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특별
특유
특수
독특
특이
본래
타고남
d라이브러리
"
고유
"(으)로 총 1,400건 검색되었습니다.
2 머리카락 굵기로 전화 2억회선 구성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여러가지 색깔의 광으로 나누어짐을 우리는 알고 있다. 그리고 이들 각 색깔의 광들은
고유
한 파장과 주파수를 가지고 있다. 만약 광을 파장(또는 주파수)별로 나누고 각각의 광에다 정보를 실어 보낸다면 엄청나게 많은 정보를 실어 보낼 수가 있을 텐데 하는 짐작도 쉽게 할 수 있다.이렇게 광을 ... ...
5. 수첩크기 3백g짜리 초소형 컴퓨터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하고 이왕이면 뛰어난 기능을 보유한 것이라면 더욱 좋다. 또 컴퓨터의 축소는 컴퓨터
고유
의 기능을 위한 부품에서 빚어지는 것이 아닌 주변 부품 등에 많은 영향을 받는데 배터리가 그 일례"라며 축소지향적인 PC를 위해서는 부품산업의 발전이 병행되어야 한다고 말한다.또 HP의 팜톱이 로터스 1-2- ... ...
(2) 우주로 열린 지구의 창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대상은 세밀히 관측되리라 기대된다. 은하핵(galactic nuclei)의 정밀관측, 퀘이사의
고유
운동 관측, 더 나아가서 우주팽창의 비등방성 등 놀랍고 획기적인 관측들이 가능하다.달에서 하늘을 보는 것을 상상해 보자. 태양이 빛나는 곳을 제외한 모든 하늘은 밤도 낮도 구별없이 수 많은 별들로 덮여있다. ... ...
울릉도의 지형과 지질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대부분 조면암에 대한 설명이 없을 뿐더러 주상절리는 마치 기공이 적은 현무암에만
고유
한 것으로 기술되고 있다는 것이 탐사단의 중론. 이렇게 눈으로 확인한 이상 앞으로는 학생들에게 조면암도 설명해야한다는 쪽과 비록 울릉도에서는 조면암이 흔하지만 한반도 전체 나아가 전 지구적으로는 ... ...
고슴도치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아시아의 일부지역에서 사는 어떤 속(屬)의 고슴도치는 이 가시털이 없다.우리나라
고유
의 고슴도치는 북방고슴도치와 비슷하나, 상대적으로 몸이 작고 머리의 털색깔이 좀더 어두운 갈색인 점이 특징이다. 입은 뾰족하며, 검은 색의 눈은 아주 작다. 몸을 움츠리고 있을 때에는 마치 밤송이처럼 ... ...
한여름밤의 4중주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별들이 밀집돼 있는 장관을 볼 수 있다. 또 이 속의 별들은 다른 성단에 비해 각 별들의
고유
색들이 현저하게 달라 더욱 아름답게 보인다.884는 중앙 밀집도가 낮으나 더 크고, 중심에 있는 진홍색별이 깊은 인상을 남긴다. 모양의 특색은 두쌍의 3중성을 중심으로 밝은 중앙부가 형성돼 있고 그 주위를 ... ...
5.극심한 생물계의 수난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나자식물 피자식물)은 4천여종이 알려져 있는데 그 중 약 25%인 1천여종은 한반도
고유
의 종이다. 따라서 어떤 종의 생물이 주로 살고 있는 지역이 파괴되면 그 종은 절멸될 수 있다. 제주새뱅이의 운명도 천지연폭포 상류에 인가가 많아진 것과 무관하지 않다. 그들 이 뛰놀던 물이 생활폐수와 ... ...
거대한 숨은 그림찾기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2년 이탈리아의 천문학자 피아치(Piazzi)는 이 별이 매년 5.22″(초)나 되는 비정상적으로 큰
고유
운동을 하는 것을 발견해 '나는 별'(The Flying Star)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아마 이 별이 유명해지기 시작한 것은 이 때부터가 아니었나 본다. 그 후 이 별이 결정적으로 유명해지게 된 것은 1838년 독일의 ... ...
1. 아무도 접근을 막을 수 없다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임의적으로 배열되어 있는 것에 만족할 수 없었다. 실제의 우주에서는 별들이 제각기
고유
한 위치를 가지고 있었기 때문이다. "이제 우리는 진짜 우주를 보게 될거야." 샘슨은 이렇게 맹세했다. 그는 자세한 성도(星圖)를 구해서 적도 상에서 밤하늘을 바라보는 모습과 똑같은 실제적인 별자리를 ... ...
뭘 먹느냐가 성격을 결정한다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세계는 교통 통신의 발달로 사람들의 왕래가 빈번하고 식료품의 교역이 성행, 각 지역의
고유
식품이 전세계적으로 소개되고 있으며 식생활의 개선도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그 민족 특유의 식생활 습성을 간단히 저버리지는 않는다. 지금부터 식품과 성격의 여러 모형에 ... ...
이전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