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측정"(으)로 총 4,720건 검색되었습니다.
- [Future] 안동 권씨가 대전에 살게 된 까닭은?과학동아 l2017년 01호
- 기반으로 지역별 인구 구성에 대한 분석도 할 수 있다. 생태학에서 생물종의 다양성을 측정하는 ‘피셔 알파(Fisher’s Alpha)’라는 수식을 통해서다. 이 식을 토대로 각 지역의 성씨 다양성을 모두 계산한 결과, 서울과 부산, 대구 등 광역시가 성씨 구성의다양성이 높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안동 ... ...
- [Issue] 미래지진을 찾아 바다 밑을 들추다과학동아 l2017년 01호
- 레이저로 표식을 하고 바코드를 붙여 고유번호를 부여했다. 코어 각각의 물성을 측정하고 보관용과 샘플용으로 반을 나눴다. 그리고 코어 테이블에 순서대로 정렬했다. 그러면 퇴적학자들과 구조지질학자들이 와서 분석하고 사진을 찍었다. 마지막엔 샘플용은 샘플로 만들고(탐사대원들이 ... ...
- [과학뉴스] 난방텐트과학동아 l2017년 01호
- 효과는 제한적입니다. 텐트의 두께가 비닐처럼 얇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보온율을 측정해보면 평균 20%로, 겨울철 내의를 입었을 때의 보온율인 17~23%와는 비슷한 수준이지만, 군용 이불(80%)보다는 훨씬 작습니다. 이것은 한국의류시험연구원에서 온도가 35°C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열판 시험기를 ... ...
- Part 1. 1월 1일, 1초가 늘어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1호
- *GPS도 시간이 무척 중요해요. GPS는 3대 이상의 인공위성이 서로 전파가 오가는 시간을 측정해 위치를 알아내요. 그런데 인공위성의 시계가 1000분의 1초만 틀려도 위치가 300km나 어긋나게 되지요.특히 인터넷을 통해 돈 거래를 할 때 시간이 아주 중요해요. 예를 들어 돈을 보내는 사람과 은행 사이에 ... ...
- [과학뉴스] 인류가 만든 ‘문명’, 30조t에 달해과학동아 l2017년 01호
- 등 다양한 곳에서 계산한 물리적인 환경에 대한 수치를 바탕으로 전 세계 문명의 무게를 측정했다. 그결과, 30조t이라는 근사치를 얻었다. 이는 테크노스피어가 지표면 1m2당 50kg의 질량을 차지하고 있다는 뜻이다.논문의 공동 저자인 영국 레스터대 지질학과 마크 윌리엄스 교수는 “테크노스피어가 ... ...
- [과학뉴스] 새똥이 북극을 춥게 한다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이는 실제 북극대기를 측정한 결과와도 유사했다. 반면 바닷새의 배설물이 없는 경우는 측정결과보다 구름방울이 더 적게 만들어졌다.연구팀은 바닷새의 배설물에서 발생한 암모니아기체가 황산 기체, 수증기와 결합해 구름이 된다고 밝혔다. 이렇게 만들어진 구름이 햇빛을 반사시켜 북극의 ... ...
- [과학뉴스] 갑각류 중 가장 힘 센 동물은 누구?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약 1m나 된다. 특히 집게발의 힘이 강력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지금까지 구체적으로 측정한 적은 없었다.츄라쉬마재단의 신이치로 오카 박사팀은 몸무게가 33~2120g인 야생 코코넛크랩 29마리의 집게발 악력을 압력계로 쟀다. 그 결과 몸무게에 따라 29~1765N(뉴턴·1N은 1kg의 물체를 1m/s2로 가속시키는 ... ...
- [Future] ‘윈터솔저’의 미래형 의수 가능할까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있게 되면, 다음 목표는 감각이다. 현재의 전자의수는 손 끝에 센서를 붙여 압력을 잰 뒤, 측정한 압력에 비례하는 전류를 남아 있는 팔 부위에 흘리는 방법으로 간접적으로 손끝의 힘을 느낀다. 독일의 빈센트시스템즈 사가 최근 처음으로 상품화했다. 이 의수는 아이림(지난화 참조)보다 훨씬 적은 ... ...
- [Future] 1초를 둘러싼 전쟁, 윤초과학동아 l2017년 01호
- 등 세 가지다. 세계시는 천문 현상에 기반한 시간이다. 태양이 자오선(천체의 시각을 측정하는 기준선)을 통과하는 평균적인 하루의 길이를 1일로 정의해 사용한다. 하지만 이 간격이 일정하지 않아 사용하기 불편하다.반면 1967년부터 사용하기 시작한 원자시는 세슘-133 원자의 진동수(91억 9263만 177 ... ...
- Part 6. 특이점 없애기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존재할 수 없다. 그러나 현실에서는 그런 일이 벌어지지 않는다. 운동량과 위치를 동시에 측정할 수 없다는 양자역학적 원리(불확정성 원리. 운동량과 위치 정보가 비가환 대수의 관계에 놓임)가 발견되면서 전자가 원자핵으로 접근할 수 있는 한계 반경이 정해졌기 때문이다. 우리의 시공간을 ... ...
이전1171181191201211221231241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