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학술"(으)로 총 2,828건 검색되었습니다.
- [Issue] 무술년 ‘황금 개’의 해 과학으로 풀어봤습니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2017년 11월 28일 최봉환 농촌진흥청 동물유전체과 농업 연구사 등 공동연구팀이 학술지 ‘플로스원(Plos One)’에 발표한 논문 ‘한국 전통개의 다양성과 조상에 대한 게놈 연구’에 따르면, 한국 개의 유전적 다양성은 유럽 개는 물론이고, 인근 아시아 지역의 개들보다 높았습니다. 단적으로 흰 털을 ... ...
- [Culture] 좌완투수의 시대 왼손의 힘과학동아 l2018년 01호
- 30%가 왼손잡이왼손잡이 선수가 유리한 재미있는 이유가 한 가지 더 있다. 2017년 11월 과학학술지 ‘바이올로지 레터스’에 4페이지 분량의 짧은 연구 결과가 실렸다. 독일 올덴버그대에서 스포츠과학을 연구하는 플로리안 로핑 교수의 연구다.doi: 10.1098/rsbl.2017.0446 로핑 교수는 선수들끼리의 ... ...
- Part 1. 1998~2018, 해시태그로 본 20년의 기록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논문은 1341개, 학회 발표 논문은 418개에 이른다. ISS에서 진행된 연구를 가장 많이 게재한 학술지는 ‘플로스 원(Plos One)’으로 현재까지 36편의 논문을 실었다. 이들 연구를 위해 지구에서는 자그마치 5만6837kg의 실험 재료를 ISS로 보냈다. 가장 많은 실험이 이뤄진 분야는 중력이 거의 없고 방사선이 ... ...
- [과학뉴스] 머릿속에 이미지 떠오르는 시가 아름답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시의 의미를 전달하는 능력이 강하기 때문”이라고 이유를 밝혔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미학과 창의성, 예술의 심리학’ 2017년 11월 30일자에 발표됐다. doi:10.1037/aca000015 ... ...
- Part 3. 로봇의 시대, 엄마로 산다는 것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몸 속 찌꺼기를 끌어다 버리는 의료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9월 15일자에 실렸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나의, 나에의한, 나를위한 개인의 과학Part 1. 30대 중반, 제 건강 상태는요Part 2. 현실 같은 현실 아닌 가상현실Part 3. 로봇의 시대, ... ...
- [과학뉴스] 종이로 만든 고감도 압력 센서과학동아 l2018년 01호
- 국내 연구팀이 종이를 이용해 약 0.2초 만에 반응하는 고감도 압력 센서를 개발했다. 손으로 만질 때 생기는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 센서 ... 활용해 압력 센서 연구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했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스몰’ 2017년 11월 14일자에 실렸다. doi:10.1002/smll.20170036 ... ...
- [Future] 바이오 인공장기 시대, 인간 몸에 돼지 장기과학동아 l2018년 01호
- NIH) 연구팀은 2016년 4월 형질전환 돼지의 심장을 개코원숭이에 이식하는 데 성공해 과학학술지 ‘네이처’에 발표했다. 이 원숭이는 수술 뒤 약 3년간 생존했다. 같은 해 11월 국내 연구진도 비슷한 성과를 냈다. 건국대와 국립축산과학원 공동연구팀이 알파갈에 관련된 유전자를 제거하고 2차 급성 ... ...
- [Origin] 빛으로 뉴런 조절하는 ‘광유전학’의 태동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양이온 채널인 ‘채널 로돕신-2’를 포유류의 뉴런에 발현시키는 데 성공해 과학학술지 ‘네이처 신경과학’에 발표했습니다.doi:10.1038/nn1525 연구팀은 빛을 이용해 ms(밀리초·1ms는 1000분의 1초)의 짧은 시간 단위로 뉴런의 활성을 조절할 수 있음을 보였습니다. 이 논문은 약 10년간 무려 2799번이나 ... ...
- 한눈에 보는 수학동아 교과 단원 맵수학동아 l2018년 01호
- 전공자만 응시하는 제1분야와 비전공자를 위한 제2분야로 나뉩니다. 2017년 한 해 동안 학술부장으로 일한 최대범 씨는 “수문연 활동이 상을 받는 데 도움이 됐다”고 말했습니다. 수상 경력이 있던 수문연 선배가 조언을 해줬고, 여름 방학 때는 기출 문제를 푸는 스터디를 했다는 거죠. 그래서 대회 ... ...
- [과학뉴스] 플라스틱이 물벼룩 생존 위협한다과학동아 l2017년 12호
- 플라스틱이 물벼룩의 알주머니에 침투해 생식과 발달을 저해한다는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트’ 9월 21일자에 발표했다. 미세 플라스틱은 크기가 100nm(나노미터·1nm는 10억 분의 1m) 이하인 아주 작은 플라스틱 입자를 말한다. 합성섬유 조각과 타이어 마모 입자 등 일상 생활에서 ... ...
이전11811912012112212312412512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