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학교
칼리지
전문대학
유니버시티
대
단과대학
연구소
d라이브러리
"
대학
"(으)로 총 10,409건 검색되었습니다.
[특집] 지구사랑탐사대 10주년 보고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3호
정말 뿌듯하고 놀라울 따름이에요. ●미니인터뷰나미라(이화여자
대학
교 자연
대학
에코크리에이티브협동과정 연구원) 저는 지금 지사탐이 대원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 있어요. 어떤 지식을 알고 있다고 해도 이를 실행하는 건 다른 의미예요. 예를 들어 플라스틱이 환경에 나쁘다는 ... ...
[통합과학 교과서] 시시포스의 마찰력 줄이기 대작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3호
넓히기 미끄러운 물체도 척척, 도마뱀 로봇손 등장!작년 12월, 미국 스탠포드
대학
교의 생체모방조작연구소가 도마뱀 발바닥을 모방한 로봇 손 ‘팜핸드’를 공개했습니다. 팜핸드는 영상에서 미끄러운 물체도 능숙하게 집고 옮기는 모습을 보여줍니다.지난 2006년, 연구팀은 도마뱀붙이(게코)의 ... ...
[그래프 뉴스] 전파력 강한 오미크론도 마스크 쓰면 감염 확률 ‘뚝’
수학동아
l
2022년 03호
25cm 거리에서는 최대 30%의 감염률을 보였습니다. 연구를 진행한 마코토 츠보쿠라 고베
대학
교 교수는 언론 인터뷰에서 “기본으로 돌아가 다른 사람과 되도록 거리를 두고, 일상에서 마스크를 꼭 써야 한다”고 강조했어요. 아쉽지만, 친구와 마음은 가까워도 거리는 멀리해야 하는 이유예요 ... ...
[특집] 와 함께 렛츠 수학 파티!
수학동아
l
2022년 03호
(29쪽 참고) [수학 x 게임] 수학자와 함께 엔드 시티로! (☞바로가기)3월 8일 최수영 아주
대학
교 수학과 교수님과 함께 힘을 모아 마인크래프트 속 엔드 시티를 찾아봅시다! (33쪽 참고 ... ...
[기획] 선거 7일 전, 전염병 모형으로 대선의 향방을 예측한다!
수학동아
l
2022년 03호
조금 더 정확하게 예측할 수는 없을까요? 2020년 미국 노스웨스턴
대학
교와 캘리포니아
대학
교 로스엔젤레스(UCLA) 등으로 이뤄진 공동 연구팀은 전염병의 전파를 예측하는 수학 모형을 이용한 새로운 선거 예측 모형을 만들었어요. 연구팀이 활용한 전염병 모형은 ‘SIS 모형’입니다. 이 모형에서 전체 ... ...
[ICM 초청 강연자를 만나다➋] “재미있는 수학자로 기억되고 싶어요”
수학동아
l
2022년 03호
1995 국제수학올림피아드(IMO)에서 만점을 받은 것으로 유명한 신석우 미국 캘리포니아
대학
교 버클리캠퍼스(UC 버클리) 수학과 교수입니다. 2022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 세계수학자대회(ICM)에 초청 강연자로 선정된 신 교수님을 1월 12일 서울 고등과학원에서 만났습니다. Q 교수님께서 본격적으로 ... ...
[나도 수학쌤 문장제문제] #3. 비율을 알면 방정식의 답이 보인다!
수학동아
l
2022년 03호
중학교 1학년 문자와 식 단원 ‘일차방정식의 활용’에서는 디오판토스의 묘비 속 문제처럼 전체에 대한 일부분의 정보를 가지고 전체를 구하는 문제가 등장해요. 이런 문제들은 전체를 모르고 부 분만 아는 상태에서 식을 세워야 해서 어렵게 느껴집니다. 하지만 수행평가로도 자주 등장하는 문 ... ...
[함께해요, 로블록스 코딩] 폴짝폴짝 점프맵 만들기 2. 투명 발판 나와라!
수학동아
l
2022년 03호
...
[과학동아가 만난 사람] 빛이 예술과 과학의 다리가 될 때
과학동아
l
2022년 03호
실험 물리를 해야겠다고 마음을 정했다”고 말했다. 미술의 재미도 잊지 않았다.
대학
원 재학 당시 실험 기술을 배우기 위해 네덜란드 델프트를 방문한 적이 있었다. 델프트는 ‘진주 귀고리를 한 소녀’로 유명한 요하네스 페르메이르가 평생 살았던 도시다. 이곳에서 짬이 날 때마다 미술관을 ... ...
응용│몸·마음 여는 1조 개의 열쇠
과학동아
l
2022년 03호
여기저기에 후각센서를 가지고 있다. 1991년 린다 벅 미국 컬럼비아대 의대 교수는 같은
대학
의 리처드 액설 교수와 함께 후각상피에 존재하며 냄새를 감지하는 단백질인 후각수용체를 처음으로 찾아낸 공로로 2004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했다. doi: 10.1016/0092-8674(91)90418-x 이후 우리 몸속 유전자의 ... ...
이전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