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바깥
외면
표면
겉
바깥면
밖
노천
d라이브러리
"
외부
"(으)로 총 3,180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공개! 해킹 범죄 시나리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해당 웹사이트가 응답을 보내느라 허우적거리게 만들어볼까 생각한다. 하지만 요즘엔
외부
에서 오는 핑을 막아 놓는 회사가 많기 때문에 다른 방법을 찾기로 한다. 해커는 트래픽이 많고 대역폭이 큰 웹사이트를 호스팅하는 회사를 하나 고른다. 이 회사 사이트의 제어권을 획득한 해커는 ... ...
미래도시가 온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7호
돔과 똑같은 구조를 가진 분자가 있다? 바로 60개의 꼭짓점에 탄소가 위치하는 C60다.
외부
에서 오는 힘을 분산시켜 압력에 강한 지오데식돔처럼 C60도 높은 온도와 압력에 강하다. 이 때문에 이름도 지오데식 돔 구조를 개발한 건축가 ‘벅민스터 플러린’의 이름을 따 ‘플러린’이라고 이름 붙었다 ... ...
어디서나 쓸 수 있는 암호 찾는다
수학동아
l
2011년 07호
응용되고 있다. 공개키는 암호방식을 담은 암호키, 즉 잠그는 역할을 하는 키다.
외부
에 공개하기 때문에 공개키라고 한다. 비밀키는 암호를 푸는 데 쓰는데, 자신만 가지기 때문에 비밀키 또는 개인키라고 한다. ECC(Elliptic Curve Cryptosystem)는 타원곡선을 이용한 공개키 암호방식으로 타원곡선암호라고 ... ...
Part 2. 꿀벌에게 무슨 일이?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그리고 ‘집단 지능’을 통해 발휘하는 의사결정 능력도 포유류 못지 않다. 이런 장점은
외부
에서 충격이 가해졌을 때 협업으로 이겨 내기에 유리하다. 2009년 9월 미국 웨이크포레스트대 에린 펄프교수 연구팀은 또 다른 초개체인 개미가 특정 장소를 발견하고 동료들에게 알리는 방식을 흉내 낸 ... ...
후쿠시마 원전 1Km 앞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20km와 30km사이는 실내대피 구역이지만 실제 대부분의 주민들은 자치단체의 안내로
외부
로 대피했다. 상점은 대부분 문을 닫았고 집집마다 커튼이 드리워져 사람이 보이지 않았다.] [원전 50km 지점에 위치한 고리야마시 종합운동장 ‘빅 팔레트’의 피난민 임시 거처. 질서는 잘 유지되고 있었다. ... ...
Part 2. 해킹 Hacking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받도록 유도하는 기법도 발견됐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내부와
외부
환경을 악용하는 보안 위협들은 지속적으로 증가할 전망이다.스마트폰의 사용이 급격히 증가하면서 그만큼 보안 위협에 노출될 가능성도 증가했다. 실제로 지난해부터 스마트폰에서 동작하는 악성코드가 ... ...
대지진, 일본을 뒤흔들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7호
단계시설
외부
의 위험사고•사망자 5, 6명 발생•원자로의 심각한 손상과 방사성 물질
외부
누출❻ 단계심각한 사고•상당량의 방사성 물질 누출❼ 단계대형 사고•방사선 물질 대량 누출•생태계에 심각한 영향 초래일본을 위협하는 방사성 물질의 공포!일본 후쿠시마 원자력발전소의 1~4호 ... ...
머리 좋아지는 기계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정말 효과가 있는지 알아봤다. 그동안 과학자들은 두개골이 전류를 차단하기 때문에
외부
에서 전류를 흘려줘도 뇌 속으로는 거의 들어가지 못한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직접 전류를 흘리는 tDCS 대신 자석을 이용한 TMS를 많이 연구해 왔다. 파울루스 교수는 “연구 결과 tDCS가 편두통 같은 만성통증을 ... ...
범죄 막는 도시 디자인, 셉테드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이런 설계를 볼 수 있다. 토루 주변에 해자를 파고, 창과 출입문을 가능한 작게 만들어
외부
인의 접근을 막았다. 셉테드에서도 해자를 현대적으로 다시 해석해 보행로와 저층부 사이에 물로 찬 공간을 만들었다. 이를 통해 범죄자의 접근을 막을 뿐만 아니라 낮은 층에 사는 사람들의 프라이버시를 ... ...
대장암에서 p53 유전자 결손과 돌연변이 발견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가운데 절반 정도는 p53이 고장난 상태라는 사실이 밝혀졌다.한편 정상적인 p53 단백질도
외부
물질의 작용으로 기능을 하지 못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자궁경부암을 일으키는 바이러스인 인유두종바이러스(HPV)의 경우 E6이라는 단백질을 만드는데 E6은 p53 단백질에 달라붙어 무력화시킨다. 그 결과 ... ...
이전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