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실험"(으)로 총 9,097건 검색되었습니다.
- 1996년 면역세포가 ‘남’을 구분하는 원리를 밝히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뇌수막염을 유발한다. LCMV가 몸에 들어오면 T림프구가 이를 인식하고 파괴한다. 이들은 실험용 쥐에 LCMV를 감염시켜 생성된 T림프구를 채취한 뒤, 같은 혈통을 가진 다른 감염된 쥐의 세포와 섞어 관찰했다. 그 결과 몸밖에서도 체내에서와 마찬가지로 감염된 세포를 찾아 파괴하던 T림프구가 다른 ... ...
- [노벨상 수상자 특별 인터뷰] 피터 도허티 "백신 개발 전까지 코로나19는 위험한 질병"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안전성과 효율성을 검증하는 단계에 있다. 이 단계를 통과하면 원숭이 등 영장류 실험을 거치고, 이후 1차, 2차, 3차 임상시험이 차례로 진행될 것이다. 성공하면 단일클론항체보다 가격이 낮은 신약이 개발될 수 있다. 그러면 대량생산도 용이해져 전 세계에서 치료제를 쓸 수 있을 것이다. Q. ... ...
- 자연살해세포...침입 즉시 공격, 진정한 킬러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이 쥐의 비장에서 세포를 추출해 시험관에서 키운 쥐의 비정상 백혈구 세포와 섞는 실험을 진행했다. 그 결과 비장에 있는 일부 세포가 백혈구를 무차별적으로 공격하는 반응이 나타났다. 이상한 점은 T림프구와 B림프구 등이 공격 반응에 관여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이들이 나타났다면 공격 대상이 ... ...
- 1969년 바이러스의 복제 과정을 밝히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들어가지 않고 DNA만 세포 내로 침투해 새로운 바이러스를 만들어낸다는 뜻이었다. 이 실험은 바이러스의 복제 과정을 밝힌 동시에 DNA가 유전물질이라는 사실도 최초로 알아냈다. 이후 제임스 왓슨과 프랜시스 크릭이 DNA의 이중나선 구조를 밝혀내는 데 바이러스 연구가 결정적인 역할을 한 셈이다 ... ...
- 1919년 바이러스 파괴하는 보체를 발견하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1800년대 후반은 면역 혈청 연구가 급속도로 발전하던 시기였다. 매독, 디프테리아, 파상풍 등 병원체에 감염되면 쉽게 목숨을 잃는 시대였기에 면역 혈 ... 적혈구는 붉은 색소를 포함하고 있어 실험 결과를 확인하기도 쉽다. 적혈구를 이용하는 면역 실험은 지금도 유용하게 쓰이고 있다 ... ...
- 1972년 항체의 구조, Y를 알아내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결합하는 부분이었다. 나머지 하나는 항원과 결합에 관여하지 않는 부분이었다. 포터는 실험 결과를 토대로 동일한 두 부분은 Y의 가지 부분, 나머지 하나는 줄기 부분을 이룬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1994년 에델먼은 미국 잡지 ‘뉴요커’와의 인터뷰에서 “과학에 종사하는 사람은 누구나 (진리에 ... ...
- 1987년 항체 다양성을 유전자로 설명하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논문을 발표했다. 항체는 기본적으로 유전자에 따라 만들어지는 단백질이다. 그는 쥐 실험에서 항체를 만들어내는 면역세포인 B림프구의 유전자가 세포 분열 과정에서 어떻게 바뀌는지 관찰했다. 그 결과, 배아줄기세포가 항체를 생성하는 B림프구로 성숙하는 과정에서 면역글로불린을 형성하는 ... ...
- 1980년 면역거부반응의 이유를 찾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T림프구의 반응을 관찰했다. 도움 T림프구는 MHC와 상호작용해 외부 물질을 구분했다. 이 실험을 통해 베나세라프는 도움 T림프구의 반응을 결정하는 유전자인 Ir을 찾아냈다. 이후 Ir 유전자와 생쥐가 가진 H2항원 유전자가 동일한 염색체 영역 내에 위치한다는 사실이 추가로 밝혀졌다. 스넬은 ... ...
- Chapter 07. 치료제┃인간 지킬 유일한 방패, 백신항바이러스제 개발의 꿈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마이코페놀산, 말라리아 치료제인 하이드록시클로로퀸 등에 대해서도 세포실험을 진행해 긍정적인 효과를 확인했다. 하지만 이후 진행된 환자 대상 임상시험에서 메르스 치료에 대한 효능을 입증한 약물은 없었다. 메르스가 2012년부터 2015년까지 3년 동안이나 지속됐음에도 항바이러스제는 단 한 ... ...
- 성층권에 기구를 띄우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인터뷰에서 “수개월간 준비한 첫 실험을 성공시켜 매우 짜릿하다”며 “이번 실험으로 성층권에 띄운 기구에서 소형 로켓을 발사하는 궁극적인 목표를 실현시킬 수 있다는 걸 확인했다”고 말했어요.성층권 기구 발사대가 주목받는 가장 큰 이유는 비용을 아낄 수 있다는 거예요. 땅에서 ... ...
이전11811912012112212312412512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