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학술"(으)로 총 2,828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3D 프린터로 ‘살아있는 문신’ 인쇄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수 있다. 연구진은 이 패치에 ‘살아있는 문신’이란 이름을 붙였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스’ 2017년 12월 5일자에 실렸다. doi:10.1002/adma.20170482 ... ...
- [과학뉴스] 세상에서 가장 작은 ‘DNA 모나리자’과학동아 l2018년 01호
- 교수팀은 DNA를 종이접기 하듯 조합해 특정 구조물을 형상화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국제학술지 ‘네이처’ 2017년 12월 6일자에 발표했다. 인체의 유전정보를 지닌 DNA를 이용하면 분자기계처럼 나노 크기의 구조물을 만들 수 있다. 연구진은 이 특성을 이용해 크기와 모양이 서로 다른 DNA를 조합해 ... ...
- [Future] 바이오 인공장기 시대, 인간 몸에 돼지 장기과학동아 l2018년 01호
- NIH) 연구팀은 2016년 4월 형질전환 돼지의 심장을 개코원숭이에 이식하는 데 성공해 과학학술지 ‘네이처’에 발표했다. 이 원숭이는 수술 뒤 약 3년간 생존했다. 같은 해 11월 국내 연구진도 비슷한 성과를 냈다. 건국대와 국립축산과학원 공동연구팀이 알파갈에 관련된 유전자를 제거하고 2차 급성 ... ...
- [과학뉴스] 백조 닮은 육식 공룡 있었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공동연구팀은 몽골 남부 우카톨고드에서 발견한 공룡 화석을 분석해, 그 결과를 국제학술지 ‘네이처’ 2017년 12월 6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신종 공룡이 육지와 바다 양쪽에서 서식한 것으로 추정했다. 노처럼 생긴 앞 발뼈는 수영에 유리하고, 11개의 날카로운 이빨은 물고기 사냥에 적합하다 ... ...
- [과학뉴스] 머릿속에 이미지 떠오르는 시가 아름답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시의 의미를 전달하는 능력이 강하기 때문”이라고 이유를 밝혔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미학과 창의성, 예술의 심리학’ 2017년 11월 30일자에 발표됐다. doi:10.1037/aca000015 ... ...
- [과학뉴스] 종이로 만든 고감도 압력 센서과학동아 l2018년 01호
- 국내 연구팀이 종이를 이용해 약 0.2초 만에 반응하는 고감도 압력 센서를 개발했다. 손으로 만질 때 생기는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 센서 ... 활용해 압력 센서 연구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했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스몰’ 2017년 11월 14일자에 실렸다. doi:10.1002/smll.20170036 ... ...
- Part 3. 로봇의 시대, 엄마로 산다는 것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몸 속 찌꺼기를 끌어다 버리는 의료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9월 15일자에 실렸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나의, 나에의한, 나를위한 개인의 과학Part 1. 30대 중반, 제 건강 상태는요Part 2. 현실 같은 현실 아닌 가상현실Part 3. 로봇의 시대, ... ...
- Part 1. 1998~2018, 해시태그로 본 20년의 기록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논문은 1341개, 학회 발표 논문은 418개에 이른다. ISS에서 진행된 연구를 가장 많이 게재한 학술지는 ‘플로스 원(Plos One)’으로 현재까지 36편의 논문을 실었다. 이들 연구를 위해 지구에서는 자그마치 5만6837kg의 실험 재료를 ISS로 보냈다. 가장 많은 실험이 이뤄진 분야는 중력이 거의 없고 방사선이 ... ...
- [Origin] 빛으로 뉴런 조절하는 ‘광유전학’의 태동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양이온 채널인 ‘채널 로돕신-2’를 포유류의 뉴런에 발현시키는 데 성공해 과학학술지 ‘네이처 신경과학’에 발표했습니다.doi:10.1038/nn1525 연구팀은 빛을 이용해 ms(밀리초·1ms는 1000분의 1초)의 짧은 시간 단위로 뉴런의 활성을 조절할 수 있음을 보였습니다. 이 논문은 약 10년간 무려 2799번이나 ... ...
- [과학뉴스] 베이지색 지방이 칼로리 태우는 새 메커니즘 발견과학동아 l2017년 12호
- 교수팀은 베이지색 지방에서 에너지를 소비하는 또 다른 단백질을 찾아내 국제학술지 ‘네이처 메디슨’ 11월 13일자에 발표했다. 카지무라 교수는 짝풀림단백질-1이 없는 돼지가 추운 날씨에서 체온을 유지한다는 사실에 의문을 품었다. 연구팀은 베이지색 지방이 많은 쥐에서 짝풀림단백질-1을 ... ...
이전11811912012112212312412512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