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공
천계
창공
공중
허공
공간
스카이
d라이브러리
"
하늘
"(으)로 총 3,744건 검색되었습니다.
절벽에 매달려 꿀을 따다
과학동아
l
2014년 05호
❶ 삶의 터전을 품은 신성한 절벽자욱한 연기를 피해 도망간 꿀벌들이 절벽 너머 파란
하늘
을 점점이 채우고 있다. 인도와 네팔의 산악지역에는 이렇게 원시방법 그대로 절벽에서 꿀을 수확하는 부족들이 살고 있다.❷ 막대 끝에 걸린 달콤함올해로 62살인 꿀벌 사냥꾼 마리는 40년째 이 일을 하고 ... ...
지구 최남단, 하얀 사막의 장보고과학기지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05호
보기로 했어요. 부푼 마음을 안고 헬리콥터에 올라 두둥실 떠오르는 순간…, 맙소사!
하늘
에 구름이 가득해 멀리 갈 수 없어요. 할 수 없이 다시 기지로 돌아가기로 했답니다.남극의 날씨는 도무지 예측할 수 없어요. 아라온 호를 타고 오는 동안에도 햇볕이 쨍쨍 내리쬐는 맑은 날씨였다가 1시간도 ... ...
하늘
을 나는 새를 사냥하는 ‘호랑이물고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04호
그리고 아~, 입 안에 있는 삐죽빼죽한 이빨을 보세요. 정말 호랑이를 닮았지요?물고기가
하늘
을 나는 새를 잡아먹는다니 정말 대단하구나! 새를 사냥할 수 있는 비결을 알려주겠니?남아프리카 포체프스트룸에 있는 노스트웨스트대학교 환경과학과의 니코 스미트 박사 연구팀은 제가 정말로 새를 ... ...
첨단과학무기의 산실! 국방과학연구소
수학동아
l
2014년 04호
격추시킬 때 사용해요. 최대 사거리 7km까지 마하★ 2.1의 속도로 날아간답니다. 적이
하늘
에서 공격해 올 때는 신궁을 사용하여 방어할 수 있는 것이죠. 적 항공기에 근접하면 720개의 파편으로 쪼개져 공격하기 때문에 명중률이 90%에 달합니다.”신궁처럼 레이더나 무선장치를 이용해 원하는 ... ...
내 허파에 낀 초미세먼지는 정말 중국산일까
과학동아
l
2014년 04호
한다는 것이다.10μm든 2.5μm든 해로운 건 마찬가지인데 굳이 가릴 필요가 있을까. 온
하늘
을 먼지가 덮고 있는데 저건 미세먼지, 저건 그냥 먼지라고 할 만큼 한가한가. 이런 논란이 생긴 것은 단순히 용어만 헷갈리기 때문이 아니다. 더 위험한 ‘진짜’ 미세먼지를 제대로 대비해야 하기 때문이다 ... ...
Part 3. 잡음없이 깨끗한 중력파를 발견하라!
과학동아
l
2014년 04호
B-모드 편광성분을 찾아낸 것이다. 연구팀은 남극에서 바이셉2라는 전파망원경을 이용해
하늘
전체의 약 1∼5˚(보름달 지름의 2∼10배 정도 되는 범위)에 이르는 부분을 관측했다. 초전도현상을 이용하는 극정밀 탐지기 512개를 동원해서 2010년 1월부터 2012년 12월까지 측정한 데이터를 분석했다. ... ...
2014 소치 동계올림픽 과학으로 100배 즐기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03호
몸이 무거워 덜 날고, 가벼우면 스키가 짧아지기 때문이지요.스키점프를 한 선수들은
하늘
에 떴을 때 스키를 11자가 아닌 V자 모양으로 모아요. 예전에는 스키점프 선수들이 모두 11자로 모았어요. V자형 점프는 1980년대 스웨덴의 얀 보클레브가 처음 선보였는데 11자에 익숙한 당시 사람들은 자세가 ... ...
PART1. 백악기 마지막 날
과학동아
l
2014년 03호
물리적 충격만으로 일시에 생물을 멸종시킨 게 아니다. 뒤이은 광범위한 산불과 산성비,
하늘
을 뒤덮은 먼지와 이리듐 입자(운석에 많은 성분이다), 그리고 그에 따른 식물의 광합성 저하 등이 복합적으로 멸종을 불러왔다. 꽃이 만발하던 백악기의 정원은 침체에 빠졌고, 동물도 연쇄적으로 피해를 ... ...
빛으로 부활한 마크 로스코
과학동아
l
2014년 03호
심원한 간극을 즐겨 그리는 것으로 유명한 20세기 미술계의 거장이다. 마치 바다와
하늘
사이의 수평선 같은 금과 강렬한 색은 그의 트레이드 마크다.그의 작품 중 1962년에 그려 하버드대에 기증한 5점의 연작 ‘하버드 벽화’ 시리즈는 창 밖에서 들어오는 햇빛 때문에 심하게 변색됐다. 1979년에 ... ...
PART2. 공룡이 멸종하지 않았다면?
과학동아
l
2014년 03호
양력을 일으키기 유리해 나무 사이를 날아다니는 데 도움이 됐다. 결국 이 깃털이 발달해
하늘
을 날게 됐다. 이것이 오늘의 새가 살아남은 공룡이라고 하는 이유다.운석 충돌 전에는 많은 공룡들이 알을 낳고 바로 떠났다. 당시에는 기온도 적당하고 먹을 것이 풍부해 새끼들이 어미 없이 그럭저럭 ... ...
이전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