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학교
칼리지
전문대학
유니버시티
대
단과대학
연구소
d라이브러리
"
대학
"(으)로 총 10,409건 검색되었습니다.
질문하면 답해 ZOOM!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4호
피부 밑 색소의 양을 변화시켜 색을 바꾼다고 믿었어요. 그런데 스위스 제네바
대학
교 미셸 밀린코비치 교수팀은 카멜레온이 피부 세포의 구조를 변화시켜 색을 바꾼다는 점을 알아냈습니다.‘구조색’은 색소가 아니라 물질의 미세한 구조에 의해 빛이 반사되고 간섭하며 만들어지는 색입니다. ... ...
[특집] 외계인과 수다 떠는 법
어린이수학동아
l
2022년 04호
낼 수 있을지 알아보기 위해 지금은 시험 연구를 하고 있어요. 연구에 참여하는 연세
대학
교 서울 캠퍼스에는 한국우주전파관측망(KVN) 전파망원경이 있는데요. 높은 산 위에 설치된 이 망원경은 지름이 21m로 어마어마하게 크답니다. 울산과 제주에 있는 것까지 총 3개의 망원경을 하나로 연결해 ... ...
[가상 인터뷰] 초파리로 생체 시계 비밀을 푼다고?
수학동아
l
2022년 04호
시계가 안정적이면서도 유연하게 작동하는 원리를 최근 기초과학연구원(IBS)과 KAIST, 아주
대학
교 공동 연구팀이 밝혀냈어요. Q. 그 원리를 자세히 설명해 주세요! 생체 시계는 상위 뉴런인 ‘마스터 뉴런’과 그 지시를 따르는 ‘슬레이브 뉴런’에 의해 조절돼요. 두 뉴런은 어두워지면 각자 생체 ... ...
[기획] 아폴론의 저주를 풀어라! 2500년의 도전
수학동아
l
2022년 04호
기원전 450년 즈음 고대 그리스였던가. 태양의 신인 나를 부정하는 수학자 아낙사고라스를 혼내 주기 위해 태양을 네모나게 만들어 버렸다!태양을 원래 상태로 되돌리려면 내가 낸 문제를 풀어야 하지!과연 인간들은 곡선의 원을 직선인 네모로 만들 수 있을까? ▼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 ...
[폴리매스 수학자를 만나다] "수학으로 인공지능을 연착률시킬래요!" 현윤석 인하대 교수
수학동아
l
2022년 04호
수학과 교수예요. 2021년부터 폴리매스 대한수학회 문제를 출제하고 있는 현 교수님은
대학
시절부터 10년 넘게 그야말로 수학만 판, 전도유망한 수학 박사였습니다. 그런데 어쩌다 대기업에 들어갔을까요? 또 수학 연구의 길로 다시 들어선 계기는 무엇이었을까요? Q 박사 학위를 받은 후 ... ...
당아욱 꽃차를 마시며 즐기는 시험공부 속 꽃놀이
과학동아
l
2022년 04호
말거나 중간고사는 하루하루 가까워집니다. 하지만 전국의 초·중·고등학생, 그리고
대학
생 여러분. 낭만을 포기하면 안 됩니다. 청춘이 아깝잖아요. 꽃구경을 떠나는 게 어렵다면, 꽃차라도 한 잔 마시며 봄을 즐겨 봅시다. 이때 해 볼 수 있는 마법 같은 실험을 준비했습니다.우선 70℃ 안팎의 ... ...
[논문탐독] 서로의 몸을 이해하다 동물과 함께 살아가는 방법
과학동아
l
2022년 04호
연관해 생각해 보는 거죠. 우리는 왜 과학기술학을 공부해야 할까요?최근 많은
대학
에서 과학기술학을 가르치고 있습니다. 여러분들이 배우고 발전시켜나갈 과학기술이 사회적으로 어떤 의미가 있는지,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지에 대한 고찰을 할 수 있습니다.과학기술학 논문을 잘 읽는 방법은 ... ...
[이달의 책] 다이얼로그 물리학
과학동아
l
2022년 04호
물리학 ❶고전역학글 이공주복│그림 임승연│이화여자
대학
교출판문화원│352쪽│1만 8000원 “학생들이 강의를 들을 때는 다 알아들은 것 같았는데, 뒤돌아서니까 다시 하나도 모르겠다는 하소연을 하곤 합니다. 당연히 그럴 수 있어요. 내용이 복잡하거든요. 그러니까 우리의 목표는 우선 ... ...
[가상 인터뷰] ‘북극에 웬 댐이…?’ 지구온난화가 넓힌 비버의 여행지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3호
올랐기 때문이에요. 지난해 12월, 미국 알래스카에서 비버를 연구하고 있는 알래스카
대학
교 켄 테이프 교수는 비버들이 예전에는 살 수 없었던 북극 최북단까지 진출했다고 발표했어요. 1949년부터 기록된 위성 사진을 분석한 결과 현재 북극에는 비버의 댐이 1만 2000개나 있는 것으로 확인됐죠. ... ...
[특집] 우리 사회에 어떻게 기여했을까? 시민과학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3호
시민이 직접 바람직한 방향으로 발전하도록 관리하며 의사결정하는 것을 뜻해요. 고려
대학
교 과학기술학연구소 김지연 교수는 “시민과학은 전문가만으로 모든 문제를 해결하려고 하지 말고 다양하고 새로운 접근법으로 문제를 바라보자는 것에서 시작됐다”며, “실험실 속 과학이 사회로 ... ...
이전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