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정밀
적확
명확
명료함
엄밀
확실
정밀도
스페셜
"
정확
"(으)로 총 162건 검색되었습니다.
변비, 제대로 알고 극복하자!
KISTI
l
2014.03.31
자극성으로 나눈다. 시중에서 유통되는 변비약의 대부분은 자극성이다. 작용기전이
정확
하게 알려지지는 않았지만 복용하면 위나 소장에서 분해되지 않고 대장의 근육 신경을 자극해 배변을 유도하는 방식이다. 효과는 빠르지만 계속해서 먹을 경우 대장 내 수분이 손실되고 장운동이 둔해지는 ... ...
[MATH] 트로이 전쟁과 원주율
KISTI
l
2014.03.19
숨겨져 있던 수학적 사실을 찾아 이해하며 영화를 감상한다면 만든 이의 의도를 좀 더
정확
하게 파악할 수 있다. 여러분도 영화에 담겨진 수학을 발견하며 즐거워하는 수학자의 기분을 함께 느껴보기 바란다 ... ...
[만화] 스케이트 날의 과학
KISTI
l
2014.02.14
가장 날렵하단다. 이 종목은 400m인 타원형 대칭구조의 트랙을 도는 경기인데,
정확
한 자세와 강한 스퍼트를 이용해서 빠른 속도를 내는 게 중요하지. 특히 스피드스케이팅을 할 때 잘 보면, 선수의 발이 빙판에서 떨어져 스텝을 옮길 때에도 스케이트 날은 그대로 빙판에 붙어있는 독특한 모습을 볼 ... ...
도청의 세계② 창과 방패로 얽힌 도청·방지기술
KISTI
l
2014.01.09
어느 한쪽이 무조건 우세하다고 말할 수 없다. 엎치락뒤치락 반복되는 도청 전쟁에서는
정확
한 정보에 기반해서 보안수칙을 지키는 것만이 피난처가 될 뿐이다. ... ...
㈜동부대우전자의 신제품 개발 성공사례
KOITA
l
2013.12.19
완성할 수 있었다. 하지만 다음은 이를 소비자의 집에 설치하는 것이었다. 객관성과
정확
한 의견 청취를 위해 동부대우전자와 아무 관계가 없는 다양한 부류의 사용자(잠재고객) 10명을 선별했다. 그렇게 시작된 현장 테스트는 1년간 계속되었는데, 최초 사용자의 제품평가 점수는 고작 20점 ... ...
혁신 연구 체제의 구축, DARPA로부터 배운다
KOITA
l
2013.12.16
미래의 이슈를 발굴하고 대응 방안을 연구한다는 점이다. 제대로 된 질문에서
정확
한 답이 나오듯이 연구 과제의 핵심 질문이 되는 미래의 주요 이슈 발굴을 중요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다양한 분야에 속한 고위 관료, 군 장성 및 민간 과학 기술 전문가들의 의견을 다각도로 수집하는 등, 연구 ... ...
산업을 변화시킨 주역, 복사기의 탄생
KISTI
l
2013.12.10
필요한 절차가 있었으니 바로 문서의 복제였다. 문서를 배포하거나 오래 보관해두려면
정확
하게 똑같은 내용의 문서를 여럿 만들 필요가 있었다. 복사기가 없던 과거에는 문서를 복제하려면 일일이 사람 손을 거쳐야 했다. 필경사(筆耕士)나 서기(書記)와 같은 전문직업군이 이 일을 담당했다. ... ...
연구자가 중심이 되는 이상적인 지원기관 만들겠다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3.12.09
앞으로의 비전은 무엇인지 직접 들어봤다. Q.안녕하세요. 우선 첨복단지 운영의 목적은
정확
하게 무엇인지 알려주십시오. 첨복단지는 첨단의료산업을 대한민국 미래 신성장동력으로 전략적으로 집중·육성하여 대구·경북 지역뿐만 아니라 국가의 미래 먹거리를 책임질 핵심산업으로 육성함을 ... ...
노벨 과학상, 패러다임을 바꿔야 받는다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3.12.06
요소들과 결합을 함으로써 특정 물질을 온몸 곳곳으로 보낸다. 그러나 1980년대까지도
정확
히 어떤 원리로 소포 전달이 이루어지는지는 밝혀내지 못했다. 로트먼 교수 연구진은 소포의 막을 구성하는 단백질이 다른 요소와 결합할 때 자물쇠와 열쇠처럼 조합이 맞아야 반응을 한다는 사실을 ... ...
일터와 산업을 바꿔놓은 한 건의 발명
KOITA
l
2013.11.08
필요한 절차가 있었으니 바로 문서의 복제였다. 문서를 배포하거나 오래 보관해두려면
정확
하게 똑같은 내용의 문서를 여럿 만들 필요가 있었다. 복사기가 없던 과거에는 문서를 복제하려면 일일이 사람 손을 거쳐야 했다. 필경사(筆耕士)나 서기(書記)와 같은 전문직업군이 이 일을 담당했다.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