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면
측
페이지
장
페이쥐
편
뉴스
"
쪽
"(으)로 총 3,685건 검색되었습니다.
[이덕환의 과학세상]미래 세대에게 떠넘겨버린 탄소중립의 부담
2021.01.06
수도 없다. 지난 60여 년 동안 애써 만들어놓았던 지게도 맹목적인 탈원전으로 한
쪽
다리가 부러져버린 상황이다. 탄소중립의 출발은 온실가스 배출량을 적극적으로 줄이는 ‘저탄소’다. 석탄・석유・LNG의 사용을 적극적으로 줄이는 것이 핵심이다. 화려한 미사여구만으로 되는 일은 절대 아니다. ... ...
韓 태풍이 美 산불 일으켰다…전지구 기상 ‘나비 효과’ 입증
2021.01.05
바람이 시계방향으로 불어 나오면 알래스카 남동
쪽
에 위치한 오리건주에는 동
쪽
에서 서
쪽
으로 부는 서풍이 발생한다. 이 서풍이 오리건주에 위치한 캐스케이드산맥을 타고 넘어오며 고온 건조한 바람으로 바뀌고 화재의 원인이 된 것이다. 윤 교수는 “고기압이 발달하면 고온건조한 바람이 ... ...
화성탐사 로버 퍼서비어런스 내달 18일 '공포의 7분' 도전
연합뉴스
l
2021.01.04
장비가 실려있다. 모두 8개의 로켓 엔진으로 구성된 하강 장비는 2천100m 상공에서 등
쪽
보호각과 낙하산을 떼어낸 뒤 지상을 향해 엔진을 가동해 동체의 균형을 잡으며 하강 속도를 시속 2.7㎞까지 줄이게 된다. 착륙 12초 전 20m 상공에 도달하면 길이 6.4m의 나일론 케이블 3줄에 로버를 달아 ... ...
토종 코로나19 백신부터 토종 우주로켓 발사까지…올해 한국 과학의 기대주들
동아사이언스
l
2021.01.04
알릴 수 있다”며 “‘스마트’라는 이름처럼 AI 알고리즘을 이용해 밸브의 어느
쪽
이 문제인지 자체적으로 판단해 알리는 기능도 있다”고 말했다. 지난해 1억 도의 초고온 플라스마 20초 운전에 성공한 한국형초전도핵융합장치(KSTAR)는 올해 30초 운전에 도전한다. 사진은 지난해 20초 운전 성공 ... ...
[프리미엄 리포트]영면에 들어간 천문학의 노병들
과학동아
l
2021.01.02
있는 박지우 NASA 고다드 우주센터 태양권 물리학 실험실 연구원은 “태양권계면 안
쪽
에서는 자기장의 변동이 마치 소리처럼 파동의 이동 방향과 매질의 진동 방향이 평행한 ‘종파’ 형태였는데, 태양권계면 바깥으로 멀어지면서 파동의 이동 방향과 매질의 진동 방향이 수직인 ‘횡파’로 ... ...
"정부 R&D는 20% 불과...이젠 민간 못하는 역할 고민할 때" 과기자문위 부위원장의 쓴소리(재종합)
동아사이언스
l
2020.12.29
IBS 바이러스연구소를 합쳐야 할 것”이라며 “하나의 틀에 담을 만큼의 역량이 어느
쪽
도 없기 때문에 지금 구조를 선택한 것”이라고 말했다. 염 부의장은 지난해에도 그만두려 했지만 위에서 한 해 더 하라고 했다며 “내년은 정말 미션이 뭔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다만 “기후변화 문제가 ... ...
"정부 R&D는 20%밖에 안돼...이젠 민간 못하는 역할 고민할 때" 과기자문위 부위원장의 쓴소리
동아사이언스
l
2020.12.29
IBS 바이러스연구소를 합쳐야 할 것”이라며 “하나의 틀에 담을 만큼의 역량이 어느
쪽
도 없기 때문에 지금 구조를 선택한 것”이라고 말했다. 염 부의장은 지난해에도 그만두려 했지만 위에서 한 해 더 하라고 했다며 “내년은 정말 미션이 뭔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다만 “기후변화 문제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벤자민 버튼의 시간은 거꾸로 갈 수 있을까
2020.12.29
‘인 타임’의 한 장면. 노화를 정복한 미래로 주인공 실비아(아만다 사이프리드, 오른
쪽
)와 어머니(가운데), 외할머니의 생물나이가 25살에 멈춰있다. 개체 수준의 세포 재프로그래밍 기술이 완벽히 구현된다면 불가능한 일이 아닐지도 모른다. 20세기폭스코리아 제공 ※필자소개 ... ...
사람을 내려다보는 거대 박쥐
팝뉴스
l
2020.12.25
매달려서 사람을 응시하는 박쥐는 두려움이 전혀 없어 보인다. 겁을 집어 먹은
쪽
은 사람이다. 사진기를 뚫어지게 바라보는 박쥐 사진은 미국의 한 이미지 공유 사이트에서 화제가 되었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눈살을 찌푸리게도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유전물질의 정체가 드러나다
2020.12.24
실체로 받아들이지 않는 과학자들도 꽤 있었다. 그러나 후속연구들은 점점 DNA
쪽
으로 기울고 있었다. 대장균 세포 표면을 덮고 있는 박테리오파지 T1의 모습을 담은 전자현미경 사진. 위키피디아 제공 특히 미국의 앨프리드 허시와 마사 체이스의 1951년 실험은 인상적이다. ‘허시-체이스’ 실험은 ... ...
이전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