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고유"(으)로 총 1,400건 검색되었습니다.
- 7 화학 산업의 판도 바꿀 생명의 촉매과학동아 l1992년 12호
- 당밀을 만들었다. 이는 쌀밥에 있는 녹말을 말토스(이당류, maltose)로 분해해 우리 고유식품인 식혜와 엿을 만드는 것과 같은 원리다. 우리 조상들은 매우 이상적인 효소공학적 천연식품 가공방법을 활용해 왔던 것이다.조상의 과학적인 지혜는 우리의 연구지표를 새롭게 설정해주고 있다. 최근에 ... ...
- 명령어와 파일의 알쏭달쏭한 관계과학동아 l1992년 12호
- 파일명을 적고 마침표(.)를 찍은 다음 확장자 이름을 쓰는데 파일명은 보통 파일마다 고유한 이름과 같은 것이다. 반면 확장자는 성과 같다. 확장자는 그 파일의 종류를 나타낸다.그래서 어떤 프로그램에서 사용하는 데이터 파일의 확장자는 대개 같다. 이를 테면 한글에서 작성한 문서파일은 모두 ... ...
- 2. 미래의 반도체 어떻게 달라지나과학동아 l1992년 11호
- 의해 현실화됐으며, 추론능력을 갖는 퍼지회로가 구현돼 인간두뇌의 고유한 기능에 도전하고 있다. 반도체 기술은 인간 두뇌의 거의 모든 기능을 복제하고 있는 셈이다. 그러면 21세기에는 반도체 기술이 어떤 형태로 전개될 것인가."지금까지 구현된 복잡한 전자회로를 갖는 반도체의 기본 세포는 ... ...
- 4 차세대 고속증식로 슈퍼피닉스 실용화과학동아 l1992년 10호
- 하여 프랑스의 프라마톰사는 미국 기술을 개량, 완전히 프랑스 실정에 적합한 프랑스 고유의 원자력 발전소를 만들었다. 70년대초 제1차 석유파동은 원자력의 경제성을 한층 더 높이는 계기를 만들었다. 그리하여 프랑스는 "모든 것을 원자력으로, 모든 것을 전기로"라는 전략을 수립하고 원자력 ... ...
- 현대 물리학과 동양사상의 만남과학동아 l1992년 10호
- 사물은 그 자체 속에 스스로 발생할 수 있는 성질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그 사물 속에는 고유한 특성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그는 그것을 자연 또는 천연이라고 말하고 있다. 보통 사람의 눈으로 볼때 시비(是非)가 구별되는 것은 달도(達道)에 이르지 못한 데 그 이유가 있으며, 도를 체득해 ... ...
- (1) 인공지능 상품개발 50년과학동아 l1992년 09호
- 인공지능 연구에 큰 영향을 미쳤다.경험을 통해 배우는 능력은 인간을 영장류로 만든 고유한 능력이었다. 그러나 아직까지 대부분의 게임용 소프트웨어는 주입된 게임기술을 재생시키는 기계에 불과하다.게임하는 프로그램의 기원은 1947년 일리노이대학의 아서 사무엘교수로부터 시작한다. 그는 ... ...
- 폐기물 재생기술은 새분야로 발전과학동아 l1992년 08호
- 생산, 시판되는 대부분의 생필품에는 회사의 고유 상표 외에 또 하나의 상표가 부착되어 있다. 두 개의 화살표가 한 원안에서 엇갈리고 있는 모양의 상표가 그것이다. 기업의 환경문제에 대한 남다른 관심을 나타내보이고, 다른 기업의 새로운 관심을 유도하기 위해 고안된 이 제도는 이제 환경을 ... ...
- 1. 책상위에서 모든작업 「완료」과학동아 l1992년 08호
- 매킨토시의 고유한 기능이었던 탁상출판(DTP)은 현재 IBM 호환기종에서도 널리 채택되고 있다. 원고작성 교정 사식 레이아웃 제판 등의 책 출판에 필요한 모든 과정을 컴퓨터로 책상위에서 처리하는 DTP의 실체를 좇아가 보자.탁상출판시스템(DTP, Desk Top Publishing)이 처음 선을 보인 곳은 미국이다.1985년 ... ...
- 광공해 피해 선명한 밤하늘 보려면 도심 별관측 어떻게 하나과학동아 l1992년 08호
- 감도가 높은 흑백필름으로 촬영하는 방법이 있다. 전하늘의 대부분 성운들은 수소의 고유파장인 Hα(6563Å)을 강하게 내고 있다. 이 파장의 빛의 세기를 비교하면, 광공해의 6563Å 성분보다 성운에서 오는 성분이 훨씬 강하므로 볼만한 사진을 찍을 수 있다. 이때는 ${R}_{64}$ 필터가 상당한 양의 빛을 ... ...
- 비틀대는 한국과학기술의 「싱크탱크」 활로는 없는가과학동아 l1992년 08호
- 보듯, 상공부와 경제기획원의 논리와 기업의 시각에서 평가하는 것은 출연연구소의 고유기능을 이해못한 발상이라고 지적한다.출연연구소는 기업이 기피하는 국가원천 및 공공기술에 연구의 비중을 높여야 하기 때문에 실용화율로 연구생산성을 논한다는 것은 의미가 없으며, 따라서 단기성 실적 ... ...
이전1121131141151161171181191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