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프로젝트"(으)로 총 2,673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핵쓰레기 묻을까? 태울까?과학동아 l2014년 11호
- 명 참여하고 있지만, 정부 차원의 국제공조는 전무하다. 학계에서는 황일순 교수가 미라 프로젝트와 비슷한 방식의 차세대원전(납냉각고속로)과 핵변환 기istockphoto술(파이로그린)을 연구하고 있는 게거의 전부다. 성균관대의 홍승우, 채종서 교수 등은 원료로 우라늄이 아닌 토륨을 이용하는 새로운 ... ...
- 내 몸은 탈수 중 물 마시기 프로젝트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1호
- 교문중학교 차희진 양단, 6개월의 변화“허리둘레는 줄고 성적은 올랐어요”‘물 마시기 프로젝트’를 시작하면서 하루에 물을 8잔씩 마셨어요. 그렇다고 음료수를 아예 안 먹은 건 아니기 때문에 예전보다 물을 마시는 양을 늘린 거죠. 물을 마시고 6개월 만에 몸무게가 1~2㎏이 줄었고 내장지방과 ... ...
- [재미] 경험을 공유하는 축제의 장 2014 청심ACG대회 시상제수학동아 l2014년 11호
- 다양한 학년의 팀원들과 함께 문제를 풀고, 그 내용을 동영상으로 만드는 ‘학년 통합 팀 프로젝트’를 수행한다. 이번 대회 본선은 지난 8월 31일 청심국제중고등학교에서 진행됐다.올해 청심ACG대회 시상제에서는 작년과 달리 개개인에게 상을 주는 절차를 없앴다. 그 대신 대회 때 찍어 두었던 ... ...
- [교과연계수업] 내 몸이 탈수 상태라고? 물 마시기 프로젝트!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1호
- 것의 중요성을 알고 싶은 학생이라면 누구나. 2. 제목 : 내 몸이 탈수 상태라고? 물 마시기 프로젝트! *준비물 : 내가 가장 좋아하는 음료수 제품 하나. 3. 수업 목표 ① 하루에 보통 얼마나 물을 마시고 있는지 점검해 본다. ② 물을 적게 먹었을 때 우리 몸에서 어떤 질병이 생기는지 알 수 있다. ③ ... ...
- [시사] 반 고흐 위대한 유산의 비밀수학동아 l2014년 11호
- 작품을 복원하고, 모사품을 구별하는 를 시작했다. 그리고 2011년 이 프로젝트에 한 수학자가 합류했다. 국제수학연맹의 첫 여성 회장이자 듀크대 수학과 석좌교수인 잉그리드 도브시다.융합연구의 대가로 유명한 도브시 교수는 응용수학의 한 분야인 웨이블릿(wavelet) 분야의 ... ...
- [과학뉴스] ‘무서운 손’ 공룡, 50년 만에 정체 밝혀져과학동아 l2014년 11호
- 몸 구조와 생태가 수수께끼에 싸여 있었다.이 관장이 이끄는 한국-몽골 국제공룡탐사프로젝트는 2006년과 2009년, 알탄 울과 부긴자프에서 데이노케이루스 두 개체의 화석을 찾았다. 하나는 성체였고, 다른 하나는 몸 크기가 성체의 74%인 어린 개체였다. 이후 연구팀은 완벽한 골격을 복원하고 생태를 ... ...
- [과학뉴스] 다이아로 반지? 이젠 뇌에 꽂아야지!과학동아 l2014년 11호
- 들어갔다. 미국 국립보건원(NIH)은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주도하는 초대형 뇌 연구 프로젝트인 ‘브레인 계획(BRAIN Initiative)’의 6대 최우선 연구 과제 중 하나로 다이아몬드를 이용하는 새로운 뇌심부자극술(DBS)을 선정하고, 3년간 약 27억 원의 연구비를 지원하기로 결정했다.뇌심부자극술은 뇌에 ... ...
- [hot science] 카톡 정말 믿어도 될까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수 있다.이것까지 막을 수 없을까. 핵심은 서버다. 카카오톡이 대책으로 내놓은 외양간 프로젝트를 대충 훑어봐도 서버라는 글자가 가장 많이 나온다. 지난해 미국에서 문제가 된 국가안보국(NSA)의 프리즘(PRISM) 프로그램도 서버를 직접 감시했다. 이번 사태 전에 카카오톡은 메시지를 일주일 간 ... ...
- [과학뉴스] ‘다단계 점프’로 화성에 간 인도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사용하면서 고도를 맞추고 마지막 발사로 지구 중력을 벗어나 화성으로 향했다. 메이븐 프로젝트의 총책임을 맡은 미국 콜로라도대 브루스 자코스키 교수는 이점을 “매우 영리한 방법이었다”고 평가했다. 부족한 추진력을 인정하고 메이븐보다 많은 로켓을 나눠 쏘면서 지구를 벗어난 방법을 ... ...
- [life & tech] “2022년, 인간 단백질 지도 완성한다”과학동아 l2014년 11호
- 기준으로 삼은 ‘염색체 기반 인간프로테옴프로젝트(C-HPP)’가 공식 출범했다. 이 프로젝트는 10년 뒤인 2022년 9월 9일에 종료될 예정이다. 현재 상염색체 22개와 성염색체인 X, Y 그리고 미토콘드리아를 분석하는 그룹까지 총 22개국 25개 그룹이 참여하고 있다.문제는 단백질을 만드는 인간 유전자는 ... ...
이전1131141151161171181191201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