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바깥
외면
표면
겉
바깥면
밖
노천
d라이브러리
"
외부
"(으)로 총 3,180건 검색되었습니다.
파리는 어떻게 벽에 달라붙나?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이런 특성은 액체에 분산돼 있는 작은 입자가 약한 네트워크를 형성하기 때문이다.
외부
에서 힘을 주지 않으면 이런 약한 힘으로도 형태를 유지할 수 있지만 힘을 주는 순간 네트워크가 깨져 액체가 된다. 곤충의 발이 분비하는 액체에서 미세한 물방울이 작은 입자의 역할을 하는 셈이다. 그 결과 ... ...
한국의 인공태양, 세계의 태양으로 뜨다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009년 2월호에 'KSTAR가 한국을 핵융합 연구의 선두주자로 끌어올렸다‘고 표현했다.최근엔
외부
장치를 추가 설치하고 내부를 리모델링해 성능을 더 높였다. 지난해 말 기체 상태의 중수소를 빠르게 가속해 토카막 안에 투입하는 장치인 중성입자빔가열장치를 달았다. 진공용기 내부 모든 면에 고순도 ... ...
말썽꾸러기 조카 '지지리 마란드러'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3호
건물이 있었다. 마란드러는 풀러의 작품인 돔형 건물을 보고 입을 다물 수 없었다.“돔은
외부
충격을 잘 견디는 구조물이지. 풀러가 만든 이 돔은 ‘지오데직 돔’이라고 한단다.”썰렁홈즈는 방학숙제를 도와 주기 위해서 친절하게 설명했다. 그런데 그 때, 악당 업새블라가 어디선가 나타나 ... ...
굿 바이! 킬로그램의 어머니!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유지되는 쾌적한 환경에서 지낸다. 게다가 티끌 같은 먼지조차 접근하지 못하도록
외부
공기가 차단된 3중 유리관 안에 고이 모셔져 있다.kg의 표준은 1879년, 당시의 최첨단 기술로 태어났다. 국제도량형총회가 첫 번째로 열렸던 1889년에 “이 원기를 질량의 표준으로 한다”고 선포했다.그렇다면 ... ...
스털링 엔진 HB-31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높은 효율에도 불구하고 스털링 엔진은 200년 가까이 거의 쓰이지 않았다. 에너지를
외부
에서 얻는 ‘외연기관’이어서 덩치가 크고, 무엇보다 원하는 대로 속도조절을 하기가 어려웠기 때문이다.최근 환경 문제가 주된 관심사가 되면서 에너지 효율이 높은 스털링 엔진이 다시 주목받기 시작했다. ... ...
127시간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생각해 보자.자신의 모습을 남들이 봐주기 바라는 대로 연출한다. 이런것을 ‘
외부
의 시선이 내면화된다’고 말하며, 카메라 같은 장치가 그 과정에서 큰 역할을 담당한다. 아론이 자포자기한 심정으로 “나는 여기로 오기 위해 평생을 살아 왔다”고 생각하는 장면에서는 가슴이 저리다. 팔을 ... ...
Part2. 지구 살리는 13가지 방법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하고 상승하는 동안에는 닫혀 심층수를 표면으로 옮긴다. 연구팀은 이 밸브가 별도의
외부
전력 없이도 작동할 수 있다고 밝혔다.실제로 미국 민간기업 앳모션(Atmocean)은 이와 비슷한 파이프를 제작해 실험 시스템을 구축했다. 2007년에는 200m 깊이 심층수를 끌어올리는 실험을 했다. 이 회사는 1억 340 ... ...
보이지 않는 하늘의 제왕 스텔스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연구원이 ‘국방과학기술플러스’지 2010년 1월호에 투고한 논문에 따르면 스텔스기가
외부
에 노출되지 않도록 관리해야 할 신호는 크게 4가지다. 레이더를 회피하는 데 쓰는 ‘전자적 신호 감소’ 기능이나 적의 유도무기를 피하기 위한 ‘자외선(열) 감소 기능’, 소리가 들리지 않도록 하는 ‘음파 ... ...
Part 1. 구제역 전파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편이다. 게놈이 DNA보다 훨씬 불안정한 RNA로 이뤄져 있고 외피가 없어 단백질 캡슐이
외부
에 그대로 노출돼 있기 때문이다.충북대 수의학과 강신영 교수는 “단백질 구조가 변형되면 숙주의 세포 표면에 달라붙을 수 없다”며 “이런 변형은 온도가 높을수록 빨리 일어난다”고 설명했다. 한편 ... ...
달에 있는 물, 혜성에서 왔다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떨어져 나갔다는 기존 학설 역시 부정했다. 달에 있는 물 성분을 조사한 결과 태양계
외부
에서 혜성과 충돌해 생겼을 확률이 높다는 것이 테일러 교수팀의 주장이다.테일러 교수는 “달에 있는 물은 지구와 생성 원인이 다르고, 수소와 산소로 분리돼 있어 우주선 연료를 충전할 수도 있을 ... ...
이전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