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측량
계측
계량
관측
생각
추측
module
d라이브러리
"
측정
"(으)로 총 4,720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새똥이 북극을 춥게 한다
과학동아
l
2017년 01호
이는 실제 북극대기를
측정
한 결과와도 유사했다. 반면 바닷새의 배설물이 없는 경우는
측정
결과보다 구름방울이 더 적게 만들어졌다.연구팀은 바닷새의 배설물에서 발생한 암모니아기체가 황산 기체, 수증기와 결합해 구름이 된다고 밝혔다. 이렇게 만들어진 구름이 햇빛을 반사시켜 북극의 ... ...
[Future] 너덜너덜 번아웃 된 기자, ‘마음챙김’에 도전하다
과학동아
l
2017년 01호
수치가 안 좋게 나오면 어쩌나 내심 불안했다. 머리에 전극을 붙이고(직전에 주의력
측정
을 할 때 전극을 붙인 위치와 달랐다. 좀 더 정수리쪽이었다), 이번에는 눈을 감고 소리를 들었다. ‘졸졸졸’ 시냇물이 흐르는 소리가 들렸다. 옆에서 실험을 도와주는 테라피스트는 잡생각을 비우고 마음을 잘 ... ...
[Issue] 미래지진을 찾아 바다 밑을 들추다
과학동아
l
2017년 01호
레이저로 표식을 하고 바코드를 붙여 고유번호를 부여했다. 코어 각각의 물성을
측정
하고 보관용과 샘플용으로 반을 나눴다. 그리고 코어 테이블에 순서대로 정렬했다. 그러면 퇴적학자들과 구조지질학자들이 와서 분석하고 사진을 찍었다. 마지막엔 샘플용은 샘플로 만들고(탐사대원들이 ... ...
[과학뉴스] 서열 낮으면 면역력도 낮아진다
과학동아
l
2017년 01호
46마리로부터 면역세포를 분리했다. 그리고 9000개 이상의 유전자가 얼마나 활성화되는지
측정
했다.그 결과 서열이 높은 암컷과 서열이 낮은 암컷에서 1600개가 넘는 유전자가 다르게 발현됐다. 특히 자연살해세포(NK세포) 같이 감염에 첫 번째로 대항하는 세포의 발현이 달랐다.연구팀은 암컷들을 나눠 ... ...
[과학뉴스] 1952년 런던의 ‘살인 안개’ 비밀 풀렸다
과학동아
l
2017년 01호
중국과 미국 등 영국 국제 공동연구팀은 대기 오염이 심각한 중국 베이징과 시안에서
측정
된 대기 성분 물질로 당시의 안개를 재현했다. 그 결과 석탄 연소 과정에서 발생한 황산염이 당시 살인안개의 중요한 원인이라는 사실을 알아냈다.미국 텍사스A&M대 대기과학과 런이 장 교수는 “석탄 연소 ... ...
[과학뉴스] 갑각류 중 가장 힘 센 동물은 누구?
과학동아
l
2017년 01호
약 1m나 된다. 특히 집게발의 힘이 강력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지금까지 구체적으로
측정
한 적은 없었다.츄라쉬마재단의 신이치로 오카 박사팀은 몸무게가 33~2120g인 야생 코코넛크랩 29마리의 집게발 악력을 압력계로 쟀다. 그 결과 몸무게에 따라 29~1765N(뉴턴·1N은 1kg의 물체를 1m/s2로 가속시키는 ... ...
Part 1. 허블 상수 논쟁 끝내기
과학동아
l
2017년 01호
그룹마다 다르다”고 말했다.문제는 생각보다 복잡해진다. 지금까지 먼 은하의 거리를
측정
하는 데 모두 이 방법을 썼기 때문이다. 우주가 가속팽창하는 것을 밝히는 데에도 초신성 데이터가 이용됐는데, 만약 오차가 생각보다 훨씬 크다면 가속팽창이 사실이 아닐 가능성마저 제기된다(물론 ... ...
[Origin] 길들여지지 않는 새, 이클립스 깃털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17년 01호
요리스 페터르스 교수는 당시 “그들이 지층의 연대를 파악하고 정작 닭뼈의 연대는
측정
하지 않았다”며 “그들이 주장한 닭뼈는 실제로 약 2000년 전의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동남아시아나 중국의 습하고 산성도가 높은 토양에서는 닭뼈가 2000년 이상 보존될 수 없다”고 덧붙였다. ... ...
[가상 인터뷰] 박쥐는 치타보다 빠르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24호
95km 정도였지요. 연구팀이 몸이 가장 가벼운 브라질큰귀 박쥐를 골라 속도를 정밀하게
측정
한 결과, 이전보다 훨씬 빠른 속도를 얻어낸 낼 수 있었답니다.그런데 저는 멸종취약종이에요. 서식하는 지역이 적고, 그마저도 사람에 의해 파괴된 곳이 많거든요. 여럿이 몰려다니는 습성 때문에 한 ... ...
Part 1. 착륙 1분 전 사라지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23호
카메라와 레이더 장치도 잘 작동됐어요. 또 대기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화성의 전기장을
측정
하여 궤도선인 TGO로 전송하는 데 성공한 상태였지요. 그러나 그 직후 갑자기 연락이 두절됐어요.이후 10월 21일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화성 궤도선인 ‘MRO’가 스키아파렐리 예정 착륙지 근처에서 50cm ... ...
이전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