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처지
상태
입회
관점
입학
등장
입항
스페셜
"
입장
"(으)로 총 1,358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장내미생물을 활용해 건강하게 살 방법은?
2017.08.08
사실이 점점 명백해지고 있는데 생체이물 대사도 예외는 아니라는 말이다. 장내미생물
입장
에서도 오늘날 인류가 섭취하는 다양한 생체이물 가운데 다수는 낯선 분자들이다. 실제 우리 몸 안에서는 소화에서처럼 생체이물을 대사하는데도 인체의 시스템과 장내미생물의 시스템이 이중으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우린 어떻게 습기를 느낄까
2017.07.25
선충 연구를 자세히 소개하며 사람의 경우 좀 더 복잡하겠지만 기본 틀은 유지될 거라는
입장
을 밝히며 이를 도식화한 그림을 실었다. 습도감각은 다른 감각에 비해 아직 밝혀진 게 적다. 곤충의 경우 특화된 습도수용체가 알려졌지만 사람을 포함한 많은 동물에서는 이런 습도수용체가 없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동아시아 남녀불평등의 기원을 찾아서
2017.05.16
어디까지나 ‘구별’일뿐 서로를 위해 좋은 것이라고 설명할지도 모르겠지만 여성의
입장
에서는 받아들이기 힘들 것이다. 예전에 TV에서 한 역사학자의 강의를 들었는데 한 번도 생각해보지 않았던 내용이라 깊은 인상을 받았다. 즉 불교국가인 고려시대까지만 해도 여성의 사회적 지위가 그렇게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⑦ 할머니, 할아버지의 날은 왜 없을까
2017.05.07
슬쩍 할머니, 할아버지에게도 감사하자는 식으로 대충 넘어가고 있죠. 할머니, 할아버지
입장
에서는 좀 서운한 일입니다. 조부모의 날 손주가 할머니, 할아버지에게 보낸 카드 - J E Theriot(F) 제공 ● 할머니 양육의 진화 할머니의 양육 참여라는 인류학적 관습을 ‘지속 양육 가설’이라고 합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산소발생 광합성 역사 불과 25억 년?
2017.04.04
와중에 시아노박테리아에 대한 전혀 생각지도 못한 게놈 데이터가 나오면서 회의적인
입장
이 힘을 얻고 있다. 이번에 ‘사이언스’에 실린 논문이 결정판으로 이에 따르면 빨라야 25년 전이나 26억 년 전 산소발생 광합성이 시작한 것으로 나온다. 최근 시아노박테리아 41종의 게놈을 해독해 분석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또 다른 식욕억제호르몬 찾았다!
2017.03.21
인슐린 주사를 맞는 수준으로 외부에서 렙틴을 넣어줘서는 약발이 안 들었다. 암젠의
입장
에서는 낭패였지만 렙틴의 등장은 비만을 심리(의지)의 문제에서 생리(호르몬)의 문제로 바라보게 하는 계기가 됐다. 그 뒤 식욕에 관여하는 여러 호르몬과 신경전달물질이 발견됐다. ‘먹어야 사는’ 동물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동물들은 얼마나 똑똑할까
2017.02.28
인지연구의 역사를 흥미로운 일화를 곁들여 서술하고 있다. - amazon.com 제공 ● 동물의
입장
에서 생각해야 미국 에모리대의 저명한 영장류학자 프란스 드 발의 2016년 저서 ‘우리는 동물들이 얼마나 똑똑한지 알 수 있을 만큼 똑똑할까?(Are we smart enough to know how smart animals are?)’를 보면 오늘날의 이런 ... ...
권력을 얻은 사람이 부도덕해지는 까닭은?
2017.02.26
사람도 권력을 갖게 되면 공감능력이나 다른 사람의
입장
에서 생각해보는 능력(조망수용능력) 등이 떨어지게 되며 ‘도덕성’ 또한 저하될 수 있다는 연구들이 있었다. 실험실에서 잠깐 사람들에게 ‘리더’가 되었던 경험을 떠올려보라거나 또는 역할놀이를 통해서 상사-부하직원 관계를 만드는 ... ...
[사이언스 지식인] 구제역 O형과 A형, 혈액형 같은 건가요?
동아사이언스
l
2017.02.11
표면에 있는 VP1 단백질은 돼지나 소의 세포에 달라붙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바이러스
입장
에서는 숙주세포에 기생하는 첫 단추를 꿰는 역할을 하는 셈이죠. 이때 VP1의 종류에 따라 숙주세포의 어떤 단백질에 달라붙는지에 차이가 생깁니다. 선호하는 단백질이 다르거든요. 지피지기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말 빨리하는 사람이 싱거운(?) 이유!
2017.01.23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속사포처럼 말을 할 수가 없다는 것이다. 그리고 말을 듣는 사람의
입장
에서도 짧은 시간에 과도한 정보가 들어오면 소화할 수가 없다. 중요한 말을 하기 전에 한 템포 쉬면서 주의를 환기시키는 이유다. 한편 발화 속도가 같을 경우도 남성이 여성보다 정보밀도가 높았다. ... ...
이전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