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프로젝트"(으)로 총 2,673건 검색되었습니다.
- ‘진짜’ 별에서 온 그대, 태양계 밖 먼지 확인!과학동아 l2014년 09호
- 성분, 결정 구조, 크기 등을 상세히 분석했다. 약 3만 명의 네티즌이 참여한 집단지성 프로젝트 ‘스타더스트앳홈’ 역시 입자 하나하나를 확대해 분석하는 데 큰 도움을 줬다.그 결과 태양계 바깥 성간공간에서 온 우주먼지 7개를 처음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또 그 중 세 가지는 기존의 우주먼지 ... ...
- 미래 세상의 공통어, 코드수학동아 l2014년 09호
- 반대하던 그는 1984년 개발자들끼리 소스 코드를 서로 공유하며 함께 성장하는 취지의 프로젝트를 추진하게 된다. 다시 말해 인터넷을 이용하는 많은 사람들이 코드를 함께 공유하면서 오류도 찾아내고, 더 나은 단계로 성장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려는 취지로 오픈소스 운동을 시작한 것이다. 이 ... ...
- PART1 - 영화 속 거미군단이 온다과학동아 l2014년 08호
- 군집로봇을 개발하고 있다.2006~2010년 유럽 과학자들이 공동참여한 ‘스워마노 이드’ 프로젝트가 대표적이다. 스웜과 휴머노이드의 결 합을 뜻하는 스워마노이드는 지상로봇들의 위치를 파 악하는 아이(eye)봇, 땅에서 물건을 나르는 풋(foot) 봇, 벽을 타고 오르거나 사물을 집는 핸드(hand)봇 등 ... ...
- 이제는 이소연을 보내줄 때과학동아 l2014년 08호
- 준비했다. 한 번 다녀온 뒤 다시 우주에 간다는 보장이 없는 시대였다. 아폴로 프로젝트에 참여했던 28명 중 15명에게 아폴로 계획은 처음이자 마지막 비행이었다. 우주에 머문 시간도 상당히 짧았다. 당시에는 국제우주정거장이 없었기 때문이다. 아폴로 시대의 비행사는 냉전이라는 극심한 ... ...
- 동토의 제국이 숨 쉬기 시작했다과학동아 l2014년 08호
- 연구원도 “동토에서 온실가스를 만드는 미생물을 연구할 것”이라고 말했다.알래스카 프로젝트는 미래창조과학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지원하는 ‘극지기초원천기술개발사업’의 일환이다. 현재 극지연은 알래스카를 포함해 그린란드, 스발바르, 캐나다 캠브리지베이 등 네 곳에 연구 거점을 ... ...
- [시사] MARVEL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수학동아 l2014년 08호
- 우리은하의 모습을 한눈에 상세하게 들여다보기 위해 마련한 ‘글림프스360(Glimpse360)’ 프로젝트는 앞으로도 계속 진행될 예정이다. 조만간 우리은하 별의 대부분을 담은 거대한 사진을 볼 수 있을 날을 기대해 보자. 주목하라!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영화에 등장하는 다섯 영웅은 광대한 우리은하를 ... ...
- [생활] Google 검색의 비밀은?수학동아 l2014년 08호
- 그것을 누구나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이를 실현하기 위해 현재 구글 도서관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즉 모든 도서를 디지털로 만들어 반영구적으로 보관하고, 전세계 사람들이 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실제로 19세기 이전에 발간된 책의 저작권은 대부분 이미 소멸되어 디지털로 구축해 ... ...
- [체험] 손끝으로 만나는 수학세상 국가수리과학연구소 이매지너리수학동아 l2014년 08호
- 위해 수학자들의 연구를 적극 활용했다. 특히 지난해 열린 ‘2013 지구를 위한 수학’ 프로젝트를 통해 세계 각국 수학자들의 참여를 이끌어 냈다. 위기에 처한 지구를 돕는 목적으로 도움이 될 만한 아이디어를 공모한 것이다. 공모 결과 기후변화와 에너지 고갈, 신종 인플루엔자와 같은 전염병 ... ...
- 뜨는 직업을 원한다면? 지금은 수학시대!수학동아 l2014년 08호
- 한다. 실제로 서울시 ‘심야버스’ 프로젝트를 진행했던 KT 미래사업개발그룹 빅데이터 프로젝트담당 김이식 상무는 서울대 수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대수적 위상수학으로 석사학위를 받은 수학과 출신 인재다.“빅테이터 분석은 논리적 사고가 바탕이 되어야만 합니다. 우리나라 ... ...
- [과학뉴스] 화성 탐사에는 비행접시가 딱?과학동아 l2014년 07호
- 오른다.방열판 풍선은 우주개발 초창기부터 나왔던 아이디어다. NASA는 과거 바이킹 프로젝트 등에 사용하려고 했지만 당시 기술로는 도저히 열과 마찰을 견딜 수 있는 풍선을 만들 수 없었다. 세월이 흘러 소재기술이 발달한 덕분에 다시 시도할 수 있게 됐다. 그 동안 화성탐사선은 대기권 진입 시 ... ...
이전1161171181191201211221231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