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학술"(으)로 총 2,828건 검색되었습니다.
- [Future] 저항 유전자로 바이러스 막는 ‘슈퍼 가축’ 시대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이 닭은 고병원성 AI 바이러스에 노출돼도 감염되지 않았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2011년 1월 14일자에 실렸다. doi:10.1126/science.1198020 이와 비슷하게 국내에서는 지난해 9월 국립축산과학원과 성균관대, 아주대 의대, 건국대 수의대 등 공동 연구팀이 8년간의 연구 끝에 세계 최초로 ... ...
- [과학뉴스] 햄버거, 피자 좋아하면 만성 염증 생긴다과학동아 l2018년 02호
- 교수팀은 튀기거나 기름진 서구 식단이 몸에서 염증 반응을 유도한다는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셀’ 1월 11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지방이 21.2%를 차지하는 서구 식단을 한 달간 먹인 쥐와 지방 14%, 단백질이 25%인 식단을 먹인 쥐의 혈액 성분을 비교했다. 그 결과 서구 식단을 먹은 쥐의 ... ...
- [Future] ‘불멸의 삶’ 한국 상륙, 냉동인간 기술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18년 02호
- 고기를 뜨거운 불에 구울 때, 속은 익지 않았는데 겉이 타버리는 것과 유사하다.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중개의학’ 2017년 3월호에는 급속 해동 기술에 관한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존 비쇼프 미국 미네소타대 교수팀은 사람의 피부, 돼지 혈관 및 심장판막을 산화철 나노입자가 든 특수용액에 ... ...
- 서로 연결돼 있는 자연환경과 인간의 삶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인류의 역사는 환경에 대한 도전과 이를 극복하며 이용해 온 과정이라할 수 있다. 초기 자연에 대한 숭배의 단계에 머물던 인류는 농경을 시작하며 이용의 단계로, 과 ... 진로를 예측하고 특보를 발행할 것을 기상청에 제안했다. 연구결과는 2016년 6월 국제학술지 ‘자연재해’에 실렸다 ... ...
- [에디터 노트] 아누스 미라빌리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있도록 꾸준히 애썼다. 21세기의 인물로 불릴 만한 스티븐 호킹은 33세가 되던 해에 과학학술지 ‘네이처’에 ‘호킹 복사(hawking radiation)’로 알려진 논문을 발표하며 이론물리학 역사에 한 획을 그었다. 한번 기대해본다. 33세를 맞는 과학동아에게 2018년은 그동안 지켜온 꾸준함이 빛을 발해 ... ...
- [과학뉴스] AI로 마음껏 날아다니는 ‘가상 새’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재현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연구 결과는 컴퓨터그래픽스 분야 국제학술지 ‘ACM 트랜잭션스 온 그래픽스’ 2017년 7월호에 실렸다. doi:10.1145/3130800.313083 ... ...
- [Issue] 무술년 ‘황금 개’의 해 과학으로 풀어봤습니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2017년 11월 28일 최봉환 농촌진흥청 동물유전체과 농업 연구사 등 공동연구팀이 학술지 ‘플로스원(Plos One)’에 발표한 논문 ‘한국 전통개의 다양성과 조상에 대한 게놈 연구’에 따르면, 한국 개의 유전적 다양성은 유럽 개는 물론이고, 인근 아시아 지역의 개들보다 높았습니다. 단적으로 흰 털을 ... ...
- [Culture] 좌완투수의 시대 왼손의 힘과학동아 l2018년 01호
- 30%가 왼손잡이왼손잡이 선수가 유리한 재미있는 이유가 한 가지 더 있다. 2017년 11월 과학학술지 ‘바이올로지 레터스’에 4페이지 분량의 짧은 연구 결과가 실렸다. 독일 올덴버그대에서 스포츠과학을 연구하는 플로리안 로핑 교수의 연구다.doi: 10.1098/rsbl.2017.0446 로핑 교수는 선수들끼리의 ... ...
- 한눈에 보는 수학동아 교과 단원 맵수학동아 l2018년 01호
- 전공자만 응시하는 제1분야와 비전공자를 위한 제2분야로 나뉩니다. 2017년 한 해 동안 학술부장으로 일한 최대범 씨는 “수문연 활동이 상을 받는 데 도움이 됐다”고 말했습니다. 수상 경력이 있던 수문연 선배가 조언을 해줬고, 여름 방학 때는 기출 문제를 푸는 스터디를 했다는 거죠. 그래서 대회 ... ...
- [과학뉴스] 조선 밤하늘 9일간 붉게 물들인 오로라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오로라가 역사상 가장 거대한 규모의 태양자기폭풍의 결과로 생겼다는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천체물리학 저널 레터스’ 2017년 11월 29일자에 발표했다. 오로라는 지구로 날아온 태양 입자가 대기와 만나 타면서 발생하는 빛이다. 오로라의 색은 태양 입자가 어떤 기체와 반응을 일으키는지에 ... ...
이전1171181191201211221231241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