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험
검사
테스트
실습
체험
조사
점검
d라이브러리
"
실험
"(으)로 총 9,097건 검색되었습니다.
USA┃INTERVIEW “셜록 홈즈처럼 화성 미스터리 풀겠다”
과학동아
l
2020년 08호
위트있게 알려 줬다. 이후 퍼시비어런스의 목적에 맞게 셜록을 계속 발전시켰다. 지상
실험
실에서는 대형 첨단 장비로 구축할 수 있지만, 동일한 장비를 화성에 가져가려면 약 10kg의 구두 상자 정도로 크기를 대폭 줄여야 한다. 측정 능력을 유지하면서 소형화시키는 건 매우 까다로운 기술이다. ... ...
한국 화성 탐사 계획은? 화성에 가져갈 ‘잇’템 7
과학동아
l
2020년 08호
평균적으로 지구에서 달까지 거리는 약 40만km, 화성까지는 2억km가 넘는다. 거리가 멀수록 탐사선을 실을 발사체에는 연료가 많이 들어가고, 연료를 많이 채우면 무거워 ... 박테리아가 있는데, 방사선에 아주 강하다고 합니다. 개인적으로 이 박테리아도 좋은
실험
표본이라고 생각합니다 ... ...
[과동키즈] 내가 남극으로 향한 이유
과학동아
l
2020년 08호
블랙홀을 직접 관측하는 초장기선 전파 간섭계
실험
이다. SPT는 본래 우주배경복사 관측
실험
용으로 제작됐기 때문에 블랙홀 관측에 활용하려면 누군가가 남극에 가서 SPT에 새로운 전파 수신기를 설치해야 했다. ‘남극점에 갈 수 있다니!’ ‘내 손으로 전파 관측 기기를 개발할 수 있다니!’ 나는 ... ...
로켓 발사에서 태양광 드론까지! 성층권이 시끌시끌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로켓 발사에서 태양광 드론까지! 성층권이 시끌시끌Part1.
실험
실 안에 성층권이?!Part2. 성층권에 드론 날다!Part3. 성층권에 기구를 띄우다! ★ 사진 및 도움김주완(공주대학교 대기과학과 교수), 김용규(한국표준연구원 고층기상연구팀 책임연구원), 이융교 ... ...
성층권에 기구를 띄우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인터뷰에서 “수개월간 준비한 첫
실험
을 성공시켜 매우 짜릿하다”며 “이번
실험
으로 성층권에 띄운 기구에서 소형 로켓을 발사하는 궁극적인 목표를 실현시킬 수 있다는 걸 확인했다”고 말했어요.성층권 기구 발사대가 주목받는 가장 큰 이유는 비용을 아낄 수 있다는 거예요. 땅에서 ... ...
[섭섭박사의 메이커스쿨] 라인 따라 요리조리! 내가 만드는 로봇, 라인 트레이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7호
검정색 테이프나 굵은 매직펜을 사용해 내가 직접 트랙을 만들면 더 재밌는
실험
을 할 수 있답니다. 라인 트레이서가 검정색 선을 따라가는 이유는?! 검정색 선을 따라 요리조리 움직이는 라인 트레이서는 어떤 원리로 작동하는 걸까요? 원리를 알기 위해선 먼저 빛의 반사와 흡수를 ... ...
좋은 바이러스도 있을까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동시에 처방하면 기존 치료제가 듣지 않는 악성 유방암도 치료할 수 있다는 동물
실험
결과를 발표하기도 했다.바이러스 항암제가 바이러스 자체를 치료제로 활용한 경우라면 바이러스 일부만 사용하는 치료법도 있다. 대표적으로 바이러스 벡터를 이용한 유전자 치료를 들 수 있다. 유전자 치료는 ... ...
대식세포...바이러스 전쟁의 지휘관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1882년 배아 상태의 불가사리 유충에 가시를 찔러넣고 그 변화를 현미경으로 관찰하는
실험
을 하고 있었다.이때 한 무더기의 세포가 찔린 부위로 이동해 손상된 조직을 먹어 치우는 것과 같은 장면이 목격됐다.초기 칩입자에 대한 방어작용을 담당하는 식세포(phagocyte)라는 용어는 이렇게 등장했다. ... ...
자연살해세포...침입 즉시 공격, 진정한 킬러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이 쥐의 비장에서 세포를 추출해 시험관에서 키운 쥐의 비정상 백혈구 세포와 섞는
실험
을 진행했다. 그 결과 비장에 있는 일부 세포가 백혈구를 무차별적으로 공격하는 반응이 나타났다. 이상한 점은 T림프구와 B림프구 등이 공격 반응에 관여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이들이 나타났다면 공격 대상이 ... ...
1969년 바이러스의 복제 과정을 밝히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들어가지 않고 DNA만 세포 내로 침투해 새로운 바이러스를 만들어낸다는 뜻이었다. 이
실험
은 바이러스의 복제 과정을 밝힌 동시에 DNA가 유전물질이라는 사실도 최초로 알아냈다. 이후 제임스 왓슨과 프랜시스 크릭이 DNA의 이중나선 구조를 밝혀내는 데 바이러스 연구가 결정적인 역할을 한 셈이다 ... ...
이전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