체는 학문적으로는
한계
에 다다라 흥미를 못 끌고 있다”며 “세계적으로 응용 분야에서 조만간 상용화될 가능성이 가장 높은 게 초전도 케이블과 같은 전력 장비”라고 설명했다. 고온초전도체의 발견은 물리학자들의 마음을 들뜨게 ... ...
니코틴보다 무서운 첨가제가 200개나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한 미국 담배회사가 쓰는 첨가제 목록과 비교해 맞춰보는 방법 밖에 없다. 정보 접근에
한계
가 있었다.KT&G 측 박교선 변호사는 기자와의 통화에서 “KT&G도 담배를 만들 때 200여 종의 첨가제를 쓴다”며 “수분을 유지하고 부패를 방지하기 위해 넣는 글리세린 같은 보습제가 30% 이상 들어가고 멘톨 ... ...
Part 2. 과학수사 X파일 5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증거물을 놓칠 수 있을뿐더러 직접 방문했던 수사관들만 현장을 이해할 수 있다는
한계
가 있다. 지난 3월 7일, 국과수에서는 독일의 카메라 제조사 신웍스가 개발한 ‘신센터 포렌식’에 대한 컨퍼런스가 열렸다.이 카메라는 어안렌즈가 달려 있어 현장 전체를 고해상도(5000만 화소)로 촬영할 수 ... ...
수학 공부의 적극적인 확장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경우 실험설계에 관한 자세한 과정을 제시해야 하고, 자료해석과 결론, 연구의
한계
등을 제대로 작성해야 좋은 평가를 받을 수 있다. 실험형 - ‘뷔퐁의 바늘문제’ 중 일부 1) 연구 계획 및 연구시 주의점 ① 떨어뜨리는 물체간 상호작용 감소를 위해 바늘 대신 이쑤시개를 쓴다. ② 이쑤시개는 ... ...
'수학' 연구소 아닌 '수리과학' 연구소
수학동아
l
2011년 04호
좋은 도구인 셈이다. 그리고 수학은 모든 학문의 바탕이다. 그래서 각 학문이 근본적인
한계
에 부딪혔을 때 수학의 도움으로 이를 해결할 수 있는 가능성도 크다. 수학이 근본적인 돌파구를 제시할 가능성이 매우 크다는 얘기다.이것이 수리연이 수학을 앞세워 다른 학문과 함께 인류가 봉착한 ... ...
Part1. 상온초전도체 언제 탄생할까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밝혀지지 않았다.오네스의 발견 이후 100년이 지났는데도 물리학자들은 초전도 현상의
한계
온도가 몇 도이며 상온초전도체가 가능한지에 대한 물음에 속 시원한 답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고온초전도 현상이 발견된 지 25년이 됐지만 이를 설명하는 이론도 찾지 못했다. 그 와중에서도 새롭고 신기한 ... ...
능동적이고 똑똑한 웹 만들기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듣기 좋아하는 음악을 추천하는지 설명했다.“장르에 따라 음악을 추천하는 것은
한계
가 있습니다. 같은 장르라도 취향에 따라 각자 좋아하는 노래가 다르기 때문입니다. 이를 보완한 것이 ‘협업적 추천’입니다. 예를 들어 빅뱅의 ‘투나잇’을 들으면 이 곡을 즐겨 듣는 사람들이 많이 들었던 ... ...
Part 1. 과학이 낳은 명탐정 홈즈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해부학 강의’.]하지만 복잡 다양한 지문을 사람의 눈으로 일일이 비교하는 데에는
한계
가 있었다. 이 문제는 100년이 훌쩍 지난 뒤에야 해결됐다. 컴퓨터가 지문을 비교하게 된 것이다. 1996년 미국 연방수사국(FBI)은 모든 사람의 지문을 입력하고 검색할 수 있는 시스템(AFIS)을 개발했다. 수백 명이 ... ...
이전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