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마리오
네트
넷트
오네트
머릿수
수
mari
d라이브러리
"
마리
"(으)로 총 2,737건 검색되었습니다.
[Knowledge] 질병은 적인가 동지인가
과학동아
l
2014년 04호
microbiome)’이라 부른다)에 대한 관심이다.인간의 장내에 서식하는 수백만
마리
의 미생물체들의 적정한 균형 유지는 인간의 신체에서 나타날 수 있는 질병 발생을 막는 방법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즉 인간과 미생물(또는 병원체)과의 공존을 모색하는 이런 노력은 1958년 노벨 생리의학 수상자인 ... ...
하늘을 나는 새를 사냥하는 ‘호랑이물고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04호
중 제가 물 위를 낮게 나는 새를 사냥하는 모습을 목격했답니다. 저는 날마다 새를 스무
마리
정도 사냥해요. 뛰어난 사냥꾼이라 자신할 만하지요? 과학자들이 분석한 저의 사냥하는 방법은 두 가지예요. 하나는 물 속에서부터 수면까지 살살 헤엄치면서 새가 나는 모습을 지켜보다가 앞으로 날아갈 ... ...
수학교과서에 오류 있다?!
수학동아
l
2014년 03호
데카르트는 침대에 누워 있는 일이 잦았다. 그러던 중 어느 날 천장에 붙어 있는 파리 한
마리
를 보고 파리의 위치를 수학적으로 나타내기 위해 고민하다가 좌표라는 개념을 생각해 냈다.’이게 정말 사실일까? 이런 내용은 데카르트가 일기로 남기거나 최측근이 글로 남기지 않고서야 알 수가 없다. ... ...
인공위성이 바닷속 고래도 찾는다
과학동아
l
2014년 03호
‘월드뷰-2(WorldView-2)’로 아르헨티나 해안 113km2 지역에 서식하는 남방긴수염고래 91
마리
를 확인하는 데 성공했다. 프렛웰 박사는 “인공위성 촬영 방식은 90% 정확도를 갖는다”고 밝혔다.그는 과거에도 같은 방식으로 남극대륙을 촬영해 황제펭귄의 생태를 분석하기도 했다. 이 연구결과는 ... ...
밍크고래, 바다로 떠난 사연
과학동아
l
2014년 03호
몸에 있는 흰색 얼룩도 각자 약간씩 다르다. 바다에 사는 밍크고래의 총 개체수를 약 70만
마리
로 보는데, 이들의 다양성이 70억 명의 인간에 버금간다.실제로 개체의 다양성 지표인 핵산 다양성이 밍크고래는 0.00061로 나와 0.00069인 인간과 비슷했다. 포유류는 엄마로부터 1쌍, 아빠로부터 1쌍의 ... ...
철새 떼가 V자 그리며 날아가는 이유는?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03호
에너지를 줄이기 위해 V자 대형으로 난다는 증거를 찾아냈어요. 연구팀은 붉은볼따오기 14
마리
에 위성위치확인시스템(GPS)과 관성측정장비를 붙였어요. 그리고 날아가는 새떼를 소형비행기를 타고 따라가면서 새떼가 어느 정도의 속도로 어떤 대형을 이루는지, 날갯짓은 얼마나 하는지 등을 ... ...
PART2. 공룡이 멸종하지 않았다면?
과학동아
l
2014년 03호
있다. 땅 속으로 들어간 원인은 정확히 알 수 없지만 조반류인 드링커 성체와 새끼 2
마리
가 굴에서 같이 발견됐다.추운 날씨를 견디는 데 한몫한 깃털은 공룡의 외모를 가꾸는 데도 쓰였다. 깃털 치장의 대표주자는 쥐라기 후기의 수각류 안키오르니스였다. 날개와 다리의 검은색과 흰색 무늬가 ... ...
쓰나미 쓰레기섬, 미국 덮칠까?
과학동아
l
2014년 03호
경고했다. 유엔 환경계획(UNEP)에 따르면 매년 바닷새 100만
마리
와 해양포유류 10만
마리
가 플라스틱 폐기물을 삼키고 죽어가고 있다. 이미 1억t 가까운 쓰레기가 모여 있는 이곳에 ‘쓰나미 쓰레기’가 보태질 것이다 ... ...
흰개미 닮은 로봇들 ‘살아있네~’
과학동아
l
2014년 03호
수 있는 이유는 독특한 행동방식인 ‘스티그머지’ 때문이다. 스티그머지는 흰개미 한
마리
가 환경에 따라 각기 다른 행동을 취하지만 결과적으로는 흰개미 집단 전체의 목표를 달성케 하는 일련의 행동방식을 말한다. 예를 들어, 어떤 흰개미가 흙을 옮겨 놓으려고 하는 지점에 앞의 흰개미가 흙을 ... ...
후궁이 700명인데…, 사람이 ‘1부1처’라고?
과학동아
l
2014년 03호
커지는 쪽으로 진화한다.실제로 수컷끼리 ‘힘대결’을 펼쳐서 한
마리
의 수컷이 여러
마리
의 암컷을 독차지하는(1부다처) 고릴라나 오랑우탄은 정자 수 대결을 펼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고환의 크기가 작다. 반면 난교를 하는 침팬지는 고환의 크기가 무척 크다. 사람은 두 무리의 중간 정도다. 신체 ... ...
이전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