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밑바탕
밑동
내부
근본
바닥
저변
아래쪽
d라이브러리
"
밑
"(으)로 총 1,885건 검색되었습니다.
야심찬 화성 식민지화 프로젝트 - 레드 플래닛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화성 생물체가 먼저 존재하다가 멸종했을 것이라고 말하기도 합니다. 문화유적이 사막
밑
에 깔려 있을 것이라고 주장하는 사람도 있어요.성래_ 예전에 일본 NHK에서 제작한 다큐멘터리를 본 기억이 납니다. 핵반응 실험을 해서 극관을 녹여 대기를 만들었다는 내용이었죠. 또 화성에 거울 모양의 ... ...
③ 망망한 우주에서 또다른 지구 찾기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식의 답은 알 수 없지만 드레이크 방정식은 전파를 통해 외계문명체를 찾으려는 노력의
밑
바탕이 되고 있다.1974년에는 지구문명의 신호를 외계로 송출하기도 했다. 드레이크 박사가 푸에리토리코에 있는 구경 3백5m짜리 아레시보 전파망원경으로 헤르쿨레스자리 구상성단 M13을 향해 함축된 ... ...
내가 타본 일본의 하이브리드자동차, 프리우스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나타나면서 현재 하이브리드 시스템이 어떤 상태로 작동되는가를 보여준다.계기판 바로
밑
에 있는 와이드 스크린은 액정 디스플레이로 된 보이스 네비게이션 시스템이다. 그 다음 스티어링휠 왼쪽에 약간 어색하게 생긴 모습의 변속 레버를 위에서부터 아래로 잡아당긴다. 이것은 위로부터 P-R-N-D-B ... ...
동물도 생각할까!?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만든다. 혼두라스 흰 박쥐는 바나나 잎맥을 물어뜯어 잎들이 땅쪽으로 쳐지면 그
밑
에 자신만의 피신처를 만든다. 피터스 박쥐는 코코보라 잎을 이용해 기왓장을 포개 놓은 모양의 텐트를 만들고, 파머스 과일 박쥐는 고깔 모양의 안식처를 만든다.그런데 종마다 선택하는 나뭇잎이 다르고 텐트를 ... ...
수원화성(華城) - 2백년 역사의 성벽에 숨은 지혜3가지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형태 외에도 아치를 찾을 수 있는 곳이 있다. 화성성역의궤에서 성벽의 형태에 대해 “
밑
에서 중간부분까지 안으로 욱여 들여 그 모양이 마치 안으로 축소시킨 것처럼 쌓고 중간부분에서 위로는 밖으로 뻗은 것 같아서 위에서 보면 안으로 구부정한 듯하게 쌓았다. 이렇게 된 결과 성벽의 허리가 ... ...
달은 매일 어떻게 뜨고 지나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밤 8시에 지평선 위로 떠올랐다면 오늘 밤 8시에는 지평선 아래, 즉 더 동쪽으로 13°쯤
밑
에 있다. 이 달이 지평선 위로 떠오르려면 13°× 4분 = 52분을 더 기다려야 한다. 왜냐하면 하늘이 1시간에 15°를 회전하니까, 1°회전하려면 약 4분 걸리기 때문이다. 즉 달은 매일 평균 52분씩 더 늦게 뜨고 진다. ... ...
① 인간유전체기능 연구사업단장 유향숙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의문점을 풀 수 있는 도구가 됐던 것이다. 유단장은 피츠버그대의 테란스 쿠퍼 교수
밑
에서 효모 유전자의 구조와 기능을 연구해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유단장은 이때 이미 유전자 기능의 중요성을 깨닫고 있었다.미국에서 유학생활만 10년을 넘게 한 유단장에게는 슬플 때나 기쁠 때나 벗이 된 ... ...
별자리 찾기 도시하늘이 더 쉽다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떠오르는 별자리다. 큰곰을 잡으려는 사냥꾼에 비유되기도 한다. 아크투루스을 맨
밑
에 두고 방망이 모양으로 별을 이으면 목동자리가 완성된다. 방망이의 끝이 큰곰의 꼬리부분인 북두칠성이 있는 북쪽으로 뻗어있다는 걸 기억하면 찾기 쉽다.왕관자리봄하늘을 수놓는 가장 예쁜 별자리를 꼽으라면 ... ...
폭력과 자기파괴 일삼는 파월장병 하얀전쟁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후 갖가지 전쟁후 증후군에 시달린다. 그는 천둥 번개 소리만 들어도 몸을 웅크리고 침대
밑
으로 숨는다. 학생들의 시위장에서 들려오는 최루탄 소리에도 “(베트)콩이예요” 하면서 도로 한복판에 엎드린다. 심지어 교회 종소리마저 포탄소리로 착각한다. 이처럼 전쟁후 증후군 환자들은 전쟁을 ... ...
복제된 인간에 머리 옮겨 붙이기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봉합하는 기술을 고안했다. 그의 연구는 세월이 흐른 후 장기이식이 활성화되는데
밑
바탕이 됐다.장기이식 기술이 획기적으로 발전한 것은 면역학이 발전하면서부터다. 1923년 윌리엄슨은 장기를 이식할 때 거부반응이 있음을 알아냈다. 1950년대에 이식된 장기에 대한 항체가 형성돼 거부반응이 ... ...
이전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