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강아지
개새끼
강아지새끼
도그
개봉
첫상연
잡종개
d라이브러리
"
개
"(으)로 총 11,982건 검색되었습니다.
[참여] 내 손으로 날리는 다재다능 드론
수학동아
l
201511
점은 드론의 앞쪽이 어디인지 아는 겁니다. 독자들이 날린 드론은 프로펠러 4
개
중 흰색 2
개
가 있는 쪽이 앞이었습니다. 리모컨의 조종 막대를 앞쪽으로 조심스레 밀면 드론도 흰색 프로펠러가 있는 방향으로 날아갑니다. 만약 흰색 프로펠러가 조종하는 사람 쪽을 향하고 있다면 조종 막대를 ... ...
세계의 지붕이 흔들!
어린이과학동아
l
201511
뛰어나갈 수 있으니, 단 몇 초 단위로 생명이 오갈 수 있는 것이지요.우리나라는 약 140
개
의 지진계가 전국에서 지진을 감시하고 있어요. 우리나라가 판의 경계와 멀리 떨어져 있어 실제로 사람에게 위협이 될 정도로 지진이 일어나는 일은 드물어요. 하지만 지하 깊은 곳에서 언제 무슨 일이 ... ...
[PART 2] 어디까지 알아낼 수 있을까? 진화의 5가지 KEY
수학동아
l
201511
이 미세구조가 햇빛을 받을 때의 입사각과 굴절률을 계산했다. 그 결과 이 나방은 날
개
가 전체적으로는 연둣빛을, 테두리는 푸른빛을 띠었다는 사실을알아냈다.KEY 4 시조새는 공룡이 아니라 새화석을 연구하면 이미 멸종한 여러 동물 사이의 관계도 알 수 있다. 공룡에 가까운지, 아니면 새에 ... ...
[참여] 우리 학교 수학축제로 놀러 오세요! 호곡중 수학원정대
수학동아
l
201511
즐기러 온 많은 사람들로 가득했다. 그 중 특히 인기가 많았던 체험 활동 4가지를 소
개
한다.올해로 5년째 활동을 하고 있는 호곡중학교 수학동아리 ‘수학원정대’는 이름처럼 재밌는 수학을 찾아 다채로운 활동을 하고 있다. 지난 5월에는 남산골 한옥마을을 방문해 한옥에 숨어 있는 수학을 직접 ... ...
“거북선은 3층, 큰 대포는 앞에만”
과학동아
l
201511
만들었다면 본체가 지붕 무게를 감당하지 못했을 것이다. 거북선은 기본적으로 판옥선을
개
량한 배다. 때문에 최상층의 하중을 갑자기 늘릴 수 없다. 아마도 갑판의 가운데 부분만 지붕으로 덮고 나머지는 창과 같은 무기를 설치해 일본군이 배에 뛰어드는 것을 막았을 것이다.Q 연구를 시작하게 된 ... ...
등검은말벌 대한민국을 공격하다!
과학동아
l
201511
확산을 막기는 어려운 상황입니다. 국가가 나서서 지원하지 않으면 우리나라 꿀벌의
개
체수는 계속 줄어들게 될 겁니다.” 유럽까지 고통, 확산속도는 6배 등검은말벌로 고통 받는 건 우리뿐만이 아니다. 프랑스 역시 우리와 비슷한 시기에 동일종이 들어와 생태계가 위협받고 있다. 우리나라는 ... ...
[노벨과학상 2015] PART 1 물리학상 ‘유령입자’의 변신을 확인하다
과학동아
l
201511
O)를 정부로부터 빌려 사용했다. 그는 캐나다 서드버리 지역에 위치한 1.5km 깊이의 탄광을
개
조한 뒤, 투명한 대형 아크릴 원통에 약 1000t의 중수를 채워 서드버리중성미자관측소(SNO)를 만들었다. 그리고 이곳에서 1999년부터 태양 중성미자 문제를 해결하는 실험을 했다.카미오칸데나 수퍼카미오칸데 ... ...
범인의 신원 정보를 먼지가 알고 있다고?
과학동아
l
201511
방문했던 사람들을 가려냈다는 것이다.연구팀은 지리적으로 떨어진 곳에서 열린 세
개
의 학회 참가자 91명에게서 샘플을 모았다. 특히 두 명은 이틀 동안 하루에 12시간씩 매 시간 단위로 샘플을 채집했다. 동시에 그들이 머문 자리에 있는 미생물 샘플도 수집했다. 전체 샘플을 분석한 결과, 연구팀은 ... ...
[10년 후 나를 디자인한다] 한국에서 열리는 세계 중학생 과학 올림픽! 제12회 국제중등과학올림피아드
과학동아
l
201511
Q. 이 대회가 학생들에게 어떤 유익을 준다고 생각하나세계의 과학 영재들이 우물 안
개
구리가 되지 않고 글로벌리더로 자라는 데 도움을 준다고 생각한다. 어린 시절 외국학생들과 10일 동안 함께 지낸 경험은 어른이 됐을 때의 경험과는 차원이 다른 효과가 있다. 실제로 대회 이후에도 꾸준히 ... ...
바이러스도 ‘생명의 나무’에 그려 달라!
과학동아
l
201511
분석하는 새로운 방법을 시도했다. 그 결과 바이러스와 세포에서 공통적인 접힘 구조 442
개
를 발견했다. 연구진은 이것을 바탕으로 계통도를 완성했다.구스타보 교수는 “바이러스가 (세포와 바이러스의 공통조상으로서의) 고대세포에서 유래했으며, 오늘날 세포의 조상과도 공존했다”고 주장했다 ... ...
이전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