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마리"(으)로 총 2,737건 검색되었습니다.
- 다산의 상징은 기린?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9호
- 이유였지요. 26년간 동거동락한 전문 사육사의 보살핌도 큰 도움이 됐다고 해요. 새끼 18마리를 모두 받은 김종갑 사육사는 “장순이처럼 건강한 기린을 만난 것은 큰 복이자 행운”이라고 밝혔답니다.장순이가 이번에 낳은 새끼 기린의 이름은 소셜네트워크서비스를 통해 공모할 예정이에요 ... ...
- 메뚜기 VS 여치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7호
- 메뚜기는 아시아와 아프리카 사막 지역에서 농업에 큰 해를 끼치는 해충이에요. 1000억 마리까지 무리를 짓기도 하는 사막메뚜기(사진)는 하루에 자기 몸무게의 2배나 되는 식물을 먹어치울 수 있을 정도랍니다. 우리나라도 신라와 조선 시대에 메뚜기 떼 습격을 받았다고 해요. 여치여치는 메뚜기와 ... ...
- 반대루 방송국의 MC ‘머이리 헷갈리나’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7호
- 서로 비벼서 소리를 내는 곤충은 무엇일까요?”첫 번째 문제부터 심상치 않았다. 세 마리 곤충이 등장했고, 실제로 곤충들이 이리저리 뛰어 다녔다. 곤충을 끔찍하게 무서워하는 썰렁홈즈가 문제를 잘 맞힐 수 있을까?미션2 일곱 색깔 무지개 순서는?“하하하하, 50명이 떨어졌군요. 그럼 두 번째 ... ...
- 빙하기 한반도는 너구리 천국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6호
- 빙하기 때 어떻게 이동했는지를 알아내기 위해 아시아 국가에서 모은 너구리 147마리의 유전자를 분석했지요. 그 결과 한국과 일본 너구리 사이의 유전적 차이는 2.4%로 매우 컸어요. 마찬가지로 러시아, 중국 너구리와 일본 너구리 사이의 유전적 차이도 2% 이상으로 큰 편이었지요. 반면 한국과 ... ...
- 삼팔이의 ‘가두리 탈출’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4호
- 제주도 가두리 시설에서 자연으로 돌아갈 날만 기다리던 남방큰돌고래 삼총사를 기억하나요? 그런데 이제 둘만 남게 됐어요. 셋 중 하나인 삼팔이(D-3 ... 제돌이는 원래 계획대로 모든 훈련을 마치고 7월 중 야생으로 돌아갈 거예요. 세 마리 모두 자유를 마음껏 누리면서 건강하면 좋겠네요 ... ...
- 꼭꼭 숨어라! 편광 조절 물고기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3호
- 잡을지 정말 기대돼요. 물고기? 오징어? 문어?그런데 이상하네요. 바닷속에 물고기가 한 마리도 보이지 않아요. 낚시꾼이 온다고 누가 미리 알려 줬나? 다들 어디로 도망친 걸까요?으악! 저건 뭐지? 분명히 물속에 아무것도 없었는데 갑자기 물고기가 스르륵 나타났어요. 엄청난 위장술을 가진 ... ...
- 위생해충에 대한 오해와 진실, 진드기는 억울해!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3호
- 집먼지진드기의 베개 무게의 10%가 배설물이 된다는 사실! 게다가 침대 위에 1~10만 마리의 집먼지진드기가 살고 있다니 갑자기 온몸이 간지럽지 않아? 카펫이 있는 집엔 없는 집에 비해 집먼지진드기가 30배까지 많이 산대. 카펫은 집먼지진드기가 가장 좋아하는 먹이인 각질이 붙어있기 좋거든. 그럼 ... ...
- 거북 VS 자라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2호
- !중국 음식점에 갔다가 그곳에서 키우는 거북 한 마리를 봤어요. 그런데 거북이 아니라 자라라고 하는 거예요! 자라와 거북, 뭐가 다른 거죠? 장혜리 (서울 압구정초 5)거북거북은 파충류 중에서 가장 오래 전부터 지구에서 살아온 동물로, 전 세계에서 300여 종이 살고 있어요. 거북의 몸은 타원형으로 ... ...
- 4년 만에 고향 찾은 남방큰돌고래 제돌이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2호
- 공연을 해야 해서 큰 스트레스를 받았답니다. 제돌이와 함께 잡힌 11마리 돌고래 중 벌써 6마리가 죽었어요.야생방류를 결정하다돌고래들이 불법으로 잡혀왔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자연으로 돌려보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졌어요. 작년 서울시에서는 우리나라 최초로 돌고래 자연 방류를 ... ...
- PART2 물 건너 온 한국 음식 김치과학동아 l2013년 12호
- 때가 바로 적숙기이며, 이 시기에 유산균 수도 가장 많다. 줄기와 같은 고형부분 1g에 1억 마리가 넘는 유산균이 있는데, 이 숫자는 고농축 요거트와 비슷하거나 더 많다.적숙기가 지나고 과숙기와 산폐기에 이르면 탄산까지 만드는 웨이셀라 균과 루코노스톡 균의 활동이 줄어들고, 젖산만 만드는 ... ...
이전1161171181191201211221231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