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에네르기
힘
활력
원기
기력
파워
energy
d라이브러리
"
에너지
"(으)로 총 5,920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스펀지가 물 빨아들이는 원리 찾았다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기존 이론으로는 설명하기가 어려웠다. 김 교수는 “전기 대신 주변 환경이 갖고 있는
에너지
를 이용하는 소프트로봇 분야에 접목할 수 있을 것”이라며 “친환경 소재를 이용한 소프트로봇 제작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doi:10.1126/sciadv.aao705 ... ...
Part 2. 자율주행자동차 안전 기술 어디까지 왔나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코팅된 물질에 따라 반사되는 정도가 다르다”며 “어떤 상황에서도 10μW 이상의
에너지
를 유지하도록 테스트를 거듭하고 있다”고 말했다. [CASE 2] 사고 다발 지역_ 교차로와 비보호 차선 변경 운전을 처음 시작했던 당시를 떠올려보자. 가장 진땀 나는 상황은 교차로에서 신호도 없이 ... ...
[Tech] 요즘 뜨는 나노 기술 3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경우 대개 황화납(PbS) 양자점으로 만든다”며 “황화카드뮴 등 다른 재료에 비해
에너지
밴드갭이 햇빛을 흡수하는 데 가장 적합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양자점 태양전지는 아직 연구 초기단계이지만 학계에서는 몇 년 안에 기존 실리콘 태양전지를 뛰어넘을 것으로 전망 한다. 김 ... ...
치킨은 피보나치 수열로 시키세요!
수학동아
l
2018년 05호
신나게 놀며 시험에서 받았던 스트레스를 날려버리기로 했어요. 시험으로 잠시 막아놨던
에너지
를 한창 분출하다 보니 배가 출출해졌습니다. 우리는 언제나 옳은 치킨을 시키기로 했습니다. 그런데… 문제가 생겼어요! 우리는 심각한 고민에 빠졌습니다. 5명일 때 치킨을 몇 마리 시켜야 할까요? ... ...
[과학뉴스] 우리 은하 중심부에 블랙홀 1만 개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존재할까. 지금까지 학계에서는 우리 은하 중심부에 거대 블랙홀과 그 주변에서 서로
에너지
를 주고받는 작은 블랙홀이 최소 수천 개 이상 존재할 것으로 예상해왔다. 최근 찰스 헤일리 미국 컬럼비아대 천문학실험실 교수팀이 이 가설을 입증하는 새로운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네이처’ 4월 ... ...
[과학동아 X KRISS] 130년 만에 플랑크 상수로 다시 태어나는 킬로그램(kg)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오차가 생겼다. 과학자들은 이를 결코 변하지 않는 상수로 극복하고자 한다. 광자의
에너지
를 광자의 주파수로 나눈 ‘플랑크 상수’ 로 kg을 재정의하는 것이다. 큰 이변이 없다면 올해 11월 kg 원기는 130년간 차지했던 왕좌를 플랑크 상수에게 물려주게 된다. 쌀, 보리 등 곡물을 저울에 ... ...
[Culture] 그 많은 감귤 패밀리는 어디서 왔을까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학술지 ‘네이처 바이오테크놀로지’ 6월호에 발표됐다.doi:10.1038/nbt.2906 알버트 우 미국
에너지
부 조인트게놈연구소 박사팀을 비롯한 다국적 공동연구팀은 만다린 네 종류와 포멜로 두 종류, 오렌지 두 종류의 게놈을 해독해 비교분석했다. 오렌지가 만다린과 포멜로의 교잡종인 것은 확실하므로, 그 ... ...
[Issue] 중국이 옮길 혁신이라는 산(山)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기술을 통해 육체 노동에서 해방되며, 심(深)우주와 심해저로 확대된 삶의 영역에서 청정
에너지
원으로 청결한 환경에서 살아가는 것이 ‘과기혁신 2030’이라는 창을 통해 예측할 수 있는 중국의 미래다. 정홍식_hongsikjeong@tsinghua.edu.cn연세대 물리학과 박사학위를 받고, 삼성전자에서 21년간 ... ...
Part 1. 호킹의 말로 되돌아 본 그의 삶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오늘날 ‘호킹 복사(Hawking radiation)’라고 불리는 이 이론을 통해 호킹은 블랙홀에서
에너지
가 방출되며, 끝내는 증발해 사라질 수도 있다고 주장했다. 호킹은 이런 이론을 2004년과 2014년 두 번이나 수정했다. 앞서 블랙홀 이론에서 정보(입자 등)가 블랙홀 속 특이점으로 빨려 들어가 그 속에서 ... ...
[인터뷰] DGIST 총장장학생 진종민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끝까지 해낼 수 있었습니다.” 자소서는 대회와 소논문만 기술 진 씨의 장래희망은
에너지
공학 연구자다. 자신의 꿈과 밀접하게 연관된 대회에 참여했던 경험은 그대로 자기소개서의 주제가 됐다. “DGIST의 자기소개서는 특별한 형식 없이 3000자 이내로 자유롭게 쓰게 돼 있어요. 처음에 ... ...
이전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