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밑바탕
밑동
내부
근본
바닥
저변
아래쪽
d라이브러리
"
밑
"(으)로 총 1,885건 검색되었습니다.
날개 만든 천재 발명가 다이달로스 Ⅰ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겉모습을 흡족하게 여기자 다이달로스는 이 나무소의 뒤를 보여줬는데, 나무소 꼬리
밑
에는 장정의 주먹이 하나 드나들 만한 구멍이 있었지요. 다이달로스가 나무소를 왜 이렇게 만들었는가 하는 것은 독자의 상상에 맡기지요.황소와 사랑에 성공한 것까지는 좋았는데, 왕비 파시파에는 아홉달 뒤에 ... ...
뒤집어본 제주도 지질 상식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틈이 형성돼 있어 더욱 쉽게 물이 지하로 내려간다. 이렇게 절리를 따라 제주 땅
밑
으로 들어간 물은 어떻게 될까. 해수면과 비슷한 위치에 다다를 때까지 계속 수직으로 하강한다. 이때 물은 용암동굴을 지나가기도 한다. 그리고 응회암과 같은 퇴적층을 만나 잠시 머물기도 한다.그러다가 ... ...
3. 터치스크린과 에어백에 숨은 기술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적외선으로 인간 감지출입문에 다가가면 문이 저절로 열리고 손잡이없는 수도꼭지
밑
에 손을 대면 물이 나오는 모습을 요즘은 흔하게 볼 수 있다. 또한 첨단 전시장에는 전시물에 다가가면 자동으로 조명이 켜지고 전시물을 설명하는 음성안내가 나오기도 한다. 이 모두가 사람을 감지하는 ‘인간 ... ...
고등학생이 개발한 수화번역장갑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최고의 관심사를 받았던 라이안 패터슨으로, 그는 상금 3천5백달러와 유명기관의 과학자
밑
에서 연구하는 인턴십을 거머줬다.우리나라의 박영준군도 특별상 두개를 획득했다. 국제 전기전자공학(International Electric and Electronics Engineers)와미국인공지능협회(American Association for Artifi ...
대덕 바이오벤처 공동체의 촌장 인바이오넷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담은 검은 비닐주머니가 보물 1호가 된 것이다.이 비닐주머니가 언제까지 자동차 의자
밑
에 버려져 있을지는 아무도 장담할 수 없는 일이다. 인바이오넷의 끊임없는 도전이 그 운명을 결정하지 않을까.테크놀러지 퓨전 꿈꾼다 - 인바이오넷 구본탁 대표이사“시장자체 변화시키는 기업 될 ... ...
극지대 연구용 로봇 비행기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설계됐다는 것. 또 비행사가 탑승하지 않은 채로 극지방의 위험한 날씨 속에서 구름
밑
을 비행하며 탐사와 구조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본부에서 1명의 비행 기술자가 최대 3대의 로봇 비행기를 조종할 수 있으며, 위치 파악과 안전한 비행거리 조정을 위해 PC와 위성항법장치(GPS)이 동원된다. ... ...
재미 좇아 생명의 신비 밝히는 물리화학자 조민행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그러면서 학생들이 스스로 하고 싶은 그 무언가를 찾기 바랐다. 사실 이런 활동의
밑
바탕에는 의사소통을 중시하는 그의 철학이 깔려있다. “혼자서 생각을 정리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다른 사람과 토론하면서 아이디어가 떠오른다는 점도 중요해요. 지금은 예전과 달리 혼자 고립된 상황에서 큰 ... ...
① 극한의 생존자 미생물 수색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환경 적응력과 직결된다.그렇다면 화성의 땅
밑
이나 목성 위성 유로파의 얼음표면
밑
에서 미생물을 기대하는 일은 무리가아니다. 나아가 먼 외계에서도 적당한 조건만 주어지면 미생물은 존재할 것이다. 이런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지구의 극한 지역에서 미생물을 찾아 연구하는 일이 ... ...
수원화성(華城) - 2백년 역사의 성벽에 숨은 지혜3가지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형태 외에도 아치를 찾을 수 있는 곳이 있다. 화성성역의궤에서 성벽의 형태에 대해 “
밑
에서 중간부분까지 안으로 욱여 들여 그 모양이 마치 안으로 축소시킨 것처럼 쌓고 중간부분에서 위로는 밖으로 뻗은 것 같아서 위에서 보면 안으로 구부정한 듯하게 쌓았다. 이렇게 된 결과 성벽의 허리가 ... ...
경복궁(景福宮) - 근정전에서 소리가 잘 퍼지지 않는 이유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형태가 다른 건물과는 조금 다르다.
밑
으로 갈수록 기둥이 두꺼워진다. 왜일까. 압력은
밑
면적에 반비례한다. 따라서 아래로 기둥이 커지는 것이 더 안정한 구조다.경회루에서 오른쪽으로 이동하면 임금님이 사무를 보던 사정전, 천추전, 만추전 세개가 나란히 있다. 이들 중에는 겨울철이나 ... ...
이전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