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하늘"(으)로 총 3,744건 검색되었습니다.
- 괴물블랙홀 헌터 누스타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9호
- 낼 테니 한번 맞혀 보세요. 밤하늘에 떠 있지만 반짝반짝 빛나지 않아요. 너무 멀리 떨어져 있어서 맨눈으로 보기 어렵고, 가까이 있다면 빨려 들어가 버릴 거예요. 주변에 있는 운석이나 행성은 물론 빛마저 빨아버리는 무시무시한 이 천체는 무엇일까요?정답은 블랙홀이에요. 우주에 존재하는 모든 ... ...
- 부력으로 둥둥 물로 가는 친환경 보트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8호
- 기체 속에 있는 물체가 중력과 반대 방향으로 받는 힘을 부력이라고 하지. 열기구가 하늘에 둥실둥실 뜰 수 있는 것도 부력 덕분이란다.그런데 어떤 물체는 물에 뜨지만 물에 뜨지 않는 물체도 있잖아요.맞아~. 물에 가라앉는 물체는 부력보다 중력이 더 세기 때문이야. 부력은 물같은 유체 속에 있는 ... ...
- 반대루 방송국의 MC ‘머이리 헷갈리나’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7호
- 그럼 두 번째 문제! 이번에는 아름다운 무지개 문제입니다.”비가 온 뒤에 맑은 하늘을 보면 무지개가 생긴다. 무지개는 빛이 물방울 입자에 굴절되면서 일어나는 현상이다.“둥근 무지개에서 빨간색이 아래일까요? 위일까요? 직접 그려 보세용!”미션3 거울에 비친 물체는 몇 개?“세 번째 문제를 ... ...
- 끊임없이 소원 비는 날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7호
- 가장 수가 많고 화려하다는 ‘페르세우스 유성우’거든요. 매년 8월 이맘때면 북쪽 하늘의 페르세우스 자리를 중심으로 1시간 동안 수십 개에서 최대 100여 개나 되는 유성을 볼 수 있답니다. 이번 여행은 8월 12~13일에 이뤄졌지요.뭐야, 유성우가 너희 말고 또 있다고?유성우는 소행성이나 혜성이 ... ...
- 우사인 볼트도 깜짝 놀란 번개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6호
- 번개 치면 우산이 피뢰침?우산처럼 길이가 긴 물체는 피뢰침 역할을 할 수 있기 때문에 하늘로 높게 들고 있으면 위험하다. 번개가 치면 비를 맞더라도 우산을 접고 걸어가는 게 안전하다.바닥으로 웅크리자!들판처럼 주위에 높은 것이 없는 장소에 있다면 손으로 귀를 덮고 머리는 가능한 땅에 ... ...
- 썰렁홈즈의 희한한 얼음 여행 앗! 세상에 이런 얼음이?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6호
- 위로도 자랄 수 있을까요, 없을까~요?“아니 고드름이 위에서 밑으로 자라지, 어떻게 하늘 방향인 위로 솟을 수 있냐고!”썰렁홈즈는 위로 자라는 고드름이 없다고 자신하고는 바로 ‘없다’를 선택했다. 그러자 위로 자라는 얼음이 솟아올라 썰렁홈즈에게 똥침을 놓기 시작했다.“으악~! 썰렁홈즈 ... ...
- 대결! 무지개를 만들라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4호
- 설탕무지개가 참 예쁘죠?2 액체로 만든, 물프리즘무지개히야, 굉장하구나! 하지만 나는 하늘에 뜬 무지개처럼 빛을 이용해 무지개를 만들어 보겠어!섭섭박사님, 그게 무엇인가요?핫하하, 이건 바로 물프리즘이야. 투명 아크릴판으로 속이 빈 삼각 기둥을만든 다음, 통 안에 물을 가득 채운 것이지 ... ...
- 아이손 혜성을 볼 수 있는 마지막 기회과학동아 l2013년 12호
- 아이손 혜성이 지나간 곳에 들어서면서 혜성의 부스러기가 수많은 별똥별로 변해 밤하늘을 수놓는다.지금까지 관측한 결과 아이손 혜성은 예상만큼 밝은 모습을 보여주지 못했다. 하지만 혜성의 밝기를 예측하기는 매우 어렵다. 아이손 혜성이 태양을 가까이 지나가며 또 어떤 모습을 보여줄지 ... ...
- PART1 김치를 만들고 나누는 문화 김장과학동아 l2013년 12호
- 김치 한 포기를 들고 오셨다. 저녁상에 그 김치를 올리며 은근히 한 마디 건네신다. “하늘이 엄마는 멸치젓을 아주 국그릇으로 퍼넣더라. 우리 집 김장이 훨씬 맛있지?” 일주일에서 열흘 정도 반복되는 아파트 김장 품앗이는 아랫집 노랑이네를 마지막으로 끝났다. 지금이야 김치냉장고가 있어서 ... ...
- 하늘에서 가장 쎈 전투기는?과학동아 l2013년 12호
- 입체적인 전자전을 펼 수 있게 된다.이미 4, 5세대 전투기들도 지상의 레이더 기지와 하늘의 조기경보기를 이용해 정보를 주고받으며 전투를 펼치고 있다. 여러 대의 전투기가 서로 편대를 이뤄 레이더로 사방을 감시하고, 조종사는 자신이 발견한 적기를 아군 전투기가 갖고 있는 다른 미사일을 ... ...
이전1171181191201211221231241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