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실제"(으)로 총 6,115건 검색되었습니다.
- [BJ맹추의 수동TV] 기사 속 수학 개념 완전정복수학동아 l2018년 06호
- 그만 좀 섞어!수학의 묘미는 바로 아~주 복잡한 문제를 간단하게 푸는 겁니다. 실제로 수학자는 똑같은 증명이라도 길고 복잡한 것보다 간단하고 짧은 증명을 더 좋아하거든요. 마침 이번 개념이 비와 비율이니까, 비와 비율을 이용해 수학의 묘미를 느껴볼까요? BJ맹추가 중학생 때 가장 싫어한 ... ...
- [과학뉴스] Hi-SEAS 6, 대원 하차로 임무 취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예정이었지만, 또 다른 대원이 하차 의향을 밝히며 결국 미션6은 취소됐지요. Hi-SEAS는 실제 유인화성탐사 대원 수인 4명에 맞게 진행되기 때문에 인원이 부족하면 취소될 수밖에 없답니다. 이번 미션에서 대장을 맡았던 한석진 교수는 “NASA에서는 미션7을 기획하면서 제가 다시 지원하길 바라고 ... ...
- [엉뚱발랄 생각실험실] 우주에 끝이 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무한한지에 따라 우주가 유한한지, 무한한지가 결정된다고 해요. 즉, 우주에 있는 실제 사물의 수가 유한하기 때문에 우주에 끝이 있다는 거죠. 공간이 유한한지, 무한한지에 대한 질문은 ‘사물이 없어도 공간이 존재할까?’라는 질문으로 이어졌어요. 이에 대해 뉴턴은 사물이 있든 없든 절대 ... ...
- Part 1. 평창 밤하늘에 별빛을 수놓은 군집드론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결정하는 프로그램과 각 드론의위치 신호 및 배터리 상태를 관리하는 프로그램, 그리고 실제 드론을 조종하는 프로그램이지요. 드론 기술팀은 먼저 드론의 수와 위치를 결정하는 프로그램을 이용해 드론들이 언제, 어디에 위치할 것인지 치밀하게 프로그래밍해요. 각 드론들이 움직일 최단 경로를 ... ...
- [과학뉴스] 조용히 수영하는 ‘뱀장어 로봇’과학동아 l2018년 06호
- 헤엄친다. 속도는 초당 약 1.9mm다. 마이클 톨리 UC샌디에이고 기계항공공학과 교수는 “실제 동물의 행동을 흉내 낸데다 소음이 발생하지 않아 해양생물을 가까이에서 관찰할 수 있게 됐다”며 “로봇이 물속에서 활동하는 동안 물속에 전류를 방출하지 않아 해양생물에게 해를 끼치지 않는다”고 ... ...
- [Tech] 모델명 ASUS ROG GLADIUS Ⅱ 마우스과학동아 l2018년 06호
- 클릭 시 수명이 단축됩니다) 여분의 스위치로 갈아끼우면 참 편리할 것 같았습니다. 실제로 이 모델은 스위치를 소켓처럼 끼울 수 있게 설계돼 있었습니다.한편 내부에 커다란 리튬배터리를 장착한, 유선과 무선을 전환해 사용할 수 있는 모델(ASUS ROG SPATHA)은 마우스의 디자인도 사용자의 손에 맞출 ... ...
- [Culture] 세상의 모든 사이비과학에 경고를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유사과학’에 가까운 것들이 많다. 유사과학(pseudoscience)은 과학이라고 주장하지만, 실제로는 전혀 과학적이지 않은 지식을 일컫는 말로 ‘사이비과학’으로도 불린다. “과거에는 ‘첨단’ ‘고급’ 등의 단어가 소비자를 사로잡는 경우가 많았죠. 하지만 경제가 발전하고 ‘웰빙’이라는 ... ...
- [인터뷰] 세종과학고 입학홍보부장 박종찬 “새로운 문제 만드는 훈련 해보길”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새로운 문제를 만들어 보는 훈련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세종과학고는 실제 수업에서도 학생들에게 이 같은 사고 훈련을 하도록 한다. 박 부장은 “학생의 대답이 충분하지 않다고 판단되면 면접관이 추가 질문을 할 수 있다”며 “이 때 당황하지 말고 침착하게 대답하면 된다”고 ... ...
- [서울대 공대 재학생 인터뷰] 우주항공 엔진 달고 꿈을 향해 비상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않다는 점을 느꼈다. 하지만 스터디를 반복하면서 긴장하지 않고 설명할 수 있게 됐고, 실제 면접에서도 당황하지 않고 문제를 풀 수 있었다. 박 씨는 “돌이켜보면 입시 준비에 스트레스를 받을 수도 있었지만, 합격에 대한 막연한 불안감은 떨쳐버리고 최선을 다했던 게 도움이 된 것 같다”고 ... ...
- [이투스교육] 연세대 논술전형 분석 및 대비전략과학동아 l2018년 06호
- 합격자 점수는 2016학년도 평균 60점대에서 2017학년도에는 평균 70점대로 상승했다. 또한 실제 수치는 공개되지 않았지만, 2018학년도에도 문제의 난이도가 많이 낮아져서 그 보다 더 상승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렇게 (상대적으로) 쉬워진 논술이라면 해볼 만하지 않겠는가? 단, 쉬울수록 기본에 ... ...
이전1171181191201211221231241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