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낭세포
배낭
베낭
세포단체
단체
원형질체 단위
cell
뉴스
"
세포
"(으)로 총 7,338건 검색되었습니다.
상어의 무한재생 이빨, 우리도 가질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24.04.06
이뤄진 경조직을 만드는 데 성공했습니다. (doi:10.1016/j.jare.2023.08.012) 하지만 아직 이
세포
들을 가지고 모양과 기능을 갖춘 치아로 만드는 방법은 찾지 못했습니다. 정 교수는 "치아의 구조와 모양을 모사할 수 있는 스캐폴드(지지대) 개발 연구와 치아 발생 연구가 둘 다 완성 단계에 이르고 두 ... ...
[표지로 읽는 과학] 마이크로바이옴과 단백질의 긴밀한 관계
동아사이언스
l
2024.04.06
수 있다는 분석이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에선 다양한 상호작용 특성을 가진 균주가
세포
와 어떻게 서로 작요하면서 숙주의 면역체계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 수 있었다"며 "이러한 연구는 인간 건강, 질병과 마이크로바이옴의 인과관계에 대한 지식을 형성할 수 있는 기초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성인 비만 위험 6배 높이는 희귀 유전자 변이 2개 발견"
연합뉴스
l
2024.04.05
위험 증가와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연구팀은 또 실험 결과 BSN과 APBA1이 뇌
세포
간 신호전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이는 노화와 관련된 신경 퇴행이 식욕 조절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밝혔다. 페리 교수는 "BSN 변이는 지금까지 발견된 유전적 변이 중 ... ...
항균제 안듣는 악성 결핵균도 잡아내는 '약물의 재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4.04.05
동양인을 대상으로 한 폐암 치료제로 각광받게 됐다. 동양인에게서만 많이 발생하는 상피
세포
성장인자수용체(EGFR) 돌연변이 유전자에 효과를 가진 사실이 새롭게 확인된 것이다. ● 국내에서도 연구 활발 국내에서도 약물 재창출 성공 사례를 만들기 위한 연구가 이어지고 있다. 이현숙 서울대 ... ...
[과기원NOW] DGIST, 다비오와 항공·위성 영상 분석하는 인공 신경망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4.04
"
세포
내 다른 소기관 간의 소통 탐구에도 적용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시했다"며 "복잡한
세포
소기관 상호작용을 더욱 세밀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교원창업기업인 테디메디(TEDi MEDi)가 삼성전자 스타트업 육성 프로그램인 C랩 아웃사이드 광주에 ... ...
"국산 신품종 '대홍산사' 장질환 개선 효과 20% 높아"
동아사이언스
l
2024.04.04
항산화 효능을 가진 에피카테킨 성분을 일반산사 대비 약 8배 높게 함유했다. 대장 상피
세포
사멸을 유발하는 체내 신호를 조절해 장을 보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염증성 장질환 동물모델에서 유익균의 증식을 도와주고 유해균 생성을 억제했다. 이를 통해 장내 마이크로바이옴(체내미생물) ... ...
바이러스 진단용 항체, 식물 이용해 생산…민감도 100배
동아사이언스
l
2024.04.04
만들었다. 이를 바탕으로 제작한 구제역 바이러스 진단 항체는 기존 동물
세포
기반 진단 항체보다 100배 높은 민감도를 보였다. 경제성 있는 진단 항체 단백질 생산기술로서의 활용 가능성이 열린 것이다. 연구팀은 “기존 항체와 과산화효소를 화학적으로 결합하는 방법보다 경제성이 ... ...
'호암상' 공학상 첫 여성…AI 전문가 이수인 워싱턴대 교수 수상
동아사이언스
l
2024.04.04
지난 1월 세상을 떠났다. 의학상을 받은 박 교수는 차세대 유전정보 분석법으로 암
세포
를 해석한 세계적 권위자이고 예술상을 수상한 한강 소설가는 한국 현대사의 고통과 인간 실존에 대한 고민을 미적 승화 수준까지 이끌어낸 한국 대표 소설가다. 사회봉사상 수상자인 라이언 수녀는 국경과 ... ...
미국서 장기 이식 건수 드라마틱하게 늘어난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4.04.04
산소가 함유된 액체를 튜브를 통해 기증된 장기의 혈관으로 흘려보낸다. 관류된 기관의
세포
는 계속 기능하기 때문에 의사는 해당 기관이 수혜자의 신체에서 유지될지 여부를 더 잘 평가할 수 있다. 관류술 확산이 불러온 가장 큰 변화는 기증용 장기의 확보가 이전보다 원활해졌다는 것이다 ... ...
염색체 말단 '텔로미어' 메커니즘 규명…"항암 치료 전략에 도움"
동아사이언스
l
2024.04.03
밀집된 네트워크로 이루어져 하나의 요소라도 없으면 상분리가 해체되고 나아가 암
세포
의 사멸로 이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BRCA2 돌연변이를 가진 유방암 환자 조직샘플에서도 텔로미어 상분리를 확인할 수 있었다. 빈도는 약 50%로 분석됐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는 텔로미어 구조적 손상이 ... ...
이전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