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범위
경계
테두리
한도
영역
극한
범주
d라이브러리
"
한계
"(으)로 총 2,895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해킹 Hacking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전쟁이 현실의 전쟁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사회기반시설에서 스마트폰까지
한계
란 없다개인들이 느끼는 해킹 공포도 일상에 깊이 뿌리내리고 있다. 이미 개인을 대상으로 한 해킹이 성행하고 있다. 이메일과 피싱 사이트를 통해 전파되고 있는 악성코드는 개인의 정보를 유출하거나 ... ...
[life & tech] 집중호우 예측, 64배 섬세해진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기존 모델보다 더 낫다고 해도 모든 오차 원인을 해결한 것은 아니므로 여전히 예측
한계
가 존재한다. 뿐만 아니라 일반적으로 나비효과라고 불리는 혼돈법칙 때문에 수치예보모델로 집중호우를 100% 정확하게는 예측할 수 없다. 왜냐하면 날씨는 초기의 매우 작은 차이가 임의 시점부터 급격하게 ... ...
대지진, 일본을 뒤흔들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7호
단계단순 고장•사소한 안전의 문제❷ 단계고장•발전소 근무자들의 방사선 노출 (법정
한계
수치를 넘지 않는 정도)❸ 단계중대한 고장•근무자들의들의 심각한 방사선 노출•예기치 않은 지역의 심각한 방사능 오염❹ 단계시설 내부의 위험사고•방사선 노출로 적어도 1명 사망•소량의 방사성 ... ...
[수학으로 생각하기] 카메라 고수의 숫자 완전정복
수학동아
l
2011년 07호
찍을 수 있다. 하지만 F 값은 카메라 렌즈에 따라 정해져 있기 때문에 작게 할 수 있는
한계
가 있다. 셔터속도도 1/60 초보다 느리면 손이 떨려 흔들린 사진이 나오기 쉽다.이때 빛에 대한 이미지센서의 민감도를 조절하는 방법을 쓸 수 있다. 빛에 대한 감도는 ISO 값으로 나타내는데, 국제표준화기구 ... ...
어디서나 쓸 수 있는 암호 찾는다
수학동아
l
2011년 07호
실용적인 연구에는 강점을 보이지만 이론에 대한 수학적인 배경이나 지식이 부족해
한계
가 있다는 것. 반면 연구팀은 수학적인 이론을 실제에 활용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춰 상대적으로 유리하다는 설명이다.심 팀장은 “암호의 설계와 분석에 수학적인 이론이 사용되나 이를 실제로 구현하고 ... ...
스트레스가 더 좋은 부모 만든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모니어 박사는 “이 연구는 환경, 천적 등 다양한 외부 요인을 배제한 연구”라고
한계
를 설명했다. 연구결과는 과학학술지 ‘바이올로지 레터스’ 온라인판 6월 1일자에 실렸다 ... ...
태초에 빛과 물질이 함께 있었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가장 정확하게 검증된 이론으로, 질량을 가진 물질의 운동만 설명한 뉴턴 중력이론의
한계
를 뛰어넘었다.우주가 팽창한다는 사실을 통해 우주의 ‘모습’을 어느 정도 알아 낸 과학자들은 그러한 팽창의 첫 단계, 즉, 우주의 시작에 관심을 기울이기 시작했다. 그리고 팽창하는 우주에서 아이디어를 ... ...
실험실 밖 세상의 화학 탐구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좀더 미세한 차이를 찾아내여 했다. 문헌 조사와 실험을 통해 베네딕트 용액의 반응
한계
점을 찾으려는 노력을 지속했다. 실험 계획 및 수행 요오드팅크 용액을 이용해서 녹말을 검출하는 방법과 베네딕트 용액을 이용해서 포도당을 검출하는 반응을 상록수의 잎과 상록수가 아닌 활엽수의 잎에 ... ...
PART 3 비누막이 제시하는 최적화 해법
수학동아
l
2011년 07호
고민했다. 슈타이너 이전에도 증명이 있었으나 모두 해답이 존재한다는 가정에서 시작해
한계
가 있었다. 하지만 슈타이너는 해답이 존재한다는 것까지 증명해 이 문제를 해결했다.평면에서 등주문제의 증명이 이뤄지자 수학자들은 등주문제를 곡면으로 확장해 연구하기 시작했다. 이것이 ... ...
휴대전화가 뇌종양 위험 높인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연구와 상반되는 결과다.김 교수는 “두 그룹의 연구 결과가 다른 것은 역학조사의
한계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신경교종은 전 세계 1만 명 중 1명이 걸리는 병으로, 역학조사를 하기에는 표본의 수가 부족하다는 문제가 있다. 또 휴대전화 통화량을 실시간으로 측정하지 않고 질문지로 조사했기 ... ...
이전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