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낭세포
배낭
베낭
세포단체
단체
원형질체 단위
cell
뉴스
"
세포
"(으)로 총 7,338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식물 생존기능 '질소고정', 해양 조류에서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4.04.14
세균이 진핵
세포
에 통합되는 진화가 일어났다고 추정했다. 연구팀은 연구팀은 "진핵
세포
로 구성된 생물체인 진핵생물이 질소고정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을 처음으로 확인했다"며 "이번 연구는 생태계가 마치 진화가 일어나는 극장과 같다는 것을 보여주는 하나의 사례"라고 말했다 ... ...
아직 젊은 당신이 혈당을 관리해야 하는 이유
과학동아
l
2024.04.13
식습관을 즐기고 약과나 탕후루 같은 달달한 디저트를 자주 먹는 20~30대 청년들의 베타
세포
도 혹사당하고 있다. 젊은 시절 당뇨가 발병하면 남은 생애 동안 끊임없이 혈당을 관리해야 하고 끊임없이 합병증의 위험을 조심해야 한다. '적당한 시기의 바느질 한 번이 나중에 아홉 번 바느질 할 일을 ... ...
뇌 없이 운동 학습하고 기억하는 메커니즘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4.12
학습한 운동 내용을 기억하지 못하는 행동을 보였다. 반대로 En1 유전자를 발현하는 신경
세포
를 활성화하면 학습한 내용을 기억하는 속도가 향상됐다. 연구팀은 “운동 학습과 기억은 뇌 회로에 국한돼 일어나는 게 아니다”며 “척수 손상을 입은 환자의 운동 능력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찾는 데 ... ...
쓴맛 느끼는 원리 찾았다…약물 부작용 줄일까
동아사이언스
l
2024.04.11
일순간에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TAS2R14의 또다른 특징도 발견했다.
세포
막에 존재하는 지방인 콜레스테롤이 TAS2R14 활성화 과정에 도움을 준다는 것이다. 김 연구원은 "분자 역학 시뮬레이션을 통해 확인한 결과 콜레스테롤은 미각 수용체를 반활성 상태로 만들어 쓴맛이 유입될 때 ... ...
젊어진 ‘미세아교
세포
’로 치매 치료 가능성 제시
동아사이언스
l
2024.04.11
가능성을 제시했다”고 설명했다. 연구를 이끈 김동운 교수는 “뇌 내 미세아교
세포
로 약물 또는 유전체 전달 조절 기술의 가능성을 제시했다는데 의의가 있다”며 “앞으로 이를 확장해 혈관뇌장벽 통과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초음파활용 약물전달기술, 또는 나노입자 특성을 개선할 필요가 ... ...
난청 치료 길 열어…베일 싸인 '귓속 단백질' 구조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4.04.11
활성을 유지한다는 사실도 확인됐다. 기존에 알려진 수용체 단백질들과 달리 GPR156은
세포
막을 통과하는 7번째 힐릭스 말단 부분의 구조를 유연하게 바꾸며 G단백질과의 결합을 유도했다. 이를 통해 신호를 활성화함으로써 소리를 감지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조 교수는 “선천적으로 난청과 ... ...
식물
세포
활동에 필요한 통기조직 발달 메커니즘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4.08
연구 결과는 식물의 지상부 통기 조직을 관찰한 것을 넘어 최초로 식물 호르몬에 의한
세포
분열 및 사멸의 메커니즘을 통해 통기 조직의 발달을 조절함을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높은 단백질 함량으로 최근 주목받는 개구리밥의 생활사에 중요한 부양 조절 메커니즘을 확인해 효율적으로 ... ...
암
세포
만 골라 '유전자 가위'로 교정 치료하는 항암신약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4.08
고 설명했다. 정 교수는 "최초로 크리스퍼 단백질과 항체를 결합해 효과적으로 암
세포
에 특이적으로 치료제를 전달하고 항암 효능을 보였다는 것이 의의"라며 "생체 내 유전자 교정 치료 및 다양한 암종에 적용할 수 있는 플랫폼 기술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 ...
막스플랑크연구회-IBS, 국제협력 강화 위한 포럼 개최·MOU 체결
동아사이언스
l
2024.04.08
하이델베르크에 위치한 MPI 의학연구소는 4개 연구단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스파츠 단장은
세포
생물물리 연구단을 이끌고 있다. 연구소는 생물학, 생리학, 물리학, 화학을 아우르는 융합연구가 특징이며 노벨과학상 수상자 5명을 배출했다. 노도영 IBS 원장은 “양국 기초과학을 대표하는 IBS와 ... ...
갈색 판다 탄생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24.04.06
동물의 털색은 피부와 눈에 들어 있는 색소인 멜라닌의 비율과 멜라닌을 합성하는
세포
의 소기관인 멜라노솜에 따라 결정됩니다. 연구팀의 조사 결과 갈색 판다는 검은색 판다보다 멜라노솜 개수가 적고 크기도 더 작았습니다. 또 연구팀은 갈색 털이 있는 자이언트 판다 2마리와 검은색 털 판다 2 ... ...
이전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