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패스
합격
허가
투과
가결
통행
성취
d라이브러리
"
통과
"(으)로 총 2,930건 검색되었습니다.
LED공학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뜨겁게 달궈진 물체가 빛을 내는 성질을 이용한 것이다. 형광등은 자외선이 형광 물질을
통과
하며 가시광선으로 바뀌는 현상을 이용한 것이다. 이에 반해 LED는 반도체 재료에 전기 에너지를 가했을 때 생성되는 전자-정공 쌍이 소멸하면서 원래의 전기에너지 대신 빛에너지를 방출하는 성질을 ... ...
우주여행, 상상에서 현실로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상쇄간섭 또는 보강간섭의 증거를 남길 것이다. 만일 빛이 입자라면 하나의 슬릿을
통과
한 입자가 일정영역에 흩뿌려질 것이고 두 개의 슬릿은 가까이 붙어 있어 흩뿌려진 영역이 겹쳐지는 부분에서 빛의 특성이 강하게 나타날 것이다. 실험 결과 스크린에는 어둡고 밝은 부분이 반복돼 나타났다. ... ...
분산에 의한 빛의 마술 속으로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막 속으로 들어간 빛은 다시 아래쪽의 [기름 막-물]의 경계에서 반사해 기름 막을 되돌아
통과
한 뒤 다시 공기 중으로 굴절해나간다. 이때 [공기-기름 막]의 표면에서 반사된 또 다른 빛과 만나 겹쳐서 간섭을 일으킨다. 그런데 빛의 파장에 따라 겹쳐서 밝아지는 위치가 다르므로 간섭무늬가 다르게 ... ...
디지털 자물쇠
수학동아
l
2010년 09호
자주 등장한다. 주인공 톰 크루즈가 다른 사람의 눈을 이식해 보안망을
통과
한다. 그런데 사실 홍채인식기는 살아 있는 사람의 눈이라야 효과가 있다.빛의 양에 따라 동공 크기가 변해야 홍채인식기가 작동하기 때문이다. 사실은 톰 크루즈가 영화에서 했던 것처럼 얼굴에서 빼낸 눈을 카메라에 ... ...
빅뱅의 비밀
수학동아
l
2010년 09호
안 되죠. 한 명이라도 맞히면 돼요. 하지만 아무도 알아맞히지 못하면 두 번째 관문을
통과
할 수 없어요. 자! 그럼 시작합니다.”세 명이 원을 그리며 마주 보고 있습니다. 각자 머리 위에 불이 하나씩 있는데 색이 다릅니다. 다른 사람 머리의 불 색깔은 보면 알 수 있지만, 자기 머리 위의 불 색깔은 ... ...
빛이 갇힌 세계에서 만든 나노광학현미경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넘어가듯’ 각종 장애물을 척척
통과
하던 빛도 파장의 절반에 해당하는 구멍을 만나면
통과
하지 못하고 구멍 끝에 머무르는 현상이 나타난다. 바로 회절한계 때문이다. 이때의 빛은 마치 물방울이 스포이트 끝에서 나오지 못하는 것처럼 구멍의 표면에 머무른다. 이런 빛을 소멸파(evanecscent wave)라고 ... ...
나만의 공부법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단, 수시 전형에서는 논술이나 면접의 관문을 거쳐야 한다. 이 전형은 단기간의 준비로
통과
할 수 있는게 아니므로 평소에 꾸준히 노력한다. 수시의 기회를 잡으려면 오늘부터라도 논술 준비를 시작하자. 상담 선생님의 조언 1. 수시모집 정보를 모은다. 어떤 대학 어떤 학과에 지원할지 탐색한다. 2. ... ...
세계 무대 누비는 KAIST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100% 뽑는다 서울에서 경부고속도로를 타고 회덕인터체인지를
통과
해 동쪽으로 달리자 대전시에 위치한 한국과학기술원(KAIST, 총장 서남표) 캠퍼스가 나온다. 탁 트인 캠퍼스와 잔디밭, 단정한 건물. 과학을 좋아하는 이라면 누구나 한번쯤 다녀보고 싶은 학교다. KAIST 진학을꿈꾸는 수험생을 위해 ... ...
세포 호흡과 ATP 합성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내에서 일어난다. 세포질로 들어온 포도당은 분자 크기가 커서 미토콘드리아의 막을
통과
할 수가 없다. 따라서 세포질에서 일단 포도당을 2분자의 피루브산으로 분해한다. 이를 당이 분해된다는 의미에서 해당과정이라고 한다. 이 과정은 O2의 유무와 관계없이, 대부분의 생물에서 공통적으로 ... ...
인간 심판이 사라진다?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0m안에서 공의 궤적을 추적할 수 있으며 90m당 최대 30cm의 오차가 생긴다. 축구에서 골라인
통과
여부를 확실히 알기 위해서는 오차가 이보다 훨씬 작아야 한다. 정밀한 레이더의 경우 수 cm 단위의 오차로 물체의 위치를 알 수 있다.그러나 레이더의 오차를 줄이려면 레이더가 쏘는 전파의 파장이 ... ...
이전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