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본보기
model
모범
모형
견본
귀감
전형
뉴스
"
모델
"(으)로 총 5,566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퇴적물 흐름, 입자 형태에 달렸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1.14
퇴적물 흐름에 미치는 영향을 입증했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이전의 퇴적물 흐름 분석
모델
들이 입자의 크기에 집중했다면 이번 연구는 형태에 집중했다. 연구팀은 입자 모양이 항력과 마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이론을 개발했다. 실험실에서 이론 검증도 마쳤다. 연구팀은 이론을 기반으로 ... ...
"지구온난화에 석유는 잘못 없다" 엑손모빌의 거짓말 40년 만에 드러나
동아사이언스
l
2023.01.13
엑손모빌이 화석연료가 지구온난화에 미치는 영향을 1970~1980년 당시 학계와 국가의 기후
모델
수준으로 정확히 예측하고 있었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화석연료가 기후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면서도 자사의 이익을 위해 숨기고 온 모순이 드러난 셈이다. 미국 하버드대와 독일 포츠담대 등 ... ...
일본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대비 모니터링에 2027년까지 100억 지원
동아사이언스
l
2023.01.13
마련하기 위해 경북 울진 한울부지에 있는 원전에 대한 확률론적 안전성 평가(PSA)
모델
을 개발하고 부지 위험성을 정량화할 수 있는 기술 확보를 추진한다. 한울부지에는 한울 1~6호기와 신한울 1호기 등 총 7기의 원전이 상업운전 중이다. 원안위 위원들은 이 계획에 포함된 '다수기 확률론적 ... ...
유전자 교정 mRNA 넣어 망막 질환 치료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1.12
세포까지 도달할 수 있다는 사실을 생쥐와 영장류 실험을 통해 입증했다. 현재 동물 망막
모델
에서 얼마나 많은 나노입자가 광수용체에 도달하는지를 정량화하는 후속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라이얼스 교수는 "아데노연관바이러스를 이용하는 치료법보다 개선된 전달 시스템을 개발하는데 ... ...
25만년 동안 첫 아이 출산 남녀 평균 연령은 '26.9세'
동아사이언스
l
2023.01.09
분류하고 돌연변이가 개인에게서 발생한 시점을 예측하는
모델
을 개발했다. 예측
모델
개발에는 드 노보 2530만개의 분포가 사용됐다. 유전체 전체 계보와 드 노보의 분포를 조합하면 각 시대에 살던 남녀가 어떤 시기에 아이를 가졌는지 개별적으로 특정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분석결과 지난 2 ... ...
과학자가 분석한 중국 상황..."중국 백신 효능 떨어져 사망 속출"
동아사이언스
l
2023.01.09
중국 정부는 아예 확진자 통계 발표 자체를 중단했다. 확진자수를 예측하는 수리
모델
전문가들은 중국 정부의 통계를 신뢰할 수 없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크리스토퍼 머레이 미국 워싱턴대 건강측정 및 평가 연구소 소장은 "(중국 정부는) 몇달 동안 데이터 공개를 안하는 것은 물론 ... ...
의약품·화장품 있게 한 '토끼'...대체 '오가노이드' 연구 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1.06
등의 독성이나 안전성 실험에 사용된다. 림프구성 백혈병, 악성 섬유종 등 암 실험
모델
로도 사용되며 심혈관 질환이나 당뇨병, 비타민 과다증, 메틸수은 중독 등의 질환 연구에도 쓰인다. 헤르페스 뇌염이나 안검염 등 감염병 연구에도 다수 쓰였다. 인도 마니팔대 의대 연구팀은 지난 2012년 ... ...
종양을 유전자 교정해 암 사멸 유도...새로운 항암 가능성 제시
동아사이언스
l
2023.01.05
정도로 예후가 불량해 최악의 뇌암으로 꼽힌다. 연구팀은 악성 뇌암 교모세포종 쥐
모델
에서 살아있는 종양세포를 활용했다. 살아있는 종양세포가 동료 종양세포가 있는 곳으로 돌아가려는 특성에 주목했다. 살아있는 종양세포를 대상으로 크리스퍼 유전자가위 기술을 활용해 ... ...
원자력연 "올해 소형원전 스마트·i-SMR 등 선진 원자로 집중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1.02
소듐냉각고속로(SFR)는 기존에 확보된 기술을 기반으로 해외시장 진출을 위한 민간사업
모델
개발을 추진한다. 용융염원자로(MSR) 개발에도 박차를 가한다. 원자력연은 원자력 발전이 안정적으로 이뤄질 수 있도록 전주기 기술 개발에도 힘쓸 계획이다. 안정적인 에너지 공급을 위해 가동원전의 ... ...
[일상 속 뇌과학] 운동이 어떻게 뇌기능을 좋게 할까
2022.12.30
근무 중이며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뇌인지과학전공 겸임교수다. 현재 생쥐
모델
을 활용해 학습과 기억을 조절하는 세포간 상호작용의 분자 기전을 연구하고 있으며, 뇌 속 기억 형성 및 변화에 대한 흥미로운 연구결과를 일반인들에게 소개하는 저술 작업도 같이하고 있다 ... ...
이전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