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문
대회
학식
국제올림픽위원회
국제
올림픽
위원회
d라이브러리
"
학술
"(으)로 총 2,828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끊어져도 완전히 다시 붙는 신소재 개발
과학동아
l
2018년 02호
연구진이 세계 최고 수준의 자가 치유 능력을 보이는 신소재를 개발해 국제
학술
지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스’ 1월 4일자에 표지논문으로 발표했다. 자가 치유 능력은 영화 ‘터미네이터’ 시리즈에 나오는 T-1000처럼 상처를 스스로 회복하는 능력이다. 기존에 개발됐던 자가 치유 물질들은 회복된 뒤 ... ...
[과학뉴스] 전문지식 이해하는 AI 개발
과학동아
l
2018년 02호
고려대 컴퓨터학과 교수팀은 생명의료 분야 지식을 이해하는 인공지능을 개발해 국제
학술
지 ‘인터넷의학연구저널(JMIR)’ 1월호에 발표했다. 인공지능이 얼마나 지식을 이해하느냐에 대한 기존 연구는 기사와 동화책 등 단편적이고 난이도가 낮은 텍스트에 대한 것뿐이었다. 연구진은 ... ...
[Origin] 몸 밖의 몸, 오가노이드
과학동아
l
2018년 02호
자체적으로 만들 수 있음을 증명한 놀라운 결과였습니다. 이 연구결과는 2009년 과학
학술
지 ‘네이처’에 발표됐고, 지금까지 2055회나 인용됐습니다. 오가노이드의 시대가 열린 것입니다. 한스 교수팀은 후속 연구를 통해 위, 췌장, 간을 포함한 여러 장기들을 오가노이드로 구현하는 데 성공했고, ... ...
서로 연결돼 있는 자연환경과 인간의 삶
과학동아
l
2018년 02호
인류의 역사는 환경에 대한 도전과 이를 극복하며 이용해 온 과정이라할 수 있다. 초기 자연에 대한 숭배의 단계에 머물던 인류는 농경을 시작하며 이용의 단계로, 과 ... 진로를 예측하고 특보를 발행할 것을 기상청에 제안했다. 연구결과는 2016년 6월 국제
학술
지 ‘자연재해’에 실렸다 ... ...
[에디터 노트] 아누스 미라빌리스
과학동아
l
2018년 01호
있도록 꾸준히 애썼다. 21세기의 인물로 불릴 만한 스티븐 호킹은 33세가 되던 해에 과학
학술
지 ‘네이처’에 ‘호킹 복사(hawking radiation)’로 알려진 논문을 발표하며 이론물리학 역사에 한 획을 그었다. 한번 기대해본다. 33세를 맞는 과학동아에게 2018년은 그동안 지켜온 꾸준함이 빛을 발해 ... ...
[과학뉴스] AI로 마음껏 날아다니는 ‘가상 새’
과학동아
l
2018년 01호
재현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연구 결과는 컴퓨터그래픽스 분야 국제
학술
지 ‘ACM 트랜잭션스 온 그래픽스’ 2017년 7월호에 실렸다. doi:10.1145/3130800.313083 ... ...
[과학뉴스] 조선 밤하늘 9일간 붉게 물들인 오로라
과학동아
l
2018년 01호
오로라가 역사상 가장 거대한 규모의 태양자기폭풍의 결과로 생겼다는 연구 결과를 국제
학술
지 ‘천체물리학 저널 레터스’ 2017년 11월 29일자에 발표했다. 오로라는 지구로 날아온 태양 입자가 대기와 만나 타면서 발생하는 빛이다. 오로라의 색은 태양 입자가 어떤 기체와 반응을 일으키는지에 ... ...
[과학뉴스] 3D 프린터로 ‘살아있는 문신’ 인쇄
과학동아
l
2018년 01호
수 있다. 연구진은 이 패치에 ‘살아있는 문신’이란 이름을 붙였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
지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스’ 2017년 12월 5일자에 실렸다. doi:10.1002/adma.20170482 ... ...
[과학뉴스] 백조 닮은 육식 공룡 있었다
과학동아
l
2018년 01호
공동연구팀은 몽골 남부 우카톨고드에서 발견한 공룡 화석을 분석해, 그 결과를 국제
학술
지 ‘네이처’ 2017년 12월 6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신종 공룡이 육지와 바다 양쪽에서 서식한 것으로 추정했다. 노처럼 생긴 앞 발뼈는 수영에 유리하고, 11개의 날카로운 이빨은 물고기 사냥에 적합하다 ... ...
[과학뉴스] 세상에서 가장 작은 ‘DNA 모나리자’
과학동아
l
2018년 01호
교수팀은 DNA를 종이접기 하듯 조합해 특정 구조물을 형상화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국제
학술
지 ‘네이처’ 2017년 12월 6일자에 발표했다. 인체의 유전정보를 지닌 DNA를 이용하면 분자기계처럼 나노 크기의 구조물을 만들 수 있다. 연구진은 이 특성을 이용해 크기와 모양이 서로 다른 DNA를 조합해 ... ...
이전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